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온연료의 점화 및 화염 소화특성에 미치는 복사효과 = Radiation Effects on the Ignition and Flame Extinction of High-temperature Fue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1624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radiation effects on the auto-ignition and extinction characteristics of a non-premixed fuel-air counterflow field were numerically investigated. A detailed reaction mechanism of GRI-v3.0 was used for the calculation of chemical reactions and the optically-thin radiation model was adopted in the simulations. The flame-controlling continuation method was also used in the simulation to predict the auto-ignition point and extinction limits precisely.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maximum H radical concentration, (YH)max, rather than the maximum temperature was suitable to understand the ignition and extinction behaviors. S-, C- and O-curves, which were well known from the previous theory, were identified by investigating the (YH)max. The radiative heat loss fraction (fr) and spatially-integrated heat release rate (IHRR) were introduced to grasp each extinction mechanism. It was also found that the fr was the highest at the radiative extinction limit. At the flame stretch extinction limit, the flame was extinguished due to the conductive heat loss which attributed to the high strain rate although the heat release rate was the highest. The radiation affected on the radiative extinction limit and auto-ignition point considerably, however the effect on the flame stretch extinction limit was negligible. A stable flame regime defined by the region between each extinction limit became wide with increasing the fuel temperature.
      번역하기

      The radiation effects on the auto-ignition and extinction characteristics of a non-premixed fuel-air counterflow field were numerically investigated. A detailed reaction mechanism of GRI-v3.0 was used for the calculation of chemical reactions and the ...

      The radiation effects on the auto-ignition and extinction characteristics of a non-premixed fuel-air counterflow field were numerically investigated. A detailed reaction mechanism of GRI-v3.0 was used for the calculation of chemical reactions and the optically-thin radiation model was adopted in the simulations. The flame-controlling continuation method was also used in the simulation to predict the auto-ignition point and extinction limits precisely.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maximum H radical concentration, (YH)max, rather than the maximum temperature was suitable to understand the ignition and extinction behaviors. S-, C- and O-curves, which were well known from the previous theory, were identified by investigating the (YH)max. The radiative heat loss fraction (fr) and spatially-integrated heat release rate (IHRR) were introduced to grasp each extinction mechanism. It was also found that the fr was the highest at the radiative extinction limit. At the flame stretch extinction limit, the flame was extinguished due to the conductive heat loss which attributed to the high strain rate although the heat release rate was the highest. The radiation affected on the radiative extinction limit and auto-ignition point considerably, however the effect on the flame stretch extinction limit was negligible. A stable flame regime defined by the region between each extinction limit became wide with increasing the fuel temperatu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대향류 비예혼합 연료-공기 유동장에서 고온연료의 점화특성과 형성된 화염의 소화특성에 미치는 복사효과에 대해 수치계산을 통해 검토하였다. 화학반응의 계산을 위해 GRI-v3.0의 상세화학반응기구를 사용하였으며, 단열계산과 광학적으로 얇은 복사모델을 적용하여 계산을 수행하였다. 대향류 유동장의 점화와 소화점을 정확히 찾기 위하여 화염제어 연속계산법을 적용하였다. 결과를 통해 스트레인율 변화에 대해 최고 온도보다는 최고 H 라디칼 농도가 점화와 소화거동을 이해하는데 더 적합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최고 H 라디칼 농도변화 거동을 통해 기존에 알려진 S-곡선, C-곡선 및O-곡선 등을 확인하였다. 복사열손실 분율(fr)과 공간에 대해 적분된 열발생률(IHRR)을 통해 fr이 가장 큰 점에서 복사효과에 의한 소화가 발생하였으며, 화염신장 소화점에서는 IHRR이 가장 높지만 화염에서의 전도에 의한 열손실로 인해 소화가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복사는 화염신장 소화점에는 거의 영향이 없지만 복사 소화점과 점화점에는 큰 영향을 주는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연료의 온도가 높아질수록 복사에 의한 소화점의 스트레인율과 화염신장에 의한 스트레인율 사이의 영역이 넓어지게 되어 화염 안정성이 향상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번역하기

      대향류 비예혼합 연료-공기 유동장에서 고온연료의 점화특성과 형성된 화염의 소화특성에 미치는 복사효과에 대해 수치계산을 통해 검토하였다. 화학반응의 계산을 위해 GRI-v3.0의 상세화학...

