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8주간의 근력 트레이닝에 따른 체구성과 근력간의 관련성 = Correlation on Body Composition and Muscle Strength of Strength Training during 8 Week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59979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8주간의 근력 트레이닝에 따른 체구성 변화율과 근력 변화율 간의 상호 관련성을 알아보고, 근력을 체중과 근육량 각각으로 상대값을 산출하여 그 차이를 검토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운동 경험이 없고 근골격이나 심폐에 이상 소견이 없는 건강한 남자성인 52명을 대상으로 체성분 검사와 근력검사를 실시하였고 8주간 근력트레이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체중과 체지방률은 유의한 변화가 없었던 반면에 근육량은 유의한 증가가 나타났다. 그리고 체구성 변화율과 근력 변화율 간의 관계에서 견관절 우측의 신전근력을 제외하고 견과절과 슬관절 근력 변화율과 각 체중 변화율, 체지방률 변화율 간에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낸 반면에 근력 변화율과 근육량 비율 변화율 간에는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본 연구에서 근력은 상대적으로 체중의 영향을 받지 않는 견관절 근력과 상대적으로 체중의 영향을 많이 받는 슬관절 근력으로 구분하여 평가하였는데 견관절 근력 변화율과 슬관절 근력 변화율 각각이 체구성 변화율과 유사한 정도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그리고 견관절 우측의 신전 및 굴곡 근력 변화율을 제외하고 체중 당 근력 변화율보다 근육량 당 근력 변화율로 환산했을 때 근력 트레이닝에 따른 근력의 증가가 더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8주간의 근력 트레이닝에 따른 체구성 변화율과 근력 변화율 간의 상호 관련성을 알아보고, 근력을 체중과 근육량 각각으로 상대값을 산출하여 그 차이를 검토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8주간의 근력 트레이닝에 따른 체구성 변화율과 근력 변화율 간의 상호 관련성을 알아보고, 근력을 체중과 근육량 각각으로 상대값을 산출하여 그 차이를 검토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운동 경험이 없고 근골격이나 심폐에 이상 소견이 없는 건강한 남자성인 52명을 대상으로 체성분 검사와 근력검사를 실시하였고 8주간 근력트레이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체중과 체지방률은 유의한 변화가 없었던 반면에 근육량은 유의한 증가가 나타났다. 그리고 체구성 변화율과 근력 변화율 간의 관계에서 견관절 우측의 신전근력을 제외하고 견과절과 슬관절 근력 변화율과 각 체중 변화율, 체지방률 변화율 간에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낸 반면에 근력 변화율과 근육량 비율 변화율 간에는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본 연구에서 근력은 상대적으로 체중의 영향을 받지 않는 견관절 근력과 상대적으로 체중의 영향을 많이 받는 슬관절 근력으로 구분하여 평가하였는데 견관절 근력 변화율과 슬관절 근력 변화율 각각이 체구성 변화율과 유사한 정도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그리고 견관절 우측의 신전 및 굴곡 근력 변화율을 제외하고 체중 당 근력 변화율보다 근육량 당 근력 변화율로 환산했을 때 근력 트레이닝에 따른 근력의 증가가 더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orrelation on body composition and muscle strength of strength training during 8 weeks. The subjects were comprised 52 adult males. Body composition and muscle strength were measured. Then, shoulder and knee joint isokinetic strength were tested at each angular velocity (shoulder joint 60°/sec; knee joint 60°/sec). As a result, weight and %fat were no significant effect of training. But muscle mass was a significant effect of training. The result of correlation revealed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houlder/knee strength change rate and weight/%fat change rat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houlder/knee strength change rate and muscle mass change rate. Muscle strengthening in strength per muscle mas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strength per weight.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 that body composition and muscle strength have significant relationship in adult male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orrelation on body composition and muscle strength of strength training during 8 weeks. The subjects were comprised 52 adult males. Body composition and muscle strength were measured. Then, shoulder and k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orrelation on body composition and muscle strength of strength training during 8 weeks. The subjects were comprised 52 adult males. Body composition and muscle strength were measured. Then, shoulder and knee joint isokinetic strength were tested at each angular velocity (shoulder joint 60°/sec; knee joint 60°/sec). As a result, weight and %fat were no significant effect of training. But muscle mass was a significant effect of training. The result of correlation revealed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houlder/knee strength change rate and weight/%fat change rat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houlder/knee strength change rate and muscle mass change rate. Muscle strengthening in strength per muscle mas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strength per weight.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 that body composition and muscle strength have significant relationship in adult mal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류호열, "트레드밀 전ㆍ후방보행 훈련이 탈진적 운동 수행 전과 후의 하지 근력에 미치는 영향" 대한스포츠의학회 28 (28): 37-43, 2010

      2 편미영, "체력강화 준비운동이 아동의 신체조성과 체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자료분석학회 12 (12): 3477-3491, 2010

      3 석혜경, "진동운동이 신체조성과 렙틴호르몬 및 지질성분에 미치는 영향" 한국자료분석학회 10 (10): 1993-2003, 2008

      4 박해찬, "중강도 트레이닝이 비활동적인 성인 남성의 인슐린, 성장호르몬, 렙틴 및 주관적 식욕에 미치는 영향" 한국자료분석학회 15 (15): 1655-1667, 2013

      5 정소봉, "일부 대학생의 운동유무에 따른 건강행위와 식습관 및 영양소섭취에 관한 연구" 한국자료분석학회 11 (11): 229-240, 2009

