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남은 자와 떠난 자, 관찰자가 말하는 톈안먼사건의 기억 - 연극에 반영된 문화기억을 중심으로 = 留下者, 離開者, `觀察者所說的對“天安門事件”的記憶 - 以反映在戱劇作品的文化記憶爲主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03884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연극에 담긴 톈안먼의 기억이라는 주제 하에 다양한 기억주체들의 작품에 대한 비교ㆍ분석을 시도하였다. `남은 자`로 명명한 중국 본토연극에서는 멍징후이의 < 나는 XXX를 사랑한다 >와 머우썬의 <제로 파일>을 분석하였다. 이들 개개인은 그 자체로 생생한 기억을 갖고 있는 매개체이지만, 강력한 억압에 직접 노출되어 있었으며, 개인의 기억은 사회적 네트워크를 통해 타인의 기억과 연결되지 못하였다. 이로 인해 기억은 강박과 해체의 기억증후군으로 드러났다. 멍징후이의 < 나는XXX를 사랑한다 >에는 억압된 기억에 대한 해소로서의 텔링을 전면에 내세웠으며, 일방적 말하기인 선언의 방식을 차용하여 `침묵이 드리운 현실에 맞선 제2의 톈안먼시위`를 구현하였다. 머우썬의 <제로 파일>에서는 `억압요소와의 대결` 구도 속에 말에 대한 강박이 표출된다. 이를 통해 개인의 기억이 억압되는 근본적인 삶에 대한 저항을 읽어낼 수 있었다. 둘째, `떠난 자`로 명명한 해외 체류자의 연극으로는 가오싱젠의 <도망>을 분석하고, 중간자적 작가의 정체성이 투영되어 기억과 망각을 통해 정체성 탐색으로 이어지는 기억양상을 파악하였다. 그는 기억공간으로 설정한 창고를 통해 톈안먼사건에 대한 기억을 서사로 풀어낸 후, 물의 심상을 통해 기억공간에서 심리공간으로의 전환을 의도한다. 이 과정에서 가오싱젠은 정치투쟁에 반발한 자아투쟁을 전개한다. 그는 기억과 망각의 변증적 과정을 통해 성찰과 사유로 통하는 자아 탐색의 길을 대안적 길로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관찰자`로 명명한 해외극으로 루시 커크우드의 <차이메리카>를 분석하였다. 이 작품은 관찰자로서 거리감이 생긴 기억으로 톈안먼사건을 담아낸다. 기억의 메타포에 초점을 맞춰, 기억에 작용하는 국가 간 이해관계를 조망해 냈다. 루시 커크우드는 중국 정부의 탄압을 고발하는 동시에 정의로 포장된 미국의 속물성을 꼬집는다. 루시 커크우드는 진실을 막고 있는 다양한 기억주체의 얽히고설킨 이해관계를 지적하는데 그치지 않고 기억주체 간의 상호이해와 소통을 시도한다. 이들 맹목성에 대한 경계와 소통이 바로 관찰자로서의 작가가 꿈꾸는 대안적 기억이라 볼 수 있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연극에 담긴 톈안먼의 기억이라는 주제 하에 다양한 기억주체들의 작품에 대한 비교ㆍ분석을 시도하였다. `남은 자`로 명명한 중국 본토연극에서는 멍징후이의 < 나는 XXX를 사...

