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내 이야기는 막내딸, 막내아들, 막내사위, 막내며느리에 대한 것으로 크게 나뉘는데 예외적인 경우도 있지만 이들 네 경우를 막내 이야기의 네 유형으로 봐도 될 듯하다. 같은 막내라도 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79842
2007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막내 이야기는 막내딸, 막내아들, 막내사위, 막내며느리에 대한 것으로 크게 나뉘는데 예외적인 경우도 있지만 이들 네 경우를 막내 이야기의 네 유형으로 봐도 될 듯하다. 같은 막내라도 딸...
막내 이야기는 막내딸, 막내아들, 막내사위, 막내며느리에 대한 것으로 크게 나뉘는데 예외적인 경우도 있지만 이들 네 경우를 막내 이야기의 네 유형으로 봐도 될 듯하다. 같은 막내라도 딸인지, 아들인지, 그리고 사위인지, 며느리인지에 따라 별개의 독특한 캐릭터로 형성된 것이다. 여기에는 전통사회의, 남/녀, 혈연/비혈연에 대한 관념과 이에 따른, 딸, 아들, 사위, 며느리에 대한 관념이 중층적으로 작용했을 것이기 때문이다.
먼저 막내딸의 경우 주로 아버지의 권위에 도전함으로써 집에서 쫓겨나고 자립하여 성공하는 것으로 나타나므로 그 시련의 원인과 성공의 의미를 부권과의 관계에서 검토하려고 한다. 막내아들의 경우 형제간의 우열, 갈등 등이 시련의 주요한 계기가 된다. 그리고 막내아들의 성공 내지 문제의 해결 지점은 아버지에 대한 효 내지 가세 회복이다. 따라서 딸과 아들의 경우 그 시련의 계기와 성공의 의미를 부권과의 관계에서 고찰할 필요가 있다.
막내사위와 며느리의 경우, 주로 신분상의 열세 때문에 처가 혹은 시집 식구들로부터 천대를 받는 것으로 나타난다. 그리고 대체로 순간적인 기지로 열세를 극복하여 집안사람들의 신임을 받는 것으로 문제가 해결된다. 따라서 사위와 며느리의 경우 외부에서 새로 편입된, 신참자로서 겪는 통과제의의 시련이 특히, 여러 동서들 중 가장 유약한 막내를 통해 나타난 것으로 볼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네 유형의 이야기 분석을 통해 도출된 결과를 중심으로 막내 캐릭터의 특징을 종합적으로 정리하려고 한다. 특히, 막내의, ‘시련의 계기’와 ‘성공의 의의’와 관련하여 그 서사구조적 특징을 논의하려고 한다. 그리고 논의된 결과를 형제, 가족, 인간(개인) 관념을 비롯한 사회·문화적 의의와 관련시키려 한다. 이를 통해 막내는 단순히 가족 관계 내의 약자가 아니라 사회적인 약자, 소수자 등 그 문화적 함축이 다양함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주지하듯이 막내캐릭터는 무속신화에 이미 있던 것이다. 따라서 신화를 비롯해 다양한 민속자료를 검토하여 막내의 신화적 의미 내지 민속학적 배경을 탐사하고 이것이 설화에서 변이된 양상을 검토하려고 한다. 궁극적으로는 설화에서 막내 캐릭터가 생성된 배경을 신화와 관련하여 논의하려고 한다.
막내 캐릭터는 세계 전 지역의 민담에 두루 나타난다. 따라서 우리 막내 캐릭터의 특성을 분명히 하기 위해 영국의 경우와 비교해 보려고 한다. 특히, 막내의, ‘시련의 계기’와 ‘성공의 의의’, 그리고 시련을 극복하여 성공에 이르는 데 작용한 그 캐릭터의 자질에 한정하여 두 경우를 비교하려 한다. 예컨대 한국의 경우 막내는 대체로 아버지와의 불화 때문에 집을 나서면서 시련을 겪게 되는데 이를 극복하는 데는 운이나 지혜가 동원되며 그 결과 아버지와 재결합하게 된다. 반면 영국의 경우 막내는 개인의 특출한 모험심 때문에 집을 나서면서 시련을 겪게 되는데 이를 극복하는 데 운, 모험심, 투쟁력이 동원되며 그 결과 가족과의 재회보다는 그 특출한 개성과 개인의 성공 내지 영화가 강조된다.
이상의, ‘시련-투쟁-성공’을 둘러싼 막내의 캐릭터 비교 결과를 각 민족의 형제, 가족, 인간(개인) 관념을 비롯한 사회·문화적 의의와 관련시키려 한다. 여기에는 민족지를 중심으로 두 나라의 전통적인 사유 방식, 사회·문화적 배경 등에 대한 검토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를 통해 같은 막내라도 그 형성 배경 내지 의의는 다름을 알 수 있을 것이며 궁극적으로는 우리 막내 캐릭터의 본질적 특성을 정확하게 알 수 있게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현대 대중문화 현상에서 막내 캐릭터를 찾아보아 설화상의 막내가 어떻게 전승되었는지 검토해 보려 한다. 특히, 가족의 문제를 다루는 최근 드라마를 중심으로 현재 사회에서 막내의 의미를 조명하고 궁극적으로는 설화의 막내캐릭터와의 관련성을 검토하려고 한다. 이는 단순히 전통 문화의 전승 양상을 확인하는 것이 아니라 막내라는 매력적인 캐릭터가 이 시대에 어떤 모습으로 재창조될 수 있는지, 그 활용 방안을 모색한다는 의미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