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교육실습이 예비교사의 역량 변화에 미치는 영향 분석 = An Analysis of the Teaching Practice Effects on the Competencies of Pre-Service Teach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55609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교육실습의 다양한 환경 속에서 예비교사의 역량이 어떤 방식으로 변화되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교사에게 필요한 핵심역량 및 교육실습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하였으며, 이론적 연구를 토대로 예비교사 12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법을 이용하여 예비교사가 교육실습 환경을 통해 발전시킨 교사 역량에 대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교사는 교육실습 환경을 통하여 교사의 핵심역량의 전 영역을 발전시키고자 하였으며, 특히 학생지도역량을 높이고 싶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도교사 유형에 따른 주별 교육실습 환경은 방임형 수업참여 환경, 역할모델 및 모든 체험환경, 생활지도 및 수업참여 환경 그리고 방임형 실습제공 환경의 4개의 유형으로 분류되었으며, 각각의 유형에 따라 교육실습의 질적 환경이 달라졌다. 셋째, 지도교사의 지도유형과 주차별 교육실습 내용을 결합한 교육실습 환경에 따라 예비교사의 역량이 달라졌는데, 역할모델 및 모든 체험환경을 제공한 교육실습 환경에서 예비교사의 역량이 가장 강화되었으며, 방임형 실습제공환경과 방임형 수업참여환경에서는 예비교사의 역량은 다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이 연구의 목적은 교육실습의 다양한 환경 속에서 예비교사의 역량이 어떤 방식으로 변화되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교사에게 필요한 핵심역량 및 교육실습에 대한 이론적 ...

      이 연구의 목적은 교육실습의 다양한 환경 속에서 예비교사의 역량이 어떤 방식으로 변화되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교사에게 필요한 핵심역량 및 교육실습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하였으며, 이론적 연구를 토대로 예비교사 12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법을 이용하여 예비교사가 교육실습 환경을 통해 발전시킨 교사 역량에 대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교사는 교육실습 환경을 통하여 교사의 핵심역량의 전 영역을 발전시키고자 하였으며, 특히 학생지도역량을 높이고 싶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도교사 유형에 따른 주별 교육실습 환경은 방임형 수업참여 환경, 역할모델 및 모든 체험환경, 생활지도 및 수업참여 환경 그리고 방임형 실습제공 환경의 4개의 유형으로 분류되었으며, 각각의 유형에 따라 교육실습의 질적 환경이 달라졌다. 셋째, 지도교사의 지도유형과 주차별 교육실습 내용을 결합한 교육실습 환경에 따라 예비교사의 역량이 달라졌는데, 역할모델 및 모든 체험환경을 제공한 교육실습 환경에서 예비교사의 역량이 가장 강화되었으며, 방임형 실습제공환경과 방임형 수업참여환경에서는 예비교사의 역량은 다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 연구 분석
      • 1. 교육실습 환경에 대한 연구
      • 2. 교사의 역량 관련 연구
      • 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 연구 분석
      • 1. 교육실습 환경에 대한 연구
      • 2. 교사의 역량 관련 연구
      • 3. 교육실습 환경이 예비교사의 핵심역량 강화에 미치는 영향
      • Ⅲ. 연구 방법
      • 1. 조사도구
      • 2.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 3. 자료 분석 방법
      • Ⅳ. 교육실습이 예비교사의 역량에 미치는 영향
      • 1. 예비교사의 교육실습 전 핵심적인 역량에 대한 기대 분석
      • 2. 예비교사의 교육실습 환경 변인 분석
      • 3. 교육실습 환경이 예비교사의 역량 강화에 미친 영향
      • 4. 논의
      • Ⅴ.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재철, "컨조인트 분석을 활용한 바람직한 교사 역량 구성요인의 가중치 탐색" 한국교육평가학회 24 (24): 231-260, 2011

      2 정경애, "초등영어 교육실습 현황과 예비교사들의 인식"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17 (17): 31-59, 2011

      3 이경진, "초등교사의 핵심역량 수준 및 교직경력별 핵심역량 수준 차이 분석" 한국교원교육학회 26 (26): 219-240, 2009

      4 정제영, "초·중등학교의 지식경영 수준과 유형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4

      5 황은희, "중등교사의 실천적 교수역량에 대한 자기평가와 전문가평가의 비교 연구" 한국교육평가학회 21 (21): 53-74, 2008

      6 백순근, "중등 예비교사의 교육실습이 '교육적 가치'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평가학회 20 (20): 1-29, 2007

