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국제공인 유·초등학교 교육과정(IB PYP)의 특징과 시사점 탐색 =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of the International Baccalaureate Primary Years Progra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54361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국제공인 유·초등 교육과정인 IB PYP(International Baccalaureate Primary Years Program)의 특징을 탐색하고 우리나라 교육과정 개발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

      본 연구는 국제공인 유·초등 교육과정인 IB PYP(International Baccalaureate Primary Years Program)의 특징을 탐색하고 우리나라 교육과정 개발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IB 교육과정 전반과 PYP 교육과정, PYP를 도입한 학교 교육과정 문서들을 총론적, 각론적 차원에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IB 교육의 궁극적 목적이 되는 ‘IB 학습자상’은 중요 지식과 기능 습득, 개념적 이해 개발, 바람직한 태도와 행동 능력이 균형 있게 개발된 인간상을 담고 있었으며, 이에 PYP는 총론적 차원에서 '지식, 개념, 기능, 태도, 행동'을 학습 구성의 필수 요소로 설정하고 구체화하였다. 학교교육은 크게 교과를 통한 학습과 초학문적 주제중심 탐구학습으로 대별되었는데, 후자가 PYP 교육의 핵심적인 특징이 된다. PYP는 교과성취기준을 초학문적 주제와 연계, 초학문적 주제를 중심으로 한 교과 성취기준 구성, 초학문적 주제에 따른 탐구 프로그램의 틀 계획 등을 통해 교사주도의 교육과정 통합 가능성을 강화하고 있었다. PYP를 운영하는 학교들은 유·초등단계 학생들의 언어와 수학적 기본 기능에 대한 완성도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평가 방안과 각 교과별 평가만이 아니라 초학문적 주제 탐구학습에 대한 다면적 평가 계획을 수립하고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필수 능력을 구체화하는 인간상의 설정, 각론이 상위의 총론적 교육목적을 향해 일관성을 갖출 수 있도록 하는 각론 구성의 틀 개발, 교과통합 교육에 집중해 볼 수 있도록 하는 장치 마련, 교사들의 통합적 교육과정 재구성 작업에 수월성과 방향성을 줄 수 있는 형태의 각론 구성, 초등단계에서 언어와 수리의 기본능력 형성과 탐구중심 통합학습 활동을 위한 면밀한 평가 계획 수립과 운영 등을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national Baccalaureate Primary Years Program (IB PYP) and draw implications for Korean curriculum development. We analyzed the IB program in general, the PYP curriculum, and th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national Baccalaureate Primary Years Program (IB PYP) and draw implications for Korean curriculum development. We analyzed the IB program in general, the PYP curriculum, and the PYP-based school curriculum documents. As a result, we found that the “IB Learner Profile,” which is the goal of IB education, contains balanced ideals regarding the educated person. Therefore, the PYP consists of and specifies five essential elements of knowledge, concepts, skills, attitudes, and action. Education is divided into subject learning and inquiry learning based on transdisciplinary themes, the latter being a key feature of PYP education. The PYP has strengthened the possibility of teacher-led curriculum integration via the method of linking achievement standards to transdisciplinary themes or constructing achievement standards based on transdisciplinary themes, as well as developing the frameworks of inquiry programs based on these themes. Assessment plans are designed to improve the completeness of elementary students’ language and mathematical basic skills, and not only the assessment plan of each subject, but also, multidimensional assessment plans for inquiry learning have been established.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implications for national and school curriculum developmen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미강, "한국어 수업에서의 IB 교육과정 도입 및 프로그램 설계: 국내 국제학교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169-188, 2017

      2 박하식, "한국 외국어고등학교에서 International Baccalaureate Diploma Programme 교육과정의 계획과 운영에 관한 연구" 한국비교교육학회 23 (23): 135-162, 2013

      3 강익수, "학습자의 진로를 고려한 IB Diploma 이수모형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과정학회 25 (25): 49-80, 2007

      4 연합뉴스, "제주 공교육에 IB교육과정 적용 추진…기대․우려 교차"

      5 강익수, "우수 고교생의 대학진학준비 교육과정으로서의 AP와 IB의 비교 연구" 한국비교교육학회 16 (16): 207-9, 2006

      6 임유나, "우리나라 교육과정기준 문서 다층화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탐색" 한국교육방법학회 28 (28): 55-77, 2016

      7 하화주, "우리나라 고등학교에서의 IBDP 교육과정 적용의 현황 및 과제" 한국교육과정학회 30 (30): 51-79, 2012

      8 강익수, "세계화에 대비하는 고교 교육과정의 구성 방향 탐색 : 균형 있는 교육과정 구성을 위한 시론(試論)" 한국교육과정학회 26 (26): 69-96, 2008

