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기술혁신형(Inno-Biz) 중소기업의 기술경영성과에 미치는 핵심요인에 관한 연구 = A Study of the Core Factors Affecting the Performance of Technology Management of Inno-Biz SM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21404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core factors of innovative capabilities and technological entrepreneurship affecting the performance of technology management and business management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Through the consideration about the complex natures of technological innovation affecting by multidimensional factors, this study designs the research model that innovative capabilities, the performances of technology and business management are arranged in accordance with the innovation process; input-output-outcome. To meet this research purpose, the hypothesis are set up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studies and the research samples are selected from members of the Innovative Business (INNO-BIZ)Association, located in Seoul and Geyonggi province.
      As a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to the responses gathered from 360 firms, the performance of business management is influenced positively by the technology superiority, market growth and business profitability which are the dominant factors of performance of technology management. In addition, three sub-variables of innovative capabilities such as R&D, strategic planning and learning capability, have positive effects on both the managerial performances. Innovativeness and progressiveness of technological entrepreneurship affect both the performances positively. Moreover, the co-relation between technological entrepreneurship of an innovation leader and innovative capabilities of organizational members are identified. Lastly, technological entrepreneurship has the mediating effect on the path of leading innovative capabilities to the managerial performances.
      In conclusion, the research results imply that technological innovation-type firms should periodically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echnology management which are the output of technological innovations and the reinvestment for ultimate business success.
      And improving and developing innovative capabilities and technological entrepreneurship is required to continuously and consistently investing and supporting resources on technological innovations at the firm-and government-level. It is considered that these are the crucial methods for securing the technologically competitive advantage of SMEs with less resources and narrow innovation range.
      번역하기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core factors of innovative capabilities and technological entrepreneurship affecting the performance of technology management and business management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Through the consideration ...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core factors of innovative capabilities and technological entrepreneurship affecting the performance of technology management and business management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Through the consideration about the complex natures of technological innovation affecting by multidimensional factors, this study designs the research model that innovative capabilities, the performances of technology and business management are arranged in accordance with the innovation process; input-output-outcome. To meet this research purpose, the hypothesis are set up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studies and the research samples are selected from members of the Innovative Business (INNO-BIZ)Association, located in Seoul and Geyonggi province.
      As a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to the responses gathered from 360 firms, the performance of business management is influenced positively by the technology superiority, market growth and business profitability which are the dominant factors of performance of technology management. In addition, three sub-variables of innovative capabilities such as R&D, strategic planning and learning capability, have positive effects on both the managerial performances. Innovativeness and progressiveness of technological entrepreneurship affect both the performances positively. Moreover, the co-relation between technological entrepreneurship of an innovation leader and innovative capabilities of organizational members are identified. Lastly, technological entrepreneurship has the mediating effect on the path of leading innovative capabilities to the managerial performances.
      In conclusion, the research results imply that technological innovation-type firms should periodically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echnology management which are the output of technological innovations and the reinvestment for ultimate business success.
      And improving and developing innovative capabilities and technological entrepreneurship is required to continuously and consistently investing and supporting resources on technological innovations at the firm-and government-level. It is considered that these are the crucial methods for securing the technologically competitive advantage of SMEs with less resources and narrow innovation rang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의 기술경영성과와 기업경영성과 창출에 기여하는 핵심 영향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자원기반관점에서 혁신역량과 기술적 기업가정신의 결정요인들을 활용하여 영향관계를 검증하였다. 다차원적 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 기술혁신의 복합적 특성을 고려하여, 혁신프로세스 관점에서 기업특수자원인 혁신역량을 투입물로,기술경영성과를 산출물로, 그리고 기업경영성과를 결과물로 인식하여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서울과 경기지역의 제조업 중심의 360개 이노비즈 인증기업을 대상으로 실시된 설문응답을 실증분석한 결과, 기술가치평가의 정성적 지표를 개량하여 기술경영성과의 결정요인으로적용한 기술우수성, 시장성장성, 사업수익성은 기업경영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혁신역량의 결정요인인 연구개발능력, 전략계획능력, 학습능력과 기술적 기업가정신의 결정요인인 혁신성, 진취성은 기술경영성과와 기업경영성과에 유의한 정(+)의 관계를 보였다. 즉, 높은 수준의 혁신역량과 기업가정신은 기술경영성과를 증대시키며, 궁극적으로 기업경영성과를 실현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개념적 영향관계와 기술혁신의 촉진요인으로서 기술적 기업가정신의 역할과 중요성을 규명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최근 중요성이 부각되는 기술집약적 기업의 기술경영에 대한 성과평가기준을 수립할 시, 기술혁신의 복합적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는 재무적 성과보다는 자원과 역량의 조합을 통해 구현된 기술경영성과에 대한 주기적 평가를 실시해야 함을 설명한다. 이는기술경영성과는 자원의 한계성과 좁은 혁신의 범위로 특징되어지는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이향후 추진할 새로운 기술혁신에 재투입될 수 있도록 기술혁신에 대한 지속적이고 일관된 투자를 실시함을 시사한다. 또한 본 연구는 정책연구에서 개념적으로 적용되어온 기술적 기업가정신에 대한 실증분석을 통해 그 역할을 규명한 의의를 갖고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의 기술경영성과와 기업경영성과 창출에 기여하는 핵심 영향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자원기반관점에서 혁신역량과 기술적 기업가정신의 결정요인들을 활용하...