      6 藤井勝紀, "일본 남자고등학생의 신체구성과 체력에 대한 상관관계의 검증" 한국발육발달학회 17 (17): 147-152, 2009

      7 박해찬, "성장기 아동·청소년의 외반슬 수준에 따른 비만 지표, 하지 근력 및 유연성 차이" 한국발육발달학회 21 (21): 193-197, 2013

      8 이동수, "성인 남자의 체질량지수에 따른 체력 및 골 강도 비교" 한국체육과학회 16 (16): 713-722, 2007

      9 양정수, "성인 남성의 하지 등속성 근력과 점프수행능력 간의 상관관계" 한국생활환경학회 20 (20): 444-450, 2013

      10 고영정, "대학교와 고등학교 남자 태권도 선수의 수준별 신체구성, 체력 및 슬관절 등속성 근력의 비교" 한국운동생리학회 16 (16): 411-420, 2007

      1 류호열, "트레드밀 전ㆍ후방보행 훈련이 탈진적 운동 수행 전과 후의 하지 근력에 미치는 영향" 대한스포츠의학회 28 (28): 37-43, 2010

      2 편미영, "체력강화 준비운동이 아동의 신체조성과 체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자료분석학회 12 (12): 3477-3491, 2010

      3 석혜경, "진동운동이 신체조성과 렙틴호르몬 및 지질성분에 미치는 영향" 한국자료분석학회 10 (10): 1993-2003, 2008

      4 박해찬, "중강도 트레이닝이 비활동적인 성인 남성의 인슐린, 성장호르몬, 렙틴 및 주관적 식욕에 미치는 영향" 한국자료분석학회 15 (15): 1655-1667, 2013

      5 정소봉, "일부 대학생의 운동유무에 따른 건강행위와 식습관 및 영양소섭취에 관한 연구" 한국자료분석학회 11 (11): 229-240, 2009

      6 藤井勝紀, "일본 남자고등학생의 신체구성과 체력에 대한 상관관계의 검증" 한국발육발달학회 17 (17): 147-152, 2009

      7 박해찬, "성장기 아동·청소년의 외반슬 수준에 따른 비만 지표, 하지 근력 및 유연성 차이" 한국발육발달학회 21 (21): 193-197, 2013

      8 이동수, "성인 남자의 체질량지수에 따른 체력 및 골 강도 비교" 한국체육과학회 16 (16): 713-722, 2007

      9 양정수, "성인 남성의 하지 등속성 근력과 점프수행능력 간의 상관관계" 한국생활환경학회 20 (20): 444-450, 2013

      10 고영정, "대학교와 고등학교 남자 태권도 선수의 수준별 신체구성, 체력 및 슬관절 등속성 근력의 비교" 한국운동생리학회 16 (16): 411-420, 2007

      11 김원기, "남자 대학생의 신체활동습관과 식습관이 비만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 20 (20): 1655-1663, 2011

      12 윤재량, "남녀 엘리트 양궁선수의 신체조성 요소에 따른 하지 무산소성 근력과 파워의 차이" 한국코칭능력개발원 13 (13): 143-150, 2011

      13 엄우섭, "교육대학교 여자 신입생의 체질량지수에 따른 체력 상태 비교 연구" 한국초등체육학회 16 (16): 145-156, 2011

      14 이창진, "고등학생의 체력과 신체구성간의 관계" 한국체육학회 44 (44): 831-841, 2005

      15 허정, "고등학생의 체격실태와 신체구성과 체력과의 관련성" 한국체육학회 43 (43): 807-818, 2004

      16 김성수, "견관절 손상 야구투수들의 재활치료 후 주관적 통증정도와 등속성 근기능의 변화" 한국운동생리학회 12 (12): 45-57, 2003

      17 Matsuo, T., "Voluntary resistance exercise improves blood hemoglobin concentration in severely iron-deficient rats" 48 (48): 161-164, 2002

      18 Kim, H. M., "The effects of weight training on muscle strength, body composition and blood lipids in older men" 4 (4): 177-193, 1999

      19 Lee, D. S., "The effect of walking exercise on physique and physical fitness" 9 (9): 73-79, 2001

      20 Nedeljkovic, A, "Tests of muscle power output assess rapid movement performance when normalized for body size" 23 (23): 1593-1605, 2009

      21 Pratley, R., "Strength training increases resting metabolic rate and norepinephrine levels in healthy 50-to 65-yr-old men" 76 (76): 133-137, 1994

      22 Yang, I. O., "Physical fitness of daily living in elderly women with body mass index" 34 : 67-74, 2006

      23 김태균, "Linear load와 Flat load 훈련프로그램이 장기간 휴식 후 시즌전 준비기에 있는 럭비 선수의 최대 근력, 근파워 및 유산소성 운동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 (49) : 689-699, 2012

      24 Weber, C. L., "Gender differences in anaerobic power of the arms and legs a scaling issue" 38 (38): 129-137, 2006

      25 Yoon, S. W., "Essentials of strength training and conditioning" Daehanmedia 137-186, 2002

      26 Jeon, S. H., "Effects of weight reduction period on isokinetic strength and muscle morphology in judo athletics" 15 (15): 225-232, 2001

      27 Treuth, M. S., "Effects of strength training on total and regional body composition in older men" 77 (77): 614-620, 1994

      28 Rowland, T. W., "Effects of obesity on aerobic fitness in adolescent females" 145 (145): 764-768, 1991

      29 윤성덕, "12주간의 근력트레이닝이 대학생의 신체구성과, 기초체력, 1RM 및 등속성 근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발육발달학회 18 (18): 179-185, 201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6 1.26 1.1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5 0.98 0.956 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