      7 박인옥, "중등 사회과 예비교사들의 교육실습에 관한 인식 조사" 한국사회과교육학회 39 (39): 185-212, 2007

      8 정혜영, "예비교사의 교육실습에 대한 기대와 평가, 교육실습을 통한 인식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교육학회 21 (21): 209-230, 2004

      9 류성창, "스마트 세대를 위한 KEDI 교육 미래비전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1

      10 주미경, "사범대학-현장학교 협력관계에 기반한 교육실습 사례 분석: 중등교원을 위한 교육실습 확대 방안 가능성 탐색" 한국교원교육학회 24 (24): 363-384, 2007

      1 김재철, "컨조인트 분석을 활용한 바람직한 교사 역량 구성요인의 가중치 탐색" 한국교육평가학회 24 (24): 231-260, 2011

      2 정경애, "초등영어 교육실습 현황과 예비교사들의 인식"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17 (17): 31-59, 2011

      3 이경진, "초등교사의 핵심역량 수준 및 교직경력별 핵심역량 수준 차이 분석" 한국교원교육학회 26 (26): 219-240, 2009

      4 정제영, "초·중등학교의 지식경영 수준과 유형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4

      5 황은희, "중등교사의 실천적 교수역량에 대한 자기평가와 전문가평가의 비교 연구" 한국교육평가학회 21 (21): 53-74, 2008

      6 백순근, "중등 예비교사의 교육실습이 '교육적 가치'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평가학회 20 (20): 1-29, 2007

      7 박인옥, "중등 사회과 예비교사들의 교육실습에 관한 인식 조사" 한국사회과교육학회 39 (39): 185-212, 2007

      8 정혜영, "예비교사의 교육실습에 대한 기대와 평가, 교육실습을 통한 인식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교육학회 21 (21): 209-230, 2004

      9 류성창, "스마트 세대를 위한 KEDI 교육 미래비전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1

      10 주미경, "사범대학-현장학교 협력관계에 기반한 교육실습 사례 분석: 중등교원을 위한 교육실습 확대 방안 가능성 탐색" 한국교원교육학회 24 (24): 363-384, 2007

      11 조덕주, "반성적 사고 중심 예비교사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교원교육학회 26 (26): 411-436, 2009

      12 이경희, "교육실습의 내용과 환경 분석" 22 (22): 117-152, 2006

      13 정혜영, "교육실습을 통한 교육실습생의 교육신념 변화 연구" 한국초등교육학회 21 (21): 235-257, 2008

      14 신석주, "교육실습생의 실습 효과 차이 분석 : 교생지도교사의 반성적 교육 실습 프로그램 연수 실시 여부에 따라" 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15 정한호, "교육실습과정에서 나타난 중등 예비교사들의 수업설계 실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2 (12): 1-30, 2009

      16 엄미리, "교육실습 전.후 예비교사의 역량변화 연구" 한국교원교육학회 26 (26): 491-508, 2009

      17 이경진, "교육과정 실행 변화 과정에 나타난 초등교사의 신념 변화와 그 요인에 관한 사례 연구" 한국초등교육학회 21 (21): 207-233, 2008

      18 김병주, "교사의 핵심역량에 근거한 전문대학 유아교육과 수업연한" 한국교원교육학회 28 (28): 1-28, 2011

      19 서경혜, "교사 전문성 개발을 위한 대안적 접근으로서 교사학습공동체의 가능성과 한계" 한국교원교육학회 26 (26): 243-276, 2009

      20 조대연, "교사 발달단계별 직무역량 요구분석 : 서울초등교사를 대상으로" 한국교원교육학회 26 (26): 365-385, 2009

      21 엄미리, "‘좋은 수업’에 대한 현직교사와 예비교사의 인식 연구 - 지양해야 할 수업 형태와 관련하여 -" 안암교육학회 15 (15): 107-132, 2009

      22 Glickman, C. D., "SuperVision and Instructuinal Leadership" MA, Pearson 2010

      23 National Council for Accreditation of Teacher Education, "Standards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schools"

      24 OECD, "Formative assessment: Improving learning in secondary classrooms" OECD Publishing 2005

      25 Rothwell, W. J., "Competency identification, modelling and assessment in the USA" 3 (3): 90-105, 1999

      26 Griffin, P., "Assessment and teaching of 21st century skills" Springer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37 2.37 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31 2.46 2.479 0.3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