      본 논문은 연극에 담긴 톈안먼의 기억이라는 주제 하에 다양한 기억주체들의 작품에 대한 비교ㆍ분석을 시도하였다. `남은 자`로 명명한 중국 본토연극에서는 멍징후이의 < 나는 XXX를 사랑한다 >와 머우썬의 <제로 파일>을 분석하였다. 이들 개개인은 그 자체로 생생한 기억을 갖고 있는 매개체이지만, 강력한 억압에 직접 노출되어 있었으며, 개인의 기억은 사회적 네트워크를 통해 타인의 기억과 연결되지 못하였다. 이로 인해 기억은 강박과 해체의 기억증후군으로 드러났다. 멍징후이의 < 나는XXX를 사랑한다 >에는 억압된 기억에 대한 해소로서의 텔링을 전면에 내세웠으며, 일방적 말하기인 선언의 방식을 차용하여 `침묵이 드리운 현실에 맞선 제2의 톈안먼시위`를 구현하였다. 머우썬의 <제로 파일>에서는 `억압요소와의 대결` 구도 속에 말에 대한 강박이 표출된다. 이를 통해 개인의 기억이 억압되는 근본적인 삶에 대한 저항을 읽어낼 수 있었다. 둘째, `떠난 자`로 명명한 해외 체류자의 연극으로는 가오싱젠의 <도망>을 분석하고, 중간자적 작가의 정체성이 투영되어 기억과 망각을 통해 정체성 탐색으로 이어지는 기억양상을 파악하였다. 그는 기억공간으로 설정한 창고를 통해 톈안먼사건에 대한 기억을 서사로 풀어낸 후, 물의 심상을 통해 기억공간에서 심리공간으로의 전환을 의도한다. 이 과정에서 가오싱젠은 정치투쟁에 반발한 자아투쟁을 전개한다. 그는 기억과 망각의 변증적 과정을 통해 성찰과 사유로 통하는 자아 탐색의 길을 대안적 길로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관찰자`로 명명한 해외극으로 루시 커크우드의 <차이메리카>를 분석하였다. 이 작품은 관찰자로서 거리감이 생긴 기억으로 톈안먼사건을 담아낸다. 기억의 메타포에 초점을 맞춰, 기억에 작용하는 국가 간 이해관계를 조망해 냈다. 루시 커크우드는 중국 정부의 탄압을 고발하는 동시에 정의로 포장된 미국의 속물성을 꼬집는다. 루시 커크우드는 진실을 막고 있는 다양한 기억주체의 얽히고설킨 이해관계를 지적하는데 그치지 않고 기억주체 간의 상호이해와 소통을 시도한다. 이들 맹목성에 대한 경계와 소통이 바로 관찰자로서의 작가가 꿈꾸는 대안적 기억이라 볼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本論文在戱劇作品中的“天安門事件”記憶的主題下對多樣記憶主體的作品進行了比較分析本論文根據莫裏斯·哈布瓦赫 (Maurice Halb wachs) 提出的“社會?架”槪念把硏究對象分爲留下者, 離開者, 觀察者. 第一章, 把中國大陸劇家命名“留下者”, 以孟京輝的 <我愛XXX> 和牟森的<零?案> 爲代表作品, 進行了探討。卽使他們個個人具有活生生的記憶, 因爲受到最强大的壓迫, 所以個人的記憶就無法通過社會的網絡?他人的記憶?接。因此他們的記憶以强迫症?和解體等症?候群的方式顯示在作品裏孟京輝的<我愛XXX> 爲解放被壓迫的記憶, 采取了一方向說話(telling) 的方式宣言, 抵抗陷入沈默的現實, 舞臺上展現了第二個“天安門運動”. 在牟森的<零?案> 在?壓迫因素的較量的結構中表現出說話的强迫?。卽, 舞臺上的說話目標不是對話, 而是爭取舞臺的權力。 他呈現對個人記憶被壓迫的根本世界的抵抗。第二章, 把滯留海外的戱劇家命名爲“離開者”, 對高行健的<逃亡> 進行了分析。他把倉庫設定記憶空間而事關於天安門事件的記憶, 然後通過“水”的意象, 倉庫從記憶空間轉換到心理空間。在 “天安門事件”的忘記和人生的記憶交叉之中劇中人物中年男性面對從自我逃?的自己. 在高的眼裏, 忘記是一種治愈和思維的出發點。他通過記憶和忘記的辯證法的過程,提示了通往反省和思考的自我探索的道路。第三章,把海外戱劇家命名爲“觀察者”, 對露西ㆍ柯克伍德的<中美共同體> 進行了分析。該作品描寫已生成距離感的記憶。針對記憶的象征,展現了對記憶起作用的社會?架。?投訴中國政府的壓迫的同時, 也?掘了看起來站在其對面的, 似乎正義的美國的世俗性和盲目性. 但?不僅指出隔開理的各個記憶主體的利害關系,也試圖他們之間的相互理解和溝通。對這些盲目性的警戒和溝通正是作觀察者的作家夢想的替代記憶。
      번역하기

      本論文在戱劇作品中的“天安門事件”記憶的主題下對多樣記憶主體的作品進行了比較分析本論文根據莫裏斯·哈布瓦赫 (Maurice Halb wachs) 提出的“社會?架”槪念把硏究對象分爲留下者, 離開�...