      본 연구는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의 기술경영성과와 기업경영성과 창출에 기여하는 핵심 영향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자원기반관점에서 혁신역량과 기술적 기업가정신의 결정요인들을 활용하여 영향관계를 검증하였다. 다차원적 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 기술혁신의 복합적 특성을 고려하여, 혁신프로세스 관점에서 기업특수자원인 혁신역량을 투입물로,기술경영성과를 산출물로, 그리고 기업경영성과를 결과물로 인식하여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서울과 경기지역의 제조업 중심의 360개 이노비즈 인증기업을 대상으로 실시된 설문응답을 실증분석한 결과, 기술가치평가의 정성적 지표를 개량하여 기술경영성과의 결정요인으로적용한 기술우수성, 시장성장성, 사업수익성은 기업경영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혁신역량의 결정요인인 연구개발능력, 전략계획능력, 학습능력과 기술적 기업가정신의 결정요인인 혁신성, 진취성은 기술경영성과와 기업경영성과에 유의한 정(+)의 관계를 보였다. 즉, 높은 수준의 혁신역량과 기업가정신은 기술경영성과를 증대시키며, 궁극적으로 기업경영성과를 실현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개념적 영향관계와 기술혁신의 촉진요인으로서 기술적 기업가정신의 역할과 중요성을 규명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최근 중요성이 부각되는 기술집약적 기업의 기술경영에 대한 성과평가기준을 수립할 시, 기술혁신의 복합적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는 재무적 성과보다는 자원과 역량의 조합을 통해 구현된 기술경영성과에 대한 주기적 평가를 실시해야 함을 설명한다. 이는기술경영성과는 자원의 한계성과 좁은 혁신의 범위로 특징되어지는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이향후 추진할 새로운 기술혁신에 재투입될 수 있도록 기술혁신에 대한 지속적이고 일관된 투자를 실시함을 시사한다. 또한 본 연구는 정책연구에서 개념적으로 적용되어온 기술적 기업가정신에 대한 실증분석을 통해 그 역할을 규명한 의의를 갖고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영배, "혁신형중소기업 기업특성 기술학습과 경영성과"

      2 유연우, "중소 제조기업의 기술혁신 성과 결정 요인에 관한 분석" 한국전자거래학회 15 (15): 61-87, 2010

      3 정선양, "전략적 기술경영" 朴英社 2007

      4 이춘우, "자원기반관점의 연구지평 확장 방향 탐색 : 중소기업 자원경영의 전략적 과제를 중심으로" 한국중소기업학회 31 (31): 51-71, 2009

      5 이동석, "우리나라 중소기업의 기술혁신능력과 기술사업화능력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0

      6 김영배, "우리나라 벤처기업의 성장단계에 대한실증조사 핵심성공요인 환경특성 최고경영자 역할과 외부자원 활용" 8 (8): 125-153, 2000

      7 성태경, "기업의 기술혁신 활동 결정요인: 자원기반 관점에서 본 탐색적 연구" 기술경영경제학회 10 (10): 69-90, 2002

      8 Smith,G.V, "Valua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and Intangible Assets" John Wiley & Sons 1994

      9 Grant,R, "The resource-based theory of competitive advantage implication for strategy formulation" 33 (33): 114-135, 1991

      10 Zhou,Kevin Z, "The effects of strategic orientations on technology and market-based breakthrough innovations" 69 (69): 42-60, 2005

      1 김영배, "혁신형중소기업 기업특성 기술학습과 경영성과"

