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에서 고찰하고자 하는 대상은 그림 형제의 민담 <작은 빨강모자>(Little Red Hood)이다. 본 논문의 목적은 <작은 빨강모자>의 이야기 전개 및 환경과 등장인물의 상징성을 분석심...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에서 고찰하고자 하는 대상은 그림 형제의 민담 <작은 빨강모자>(Little Red Hood)이다. 본 논문의 목적은 <작은 빨강모자>의 이야기 전개 및 환경과 등장인물의 상징성을 분석심...
본 논문에서 고찰하고자 하는 대상은 그림 형제의 민담 <작은 빨강모자>(Little Red Hood)이다. 본 논문의 목적은 <작은 빨강모자>의 이야기 전개 및 환경과 등장인물의 상징성을 분석심리학적 관점에서 심층 분석하고 예술치료에서의 함의를 탐문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분석심리학에서의 전형적 이해를 바탕으로 하면서 동시에 특정한 작품의 독자성과 세부적 묘사의 기능성을 내러티브를 따라가며 분석하는 것이다. 본 논문은 <작은 빨강모자>에 대한 “전형적 해석”과 독특성을 이야기의 구성, 환경, 그리고 재료에 대한 심층 분석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를 통해 예술치료에 있어서 내담자의 구체적인 가정의 구성, 삶의 자리(Sitz im Leben), 그리고 내담자가 그려내는 이야기의 조직과 구성, 색과 재료의 조화, 그리고 그것들 의 내포적 상징성 등을 면밀히 분석하였다. 그리고 “전형”과 내러티브의 “독자성”을 함께 고려한 분석과 치료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Grimm Brothers' <Little Red Hood> focusing on its story line, symbolism of environment and characters in depth from the perspective of analytical psychology and to explore the implications in art therapy.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Grimm Brothers' <Little Red Hood> focusing on its story line, symbolism of environment and characters in depth from the perspective of analytical psychology and to explore the implications in art therapy. The method of the research is based on the typical understanding from the analytical psychology and also and also on the narrative analysis focusing the functionality and peculiar description of a specific work. This paper analyze the unique environment and materials the <Little Red Hoodt>. Then, this paper suggests, as seen in the analysis of the story, the necessity of analysis which consider together typical analysis and peculiar description. The art-therapy need close examination about the peculiar environments, Sitz im Leben (the situation of the life), the composition and story line with material and colors which the client describes in accordance with the typical analysis from the analytical psychology.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부영, "한국의 샤마니즘과 분석심리학" 한길사 2015
2 이도희, "한국민담 ‘여우누이’의 분석심리학적 해석" 21 (21): 1-37, 2006
3 박상학, "한국민담 ‘구복여행’의 분석심리학적 고찰" 24 (24): 174-210, 2009
4 이부영, "한국 민담의 심층분석" 집문당 2011
5 손진태, "조선설화집" 민속원 2009
6 Jung, C. G., "인간과 상징" 집문당 2013
7 Neumann, E., "의식의 기원사" 분석심리학연구소 2010
8 Bettelheim, B., "옛이야기의 매력 2" 시공주니어 1998
9 Jung, C. G., "영웅과 어머니" 솔출판사 2006
10 이부영, "아니마와 아니무스" 한길사 2003
1 이부영, "한국의 샤마니즘과 분석심리학" 한길사 2015
2 이도희, "한국민담 ‘여우누이’의 분석심리학적 해석" 21 (21): 1-37, 2006
3 박상학, "한국민담 ‘구복여행’의 분석심리학적 고찰" 24 (24): 174-210, 2009
4 이부영, "한국 민담의 심층분석" 집문당 2011
5 손진태, "조선설화집" 민속원 2009
6 Jung, C. G., "인간과 상징" 집문당 2013
7 Neumann, E., "의식의 기원사" 분석심리학연구소 2010
8 Bettelheim, B., "옛이야기의 매력 2" 시공주니어 1998
9 Jung, C. G., "영웅과 어머니" 솔출판사 2006
10 이부영, "아니마와 아니무스" 한길사 2003
11 Campbell, J., "신화의 힘" 고려원 1999
12 조용진, "서양화 읽는 법" 사계절 2001
13 이부영, "분석심리학" 일조각 2012
14 Birkhäuser-Oeri, S., "민담의 모성상" 분석심리학연구소 2007
15 김성민, "모래언덕나라와 C. G. 융의 개성화과정" 24 (24): 69-102, 2009
16 Fincher, S., "만다라를 통한 미술치료" 학지사 1998
17 황명숙, "러시아 민담 ‘일곱 개의 별’에 대한 분석심리학적 해석" 30 (30): 31-66, 2015
18 윤태원, "독일민담에 나타난 탄생과 재탄생의 의미 고찰" 34 : 343-362, 2010
19 Grimm Brüder, "그림형제 동화전집" 현대지성사 2005
20 박상학, "그림형제 동화 ‘황금 새’의 분석심리학적 해석" 31 (31): 177-214, 2016
21 이부영, "‘도깨비’의 심리학적 측면과 상징성" 30 : 175-203, 2003
22 Neumann, E., "The Origins and history of consciousness"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5
23 Martin, M., "The Book of symbols: reflections on archetypal images" Taschen 2010
24 Ronnberg, A, "The Book of symbols: reflections on archetypal images" Taschen 2010
25 Chase, R., Jr., "Little red riding hood: were wolf and prostitute" 57 (57): 769-776, 1995
26 Leach, M., "Funk & Wagnalls Standard dictionary of folklore, mythology, and legend" Harper & Row 1984
27 Chevaler, J., "Dictionary of symbols" Penguin Reference 1996
28 Cooper, J. C., "An Illustrated encyclopaedia of traditional symbols" Thames & Hudson 1978
한부모 가정 아동의 정서 조절 능력 및 또래관계를 위한 미술치료 사례연구
집단예술심리치료가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미치는 효과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4-12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예술치료학회 -> (사)한국예술치료학회 |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20-04-22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Institute Of Korean Arts Therapy -> The Institute of Korean Arts Therapy (IKAT)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 | 0 | 0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 | 0 | 0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