      대향류 비예혼합 연료-공기 유동장에서 고온연료의 점화특성과 형성된 화염의 소화특성에 미치는 복사효과에 대해 수치계산을 통해 검토하였다. 화학반응의 계산을 위해 GRI-v3.0의 상세화학반응기구를 사용하였으며, 단열계산과 광학적으로 얇은 복사모델을 적용하여 계산을 수행하였다. 대향류 유동장의 점화와 소화점을 정확히 찾기 위하여 화염제어 연속계산법을 적용하였다. 결과를 통해 스트레인율 변화에 대해 최고 온도보다는 최고 H 라디칼 농도가 점화와 소화거동을 이해하는데 더 적합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최고 H 라디칼 농도변화 거동을 통해 기존에 알려진 S-곡선, C-곡선 및O-곡선 등을 확인하였다. 복사열손실 분율(fr)과 공간에 대해 적분된 열발생률(IHRR)을 통해 fr이 가장 큰 점에서 복사효과에 의한 소화가 발생하였으며, 화염신장 소화점에서는 IHRR이 가장 높지만 화염에서의 전도에 의한 열손실로 인해 소화가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복사는 화염신장 소화점에는 거의 영향이 없지만 복사 소화점과 점화점에는 큰 영향을 주는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연료의 온도가 높아질수록 복사에 의한 소화점의 스트레인율과 화염신장에 의한 스트레인율 사이의 영역이 넓어지게 되어 화염 안정성이 향상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C. T. Bowman, "http://www.me.berkeley.edu/gri_mech/"

      2 D. T. Gottuk, "The Development and Mitigation of Backdraft: A Real-scale Shipboard Study" 33 : 261-282, 1999

      3 C. M. Fleischmann, "Quantitative Backdraft Experiments" 337-348, 1994

      4 Y. Ju, "On the Extinction Limit and Flammability Limit of Non-adiabatic Stretched Methane-air Premixed Flames" 342 : 315-334, 1997

      5 F. C. Frate, "On Flammability Limits of Dry CO/O2 Opposed-jet Diffusion Flames" 28 : 2047-2054, 2000

      6 A. E. Jutz, "OPPDIF : A Fortran Program for Computing Opposed- Flow Diffusion Flames" 1997

      7 W. G. Weng, "Experimental Study of Back-draft in a compartment with Openings of Different Geometries" 132 : 709-714, 2003

      8 J. S. T’ien, "Diffusion Flame Extinction at Small Stretch Rates: The Mechanism of Radiative Loss" 65 : 31-34, 1986

      9 W. G. Weng, "Critical Condition of Backdraft in Compartment Fires: A Reduced-scale Experimental Study" 16 : 19-26, 2003

      10 R. J. Kee, "Chemkin-II: A Fortran Chemical Kinetic Package for the Analysis of Gas Phase Chemical Kinetics" 1989

      1 C. T. Bowman, "http://www.me.berkeley.edu/gri_mech/"

      2 D. T. Gottuk, "The Development and Mitigation of Backdraft: A Real-scale Shipboard Study" 33 : 261-282, 1999

      3 C. M. Fleischmann, "Quantitative Backdraft Experiments" 337-348, 1994

      4 Y. Ju, "On the Extinction Limit and Flammability Limit of Non-adiabatic Stretched Methane-air Premixed Flames" 342 : 315-334, 1997

      5 F. C. Frate, "On Flammability Limits of Dry CO/O2 Opposed-jet Diffusion Flames" 28 : 2047-2054, 2000

      6 A. E. Jutz, "OPPDIF : A Fortran Program for Computing Opposed- Flow Diffusion Flames" 1997

      7 W. G. Weng, "Experimental Study of Back-draft in a compartment with Openings of Different Geometries" 132 : 709-714, 2003

      8 J. S. T’ien, "Diffusion Flame Extinction at Small Stretch Rates: The Mechanism of Radiative Loss" 65 : 31-34, 1986

      9 W. G. Weng, "Critical Condition of Backdraft in Compartment Fires: A Reduced-scale Experimental Study" 16 : 19-26, 2003

      10 R. J. Kee, "Chemkin-II: A Fortran Chemical Kinetic Package for the Analysis of Gas Phase Chemical Kinetics" 1989

      11 H. K. Chelliah, "An Experimental and Theoretical Investigation of the Dilution, Pressure and Flow-Field Effects on the Extinction Condition of Methane-Air-Nitrogen Diffusion Flames" 23 : 503-511, 1990

      12 R. J. Kee, "A Fortran Computer Code Package for the Evaluation of Gas-Phase Multicomponent Transport Properties" 1986

      13 M. Nishioka, "A Flame-Controlling Continuation Method for Generating S-Curve Responses with Detailed Chemistry" 104 : 328-342, 199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9-0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10-1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화재.소방학회지 ->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7-07-0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RANSACTION OF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5 0.45 0.4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4 0.45 0.613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