      2 유연우, "중소 제조기업의 기술혁신 성과 결정 요인에 관한 분석" 한국전자거래학회 15 (15): 61-87, 2010

      3 정선양, "전략적 기술경영" 朴英社 2007

      4 이춘우, "자원기반관점의 연구지평 확장 방향 탐색 : 중소기업 자원경영의 전략적 과제를 중심으로" 한국중소기업학회 31 (31): 51-71, 2009

      5 이동석, "우리나라 중소기업의 기술혁신능력과 기술사업화능력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0

      6 김영배, "우리나라 벤처기업의 성장단계에 대한실증조사 핵심성공요인 환경특성 최고경영자 역할과 외부자원 활용" 8 (8): 125-153, 2000

      7 성태경, "기업의 기술혁신 활동 결정요인: 자원기반 관점에서 본 탐색적 연구" 기술경영경제학회 10 (10): 69-90, 2002

      8 Smith,G.V, "Valua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and Intangible Assets" John Wiley & Sons 1994

      9 Grant,R, "The resource-based theory of competitive advantage implication for strategy formulation" 33 (33): 114-135, 1991

      10 Zhou,Kevin Z, "The effects of strategic orientations on technology and market-based breakthrough innovations" 69 (69): 42-60, 2005

      11 Covin,J.G, "The development and testing of an organizational-level entrepreneurship scale",in Ronstadt et al.(Eds.),Frontiers of Entrepreneurship Research" Babson College 628-639, 1986

      12 Peteraf,M.A, "The cornerstones of competitive advantage:A resource-based view" 1 (1): 179-181, 1993

      13 Penrose,E, "The Theory of the Growth of the Firm" Wiley 1959

      14 Lassen,A.H.,F.Gertsen, "The Nexus of corporate entrepreneurship and radical innovation" 15 (15): 359-372, 2006

      15 OECD, "The Measurement of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activities" Final draft of the third edition 2005

      16 White,M.A, "The Management of Technology and Innovation" Thomson South-Western 2007

      17 Dorf,R.C, "Technology Ventures:From Idea to Enterprise" McGraw-Hill 2005

      18 Kropp,F, "Technological entrepreneurship and small business innovation research program" (7) : 2005

      19 Burgelman,R.A, "Strategic Management of Technology and Innovation" McGraw-Hill 2009

      20 Venkataraman,S, "Regional transformation through technological entrepreneurship Venturing" 19 (19): 153-167, 2003

      21 Globe,S.,G.W.Levy, "Key factors and events in the innovation process" 16 (16): 8-15, 1973

      22 Guan,J, "Innovative capability and export performance of Chinese firms" (23) : 737-747, 2003

      23 Rothwell,R, "Innovation and the Small and Medium Sized Firm:Their Role in Employment and in Economic Change" Frances Printer Limited 1982

      24 Yu,J, "Governing Technological Entrepreneurship in China and the West",Public Administration Review,Vol.69,No.1,pp" 69 (69): 95-100, 2009

      25 Wang,C.,I.Lu, "Evaluating firm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y under uncertainty" (28) : 349-363, 2008

      26 Zahra,S.A, "Environment,corporate entrepreneurship,and financial performance:a taxonomic approach" 8 (8): 319-340, 1993

      27 Zahra,S.A, "Contextual influences on the corporate entrepreneurshipperformance relationship:a longitudinal analysis" 10 (10): 43-58, 1995

      28 Hayek,Friedrich A, "Competition as a discovery procedur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79-190, 1978

      29 Lumpkin,G.T, "Clarifying the entrepreneurial orientation to firm performance" (21) : 135-172, 1996

      30 Burnett, David, "Burnett,David(2000),The supply of entrepreneurship and economic development,in Burnett,D.Technoprenerial.com:History of Entrepreneurship Theory"

      31 Dierickx,I, "Asset stock accumulation and the sustainability of competitive advantage:Reply" 35 (35): 1514-1534, 1989

      32 Yam,R.C.M, "An audit of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ies in Chinese firms:some empirical findings in Beijing" (33) : 1123-1140, 2004

      33 Antoncic B, "Alliances,corporate technological entrepreneurship and firm performance:Testing a model on manufacturing firms" (28) : 257-265, 2008

      34 Guan,J.,R,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etitiveness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y based on DEA models" 1700 (1700): 971-986, 2006

      35 Wernerfelt,B, "A Resource-based view of the firm" 5 (5): 171-180, 198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2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기슬혁신연구 -> 기술혁신연구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4 0.54 0.8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2 0.92 1.204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