      本論文在戱劇作品中的“天安門事件”記憶的主題下對多樣記憶主體的作品進行了比較分析本論文根據莫裏斯·哈布瓦赫 (Maurice Halb wachs) 提出的“社會?架”槪念把硏究對象分爲留下者, 離開者, 觀察者. 第一章, 把中國大陸劇家命名“留下者”, 以孟京輝的 <我愛XXX> 和牟森的<零?案> 爲代表作品, 進行了探討。卽使他們個個人具有活生生的記憶, 因爲受到最强大的壓迫, 所以個人的記憶就無法通過社會的網絡?他人的記憶?接。因此他們的記憶以强迫症?和解體等症?候群的方式顯示在作品裏孟京輝的<我愛XXX> 爲解放被壓迫的記憶, 采取了一方向說話(telling) 的方式宣言, 抵抗陷入沈默的現實, 舞臺上展現了第二個“天安門運動”. 在牟森的<零?案> 在?壓迫因素的較量的結構中表現出說話的强迫?。卽, 舞臺上的說話目標不是對話, 而是爭取舞臺的權力。 他呈現對個人記憶被壓迫的根本世界的抵抗。第二章, 把滯留海外的戱劇家命名爲“離開者”, 對高行健的<逃亡> 進行了分析。他把倉庫設定記憶空間而事關於天安門事件的記憶, 然後通過“水”的意象, 倉庫從記憶空間轉換到心理空間。在 “天安門事件”的忘記和人生的記憶交叉之中劇中人物中年男性面對從自我逃?的自己. 在高的眼裏, 忘記是一種治愈和思維的出發點。他通過記憶和忘記的辯證法的過程,提示了通往反省和思考的自我探索的道路。第三章,把海外戱劇家命名爲“觀察者”, 對露西ㆍ柯克伍德的<中美共同體> 進行了分析。該作品描寫已生成距離感的記憶。針對記憶的象征,展現了對記憶起作用的社會?架。?投訴中國政府的壓迫的同時, 也?掘了看起來站在其對面的, 似乎正義的美國的世俗性和盲目性. 但?不僅指出隔開理的各個記憶主體的利害關系,也試圖他們之間的相互理解和溝通。對這些盲目性的警戒和溝通正是作觀察者的作家夢想的替代記憶。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吳文光, "浪漫北京-最後的夢想者"

      2 아리프 딜릭, "텐안문(天安門)을 잊어라, 중국인들의 감정을 상하게 해서 새로운 ‘신중국’과의 거래를 놓치고 싶지 않으니까!" 중국근현대사학회 (62) : 251-273, 2014

      3 김문정, "중국실험미술에 있어서 은유적 역사기술의 문제" 동북아시아문화학회 1 (1): 321-337, 2014

      4 필립 스미스, "문화이론 사회학적 접근" 이학사 2013

      5 "루시 커크우드 작. 성수정 역, 박찬규 윤색, <차이메리카>. 두산아트센터 제공"

      6 피에르 노라, "기억의 장소1" 나남 2010

      7 알라이다 아스만, "기억의 공간" 그린비 2014

      8 태지호, "기억문화연구"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9 장희재, "가오싱젠(高行健) 80년대 희곡에 드러난 언어인식 연구 : 주제의식과 표현기법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1

      10 高行建, "逃亡" 聯合文學 2001

      1 吳文光, "浪漫北京-最後的夢想者"

      2 아리프 딜릭, "텐안문(天安門)을 잊어라, 중국인들의 감정을 상하게 해서 새로운 ‘신중국’과의 거래를 놓치고 싶지 않으니까!" 중국근현대사학회 (62) : 251-273, 2014

      3 김문정, "중국실험미술에 있어서 은유적 역사기술의 문제" 동북아시아문화학회 1 (1): 321-337, 2014

      4 필립 스미스, "문화이론 사회학적 접근" 이학사 2013

      5 "루시 커크우드 작. 성수정 역, 박찬규 윤색, <차이메리카>. 두산아트센터 제공"

      6 피에르 노라, "기억의 장소1" 나남 2010

      7 알라이다 아스만, "기억의 공간" 그린비 2014

      8 태지호, "기억문화연구"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9 장희재, "가오싱젠(高行健) 80년대 희곡에 드러난 언어인식 연구 : 주제의식과 표현기법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1

      10 高行建, "逃亡" 聯合文學 2001

      11 許曉煜, "談話卽道路" 湖南美術出版社 1999

      12 陶慶梅, "文人畵的現代命運藝術手冊2014"

      13 陶慶梅, "必須旗幟鮮明地反對動亂" 人民日報

      14 京輝, "先鋒戱劇檔案(아방가르드 연극 파일)" 作家出版社 2011

      15 장희재, "中國大陸先鋒戱劇先鋒性之變遷硏究(중국본토 아방가르드연극의 성격변천 연구)" 난징대학교 2015

      16 "Richard Gordon 감독, 天安門The Gate of Heavenly Peace"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7-05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연극학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Theatre Studies Association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4 0.34 0.3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6 0.34 0.825 0.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