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물리치료학과 전공능력 진단도구 개발 및 타당도 연구 = Development and Validity of Majoring Competency Assessment Tool for the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40758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of the development for assessment tool for physical therapy majoring competency, and total of five items extracted: basic health care capability, physical therapy assessment capability, physical therapy intervention capability, advanced physical therapy capability, and clinical physical therapy capability. The assessment tool confirmed a total of 80 questions of the content validity, consensus, convergence, and stability through the first Delphi analysis, and 9 questions were deleted and 71 questions were derived. And the majoring competency assessment tool was re-verified through the second Delphi analysis. In order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contents of the measurement items of the majoring competency assessment tool, the question application and clarity of statement were measured. For data analysis, mean, standard deviation, the content validity, consensus, convergence, and stability were calculated using Microsoft Excel 2010 and IBM SPSS Statistics 22, and the results were derived, and data were provided to Delphi members to secure content validity for correction and dele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judged that the content validity was secured in accordance with all criteria in the question application and clarity of statement, a majoring competency assessment tool. Therefore, through this study, it is thought that it will be helpful for competency management by securing the competency evaluation modeling of physiotherapy students.
      번역하기

      In this study of the development for assessment tool for physical therapy majoring competency, and total of five items extracted: basic health care capability, physical therapy assessment capability, physical therapy intervention capability, advanced ...

      In this study of the development for assessment tool for physical therapy majoring competency, and total of five items extracted: basic health care capability, physical therapy assessment capability, physical therapy intervention capability, advanced physical therapy capability, and clinical physical therapy capability. The assessment tool confirmed a total of 80 questions of the content validity, consensus, convergence, and stability through the first Delphi analysis, and 9 questions were deleted and 71 questions were derived. And the majoring competency assessment tool was re-verified through the second Delphi analysis. In order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contents of the measurement items of the majoring competency assessment tool, the question application and clarity of statement were measured. For data analysis, mean, standard deviation, the content validity, consensus, convergence, and stability were calculated using Microsoft Excel 2010 and IBM SPSS Statistics 22, and the results were derived, and data were provided to Delphi members to secure content validity for correction and dele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judged that the content validity was secured in accordance with all criteria in the question application and clarity of statement, a majoring competency assessment tool. Therefore, through this study, it is thought that it will be helpful for competency management by securing the competency evaluation modeling of physiotherapy studen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물리치료학과 전공능력에 관한 진단도구의 개발을 위하여 문항을 보건 의료 기초역량, 물리치료 평가 역량, 물리치료 중재 역량, 물리치료 심화 역량, 물리치료 임상 역량으로 총 5개 역량으로 추출하였다. 진단도구는 1차 델파이 분석을 통하여 총 80문항의 내용타당도, 합의도, 수렴도, 안정도를 확인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9문항이 삭제되고 71문항이 도출되었다. 그리고 2차 델파이 분석을 통하여 전공능력 진단도구를 재검증하였다. 전공능력 진단도구 측정항목에 대한 내용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문항 적절성과 진술 명확성을 측정하였다. 자료분석은 Microsoft Excel 2010과 IBM SPSS Statistics 22를 활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내용타당도, 긍정률, 합의도, 수렴도, 안정도를 산출하여 결과를 도출한 후 델파이 위원들에게 자료를 제공하여 수정 및 삭제된 내용에 대한 내용타당도를 확보하였다. 연구결과, 전공능력 진단도구 문항 적절성과 진술 명확성에서 모든 기준에 부합하여 내용타당도가 확보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를 통하여 물리치료학과 학생들의 역량평가 모델링 확보하여 역량관리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물리치료학과 전공능력에 관한 진단도구의 개발을 위하여 문항을 보건 의료 기초역량, 물리치료 평가 역량, 물리치료 중재 역량, 물리치료 심화 역량, 물리치료 임상 역량으로 총 ...

      본 연구는 물리치료학과 전공능력에 관한 진단도구의 개발을 위하여 문항을 보건 의료 기초역량, 물리치료 평가 역량, 물리치료 중재 역량, 물리치료 심화 역량, 물리치료 임상 역량으로 총 5개 역량으로 추출하였다. 진단도구는 1차 델파이 분석을 통하여 총 80문항의 내용타당도, 합의도, 수렴도, 안정도를 확인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9문항이 삭제되고 71문항이 도출되었다. 그리고 2차 델파이 분석을 통하여 전공능력 진단도구를 재검증하였다. 전공능력 진단도구 측정항목에 대한 내용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문항 적절성과 진술 명확성을 측정하였다. 자료분석은 Microsoft Excel 2010과 IBM SPSS Statistics 22를 활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내용타당도, 긍정률, 합의도, 수렴도, 안정도를 산출하여 결과를 도출한 후 델파이 위원들에게 자료를 제공하여 수정 및 삭제된 내용에 대한 내용타당도를 확보하였다. 연구결과, 전공능력 진단도구 문항 적절성과 진술 명확성에서 모든 기준에 부합하여 내용타당도가 확보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를 통하여 물리치료학과 학생들의 역량평가 모델링 확보하여 역량관리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백승수, "핵심역량기반 교양교육의 당면 과제와 개선 방향" 한국교양교육학회 14 (14): 11-23, 2020

