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약칭 ‘사회보장급여법’ 41조 6항의 지역사회보장협의체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이다. A면지역사회보장협의체는 그 지역의 특성, 즉 외딴 마을에 노인인구가 많아 고립의 위험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361754
2017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59-96(38쪽)
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약칭 ‘사회보장급여법’ 41조 6항의 지역사회보장협의체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이다. A면지역사회보장협의체는 그 지역의 특성, 즉 외딴 마을에 노인인구가 많아 고립의 위험이...
본 연구는 약칭 ‘사회보장급여법’ 41조 6항의 지역사회보장협의체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이다.
A면지역사회보장협의체는 그 지역의 특성, 즉 외딴 마을에 노인인구가 많아 고립의 위험이 높으므로, ‘다함께 돌자 동네 한바퀴’ 누리단을 만들어 방문상담을 하고 사각지대 발굴시 면사무소에 연결하는 시스템을 매우 잘 운영하고 있다. 500원만 내면 탈수 있는 행복택시 운영, 조손가구 손자녀들을 위한 속옷과 생리대 제공, 릴레이후원과 같은 특화사업을 하고 있다.
이러한 사업에 대한 주민들의 반응과 변화는 다음과 같다. 즉, ‘다양한 복지서비스(협의체 특화사업)에 대해 고마워함’, ‘풍부해지고 체계적인 서비스를 위해서는 민관 협력이 중요함’, ‘민관협력에서 주민이 주도자가 되어야 함’. ‘주민들이 복지활동에 익숙해지고 참여하는 주민이 많아짐’, ‘아동, 노인 등 후원 혹은 나눔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함’.
A면지역사회보장협의체의 활성화 요인과 정책적 시사점, 그리고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a qualitative case study of the Community Security Council under Article 41 (6) of the Social Security Benefit Act. The A-region Social Security Council has a system that connects the residents to the labor offices when they find a bl...
This study is a qualitative case study of the Community Security Council under Article 41 (6) of the Social Security Benefit Act.
The A-region Social Security Council has a system that connects the residents to the labor offices when they find a blind spot and makes a visit to the village to find out the blind spot because the elderly population in the remote village is high and the risk of isolation is high. It operates very well. It has a special business such as operating a happy taxi with dehydration within 500 won, offering underwear and sanitary napkins for grandchildren"s grandchildren, and sponsoring relays.
The responses and changes of residents in these projects are as follows. In other words, "Thank you for the various welfare services (consultation specialized projects)", "Public-private cooperation is important for richer and systematic services", and "Residents must be the leading figure in public-private partnership". "The number of residents participating in welfare activities has increased and they have become accustomed to welfare activities," and actively participated in sponsoring or sharing activities such as children and seniors.
This study suggests follow - up researches on the activation factors and policy suggestions of A - region social security council.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Jojn W. Creswell, "질적 연구방법론-다섯가지 접근-" 학지사 2010
2 신경림, "질적 연구 방법론"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4
3 함철호, "지역사회복지거버넌스 - 네트워크 조직으로서 지역사회보장협의체의 발전방안 -"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54) : 213-243, 2015
4 보건복지부,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운영안내"
5 이태준, "지역복지전달체계 개선방안 연구 : 서울시 ‘찾아가는 동 주민센타’운영을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16
6 신용규, "읍면동복지허브화와 사회복지관의 파트너쉽 방안”에 대한 토론. 「지역사회 복지의 민관협력 : 지속가능성을 생각하다」" 247-263, 2016
7 박기용, "읍면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의 운영현황과 개선방향 : 포항시를 중심으로" 아주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2017
8 오민수, "읍면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에 관한 탐색적 사례연구: 읍⋅면⋅동 중심의 민관협력 내용 변화를 중심으로" 빈곤문제국제개발연구원 24 (24): 35-78, 2015
9 김이배, "읍면동 복지허브화의 특징과 쟁점" 비판과대안을위한사회복지학회/비판과대안을위한건강정책학회 (53) : 326-376, 2016
10 채현탁, "읍면동 복지허브화 추진내용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58) : 141-171, 2016
1 Jojn W. Creswell, "질적 연구방법론-다섯가지 접근-" 학지사 2010
2 신경림, "질적 연구 방법론"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4
3 함철호, "지역사회복지거버넌스 - 네트워크 조직으로서 지역사회보장협의체의 발전방안 -"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54) : 213-243, 2015
4 보건복지부,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운영안내"
5 이태준, "지역복지전달체계 개선방안 연구 : 서울시 ‘찾아가는 동 주민센타’운영을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16
6 신용규, "읍면동복지허브화와 사회복지관의 파트너쉽 방안”에 대한 토론. 「지역사회 복지의 민관협력 : 지속가능성을 생각하다」" 247-263, 2016
7 박기용, "읍면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의 운영현황과 개선방향 : 포항시를 중심으로" 아주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2017
8 오민수, "읍면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에 관한 탐색적 사례연구: 읍⋅면⋅동 중심의 민관협력 내용 변화를 중심으로" 빈곤문제국제개발연구원 24 (24): 35-78, 2015
9 김이배, "읍면동 복지허브화의 특징과 쟁점" 비판과대안을위한사회복지학회/비판과대안을위한건강정책학회 (53) : 326-376, 2016
10 채현탁, "읍면동 복지허브화 추진내용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58) : 141-171, 2016
11 관계부처합동, "읍면동 복지허브화 추진계획" 2016
12 김필두, "읍면동 복지기능 강화 시범사업 평가 및 전달체계개편 모형개발" 보건복지부․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15
13 보건복지부, "읍면동 맞춤형복지팀 운영안내"
14 데보라 패짓, "사회복지질적연구방법론" 나남출판 2001
15 Richard T. Pulice, "사회복지 질적 연구방법의 이론과 활용" 나남출판 2003
16 Robert E. Stake., "사례연구방법" 창지사 2000
17 최영화, "부산시 동 복지기능강화 사업 운영평가 연구" 부산복지개발원 2017
18 김이배, "부산복지 전달체계 혁신전략 수립 연구" 부산복지개발원 2015
19 이현주, "복지전달체계 개편평가 및 확산방안 마련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4
20 김이배, "박근혜정부의 지역복지전달체계 개편 연구 - 동주민센터 복지기능강화 지침을 중심으로 -"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52) : 87-115, 2015
21 함철호, "‘읍면동복지허브화’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G시 A동의 경우-"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60) : 59-97, 2017
22 Abramson J. S., "Interdisciplinary and Interorganiz-national collaboration" NASW 1995
23 Weiner M. E., "Human Services Management: Analysis and Applications" The Dorsey Press 1982
24 Hardcastle, Wenocur an Powers, "Community Practice: Theories and Skills for Social Workers"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노인사회활동지원사업 참여단절 노인의 적응에 관한 질적 연구
정읍시 중고령자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활동적 노화 요인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6-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9 | 1.29 | 1.3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35 | 1.33 | 1.68 | 0.3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