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연구배경 ○ ‘100만 대도시 화성’ 시대를 바라보며, 화성시의 다양한 현황에 대한 이해, 자치역량 및 지역자원에 대한 진단, 미래 발전방향 설정, 전략적 추진사업의 발굴 등이 중요한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1) 연구배경 ○ ‘100만 대도시 화성’ 시대를 바라보며, 화성시의 다양한 현황에 대한 이해, 자치역량 및 지역자원에 대한 진단, 미래 발전방향 설정, 전략적 추진사업의 발굴 등이 중요한 ...
(1) 연구배경
○ ‘100만 대도시 화성’ 시대를 바라보며, 화성시의 다양한 현황에 대한 이해, 자치역량 및 지역자원에 대한 진단, 미래 발전방향 설정, 전략적 추진사업의 발굴 등이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음
- 화성시는 전국 75개 시(市) 중에서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도시로 2030년 인구1,164,000명에 이를 것으로 추정하고 있음
○ 화성시의 도시경쟁력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을 통하여 현재 수준을 파악하고, 향후 화성시 미래상 실현, 부문별 정책 수립과 핵심사업의 효율적 추진 등을 위한 기초자료 구축 및 지속적 관리의 필요성이 요구됨
- 한국공공자치연구원의 ‘지방자치경쟁력 분석 모델(KLCI)’의 지표체계에 따른 3개 부문, 13개 영역, 80개 지표를 활용하여 심층분석을 실시하며, 과거부터의 도시경쟁력 추이분석 및 경쟁 지자체와의 비교분석 등을 통하여 객관적 자료를 확보함
○ 화성시는 한국공공자치연구원에서 매년 분석하여 발표하는 ‘지방자치경쟁력 분석’ 결과 2018년부터 2020년까지 전국 75개 지자체 중 가장 높은 도시경쟁력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전국 75개 시 중에 1위임과 동시에, 시, 군, 구 전체 226개 기초지차제 중에서도 가장 높은 도시경쟁력을 가지고 있는 지자체로 분석됨
(2) 연구 목적
○ 첫째, 화성시의 도시경쟁력에 대한 세부분석을 실시하고 도시경쟁력 수준을 진단함
○ 둘째, 화성시의 도시경쟁력 변화 추이분석 및 유사한 여건을 가지고 있는 우수 지자체와 비교분석을 실시함
○ 셋째, 도시경쟁력 지표 관련 통계자료를 체계적으로 조사하고 정리하여 향후 정책구상, 사업추진 등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구축함
○ 넷째, 화성시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하여 화성시 특성이 고려된 ‘미래 도시경쟁력 지표체계(안)’을 제안하여 향후 화성시가 도시경쟁력을 유지하고 강화할 수 있는 방향성을 제시함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