      2 박은숙, "핵심역량기반 교양교육과정 운영에 관한 연구 -N 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15 (15): 147-168, 2021

      3 김문경 ; 최인묵 ; 오민재, "항공서비스 전공능력 진단도구 개발과 타당도 검증" 한국관광연구학회 35 (35): 163-176, 2021

      4 이진수 ; 양승훈, "보건계열학과 NCS 기반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방안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8 (8): 281-291, 2014

      5 노효련, "물리치료사 전문화 제도 기준에 대한 인식" 대한물리의학회 16 (16): 67-75, 2021

      6 박은영 ; 김원호 ; 이관우, "물리치료 전문직관의 핵심가치에 대한 요인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 13 (13): 5901-5908, 2012

      7 김은정 ; 이태원 ; 성행남, "대학생의 진로 결정과 진로 선택 동기, 진로 역량의 인과적 관계" 한국산업정보학회 26 (26): 73-89, 2021

      8 김현순, "대학생 진로개발역량 척도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103-127, 2018

      9 박남수, "국가직무능력표준을 활용한 병원행정 전문인력 교육과정 개선방안 연구" 한국병원경영학회 19 (19): 22-33, 2014

      10 이철우 ; 장원혁 ; 심재형, "교과연계 국가자격증 비교과프로그램이 현장중심 직무역량과 맞춤형 취⋅창업역량간의 관계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2 (22): 93-110, 2022

      1 백승수, "핵심역량기반 교양교육의 당면 과제와 개선 방향" 한국교양교육학회 14 (14): 11-23, 2020

      2 박은숙, "핵심역량기반 교양교육과정 운영에 관한 연구 -N 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15 (15): 147-168, 2021

      3 김문경 ; 최인묵 ; 오민재, "항공서비스 전공능력 진단도구 개발과 타당도 검증" 한국관광연구학회 35 (35): 163-176, 2021

      4 이진수 ; 양승훈, "보건계열학과 NCS 기반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방안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8 (8): 281-291, 2014

      5 노효련, "물리치료사 전문화 제도 기준에 대한 인식" 대한물리의학회 16 (16): 67-75, 2021

      6 박은영 ; 김원호 ; 이관우, "물리치료 전문직관의 핵심가치에 대한 요인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 13 (13): 5901-5908, 2012

      7 김은정 ; 이태원 ; 성행남, "대학생의 진로 결정과 진로 선택 동기, 진로 역량의 인과적 관계" 한국산업정보학회 26 (26): 73-89, 2021

      8 김현순, "대학생 진로개발역량 척도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103-127, 2018

      9 박남수, "국가직무능력표준을 활용한 병원행정 전문인력 교육과정 개선방안 연구" 한국병원경영학회 19 (19): 22-33, 2014

      10 이철우 ; 장원혁 ; 심재형, "교과연계 국가자격증 비교과프로그램이 현장중심 직무역량과 맞춤형 취⋅창업역량간의 관계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2 (22): 93-110, 2022

      11 이경건 ; 신명경 ; 박정우 ; 이선경 ; 홍훈기 ; 심한수, "과학교과 역량의 다면적 이해와 쟁점의 탐색: 일반 핵심역량과의 관계를 고려하여" 과학교육연구소 43 (43): 94-118, 2019

      12 김윤영 ; 윤지영, "공학계열 학생 핵심역량 진단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공학교육학회 24 (24): 3-20, 2021

      13 "http://www.ncs.go.kr/index.jsp"

      14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Job competency development" 2015

      15 이하진 ; 권기정, "NCS(국가직무능력표준)를 적용한 회계․세무 교육과정과 교육성과간의 관련성 분석" 한국국제회계학회 (79) : 127-147, 2018

      16 Ministry of Education, "Advancement of College Education(ACE+) (ACE+) basic plan"

      17 Park Hye Jung, "A general education program planning model for university students based on the core competencies The case of K university"

      18 C. H. Lawshe,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19 Tae young Oh, "2nd Job Analysis Study of Physical Therapist" Korea Health Personnel Licensing Examination Institute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