      9 유한구, "국민공통기본 교육과정의 성격과 교과의 근본 이념" 36 (36): 117-138, 1998

      10 정혜준, "국내외 지역학교에서의 IB 교육과정 도입 및 접목 사례 연구" 한국교육과정학회 31 (31): 195-212, 2013

      1 김미강, "한국어 수업에서의 IB 교육과정 도입 및 프로그램 설계: 국내 국제학교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169-188, 2017

      2 박하식, "한국 외국어고등학교에서 International Baccalaureate Diploma Programme 교육과정의 계획과 운영에 관한 연구" 한국비교교육학회 23 (23): 135-162, 2013

      3 강익수, "학습자의 진로를 고려한 IB Diploma 이수모형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과정학회 25 (25): 49-80, 2007

      4 연합뉴스, "제주 공교육에 IB교육과정 적용 추진…기대․우려 교차"

      5 강익수, "우수 고교생의 대학진학준비 교육과정으로서의 AP와 IB의 비교 연구" 한국비교교육학회 16 (16): 207-9, 2006

      6 임유나, "우리나라 교육과정기준 문서 다층화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탐색" 한국교육방법학회 28 (28): 55-77, 2016

      7 하화주, "우리나라 고등학교에서의 IBDP 교육과정 적용의 현황 및 과제" 한국교육과정학회 30 (30): 51-79, 2012

      8 강익수, "세계화에 대비하는 고교 교육과정의 구성 방향 탐색 : 균형 있는 교육과정 구성을 위한 시론(試論)" 한국교육과정학회 26 (26): 69-96, 2008

      9 유한구, "국민공통기본 교육과정의 성격과 교과의 근본 이념" 36 (36): 117-138, 1998

      10 정혜준, "국내외 지역학교에서의 IB 교육과정 도입 및 접목 사례 연구" 한국교육과정학회 31 (31): 195-212, 2013

      11 경향신문, "경북대사대부설초, 토론 중심 수업으로 ‘과정’ 평가한다"

      12 "https://www.ibo.org/globalassets/publications/ib-research/pyp/summary-evaluation-of-the-pyp-in-new-zealand-en.pdf"

      13 International Baccalaureate Organization, "What is an IB education?"

      14 Gough, A, "The International Baccalaureate Primary Years Programme (PYP) in Victorian government primary schools"

      15 International Baccalaureate Organization, "The IB Primary Years Programme"

      16 Washington International School, "PYP program of inquiry and assessments" Washington International School 2017

      17 Notre Dame Preparatory and Marist Academy, "ND lower division 4th grade curriculum" Notre Dame Marist Academy 2017

      18 Notre Dame Preparatory and Marist Academy, "ND lower division 2nd grade curriculum" Notre Dame Marist Academy 2017

      19 Michigan Department of Education, "Michigan K-12 standards: Social studies"

      20 International Baccalaureate Organization, "Learning language in the PYP"

      21 International Baccalaureate Organization, "Key facts about the PYP"

      22 Bullock, K, "International Baccalaureate learner profile: Literature review"

      23 Kushner, S., "International Baccalaureate Primary Years Programme in Aotearoa New Zealand: A case-study in whole-school innovation" International Baccalaureate Organization 2016

      24 백경선, "IBO의 PYP와 우리나라 초등 교육과정의 비교 연구" 한국교육과정학회 26 (26): 143-166, 2008

      25 한혜정, "IB(International Baccalaureate)와 호주 VCE(Victorian Certificate of Education)가 우리나라 대학입시성적 산출방식에 주는 시사점 탐색" 한국비교교육학회 19 (19): 83-109, 2009

      26 이향근, "IB(International Baccalaureate) 언어교육과정의 특성과 시사점 연구" 초등교육연구원 25 (25): 91-110, 2014

      27 김재춘, "IB 교육과정이 우리나라 고등학교 선택중심 교육과정의 편성과 운영에 주는 시사점 탐색" 한국열린교육학회 16 (16): 21-38, 2008

      28 International Baccalaureate Organization, "IB learner profile"

      29 International Baccalaureate Organization, "Find an IB world school"

      30 International Baccalaureate Organization, "Facts and Figures"

      31 Getchell, L. A, "Effects of International Baccalaureate Primary Years Programme on teacher philosophy, perceptions of efficacy, and outlook on education" University of Denver

      32 Washington International School, "Curriculum overview, Grade 4" Washington International School 2017

      33 Washington International School, "Curriculum overview, Grade 2" Washington International School 2017

      34 International Baccalaureate Organization, "Curriculum"

      35 Hanover Research, "Current trends in International Baccalaureate programs"

      36 International Baccalaureate Organization, "Benefits of the PYP"

      37 International Baccalaureate Organization, "Assessed curriculum"

      38 김경회, "AP와 IBDP의 대학입학전형자료로 활용가능성 탐색" 교육연구소 22 (22): 135-156, 2016

      39 Pushpanadham, K, "A critical analysis of the International Baccalaureate Primary Years Programme in India"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3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신청제한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81 2.81 2.7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65 2.69 3.561 0.4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