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ina insisted a theory of Four Commanderies recovery since Shu(隋) dynasty. It became the main reason for the expedition to Goguryeo(高句麗). They claimed that Lelang(樂浪) and Xuantu(玄菟) which originally belonged to Han(漢) should be rest...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hina insisted a theory of Four Commanderies recovery since Shu(隋) dynasty. It became the main reason for the expedition to Goguryeo(高句麗). They claimed that Lelang(樂浪) and Xuantu(玄菟) which originally belonged to Han(漢) should be rest...
China insisted a theory of Four Commanderies recovery since Shu(隋) dynasty. It became the main reason for the expedition to Goguryeo(高句麗). They claimed that Lelang(樂浪) and Xuantu(玄菟) which originally belonged to Han(漢) should be restored. This perception later became a framework to look at the entire ancient Korean nations. What had been previously mentioned in discussion among the ruler and officials reached the level of being systematically organized in ≪Tongdian(通典)≫ written in the middle of Tang(唐) period. This study explores ≪Tongdian≫ to examine how China's perception of ancient Korean nations emerged. The external conception and political climate of that time are also considered.
<Province and district Section(州郡門)> in ≪Tongdian≫ deals with China's territorial change. In the context, Lelang and Xuantu are treated as their own territory. Duyou(杜佑) considered the territories of the Former and Later Han(後漢) as Tang's domain. Then, he states that it became the land of Dong-yi(東夷) at the time of writing. On the one hand, <Frontier Defense Section(邊防門)> addresses several countries ranging from Gojoseon(古朝鮮) to Three Kingdoms(三國). In particular, Goguryeo and Silla(新羅) are stated in relation to Lelang or Xuantu. Emphasizing a connection with China, it delivered a message to form a perception that the ancient Korean countries originated from the Chinese territory, by extension, established by Chinese.
Traditionally, China had the external conception based on Sinocentrism. In this context, barbarians are needed to be ruled or edified by them. However, Tang became unable to dominate surroundings due to "Anlushan Rebellion(安史之亂)". Moreover, Tang was losing ground. Duyou sought to diverge from the existing hegemony and continue the glory of China by emphasizing their cultural superiority. In this process, a future plan to claim the right for territory of Dong-yi after restoration of national power was formed and it was presented in ≪Tongdian≫. The book became a must-read for the officials afterwards. Furthermore, its perception of ancient Korean nations formed a framework for ancient Korean history which influences later generations.
국문 초록 (Abstract)
중국에서는 隋代부터 漢四郡의 영역을 회복해야 한다는 郡縣回復論이 제창되었다. 이는 漢代의 樂浪과 玄菟가 본래 중국의 땅이었으니 회복해야한다는 주장으로, 고구려 원정의 주요 명분...
중국에서는 隋代부터 漢四郡의 영역을 회복해야 한다는 郡縣回復論이 제창되었다. 이는 漢代의 樂浪과 玄菟가 본래 중국의 땅이었으니 회복해야한다는 주장으로, 고구려 원정의 주요 명분이 되었다. 이러한 인식은 이후 한국 고대 국가 전체를 바라보는 틀로 자리하게 되었다. 기존에는 君臣의 논의에서 거론되었던 것이, 唐代 중반에 작성된 『通典』에서는 체계적으로 정리되는 수준에 이르렀다. 이번 논문에서는 『通典』의 내용 분석을 통하여 중국의 한국 고대 국가 인식이 어떻게 나타났는지에 대해 살펴보고, 당대의 현실 및 對外觀과도 연계하여 고찰하는 작업을 하였다.
『通典』의 「州郡門」은 중국의 역대 疆域 변천을 다룬 것으로, 여기에서 낙랑과 현도는 중국의 고유 영토인 것처럼 다뤄진다. 특히 杜佑는 前漢과 後漢의 영토를 唐의 영토 기준으로 삼으면서, 서술 당시 시점에는 東夷의 땅이 되었다고 하였다. 「邊防門」에서는 고조선부터 삼국에 이르는 국가들을 다루었으며, 이 중에서 고구려와 신라 등에 대한 기록에서 낙랑이나 현도와의 연관성을 거론하였다. 두우는 중국과의 연관성을 강조하면서 한국 고대 국가들이 본래 중국의 영역 혹은 중국인에게서 비롯되었다는 인식을 확립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중국은 전통적으로 중화사상을 기반으로 하는 대외관을 가져, 주변의 夷狄을 힘으로 복속시키거나 敎化시켜야한다고 여겼다. 그렇지만 당은 安史의 亂을 계기로 주변 지역 제압이 불가능해지는 것은 물론 도리어 밀리는 형국이 되었다. 두우는 기존의 패권주의에서 벗어나서, 중국의 문화적 우월성을 강조하며 중화의 영광을 이어나가고자 하였다. 이 과정에서 향후 국력 회복 이후 동이 지역의 연고권을 주장하기 위한 관념이 형성되었으며, 이는 『通典』을 통해 제시되었다. 이후 『通典』은 역대 관리들의 필독서가 되면서, 『通典』의 한국 고대 국가에 대한 인식은 한국고대사를 바라보는 틀이 되어 후대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참고문헌 (Reference)
1 기수연, "?後漢書? ?東夷列傳?에 나타난 韓國古代史의 인식" 고조선단군학회 7 : 29-74, 2002
2 류준형, "황제들의 당제국사" 푸른역사 2016
3 李容遠, "한서지리지・구혁지" 자유문고 2007
4 宋昌斌, "천추흥망: 수・당나라 중화문화의 절정기 (葛劍雄 編)" 따뜻한손 2009
5 송인창, "천명(天命)과 유교적 인간학" 심산출판사 2011
6 조법종, "중국학계의 고조선연구검토 ―동북공정 전후시기 연구를 중심으로―" 고려사학회 (25) : 9-49, 2006
7 기수연, "중국학계의 고조선, 한사군 인식에 대한 비판적 검토" 고조선단군학회 23 : 5-38, 2010
8 布目潮渢, "중국의 역사: 수당오대" 혜안 2001
9 篠原啓方, "중국 학계의 韓國上古史 인식- 古朝鮮史ㆍ夫餘史를 중심으로 -" 한국고대학회 (29) : 61-105, 2008
10 정동준, "의자왕대 백제에 대한 당의 인식 변화 — 외교문서의 분석을 중심으로 —" 수선사학회 (55) : 31-63, 2016
1 기수연, "?後漢書? ?東夷列傳?에 나타난 韓國古代史의 인식" 고조선단군학회 7 : 29-74, 2002
2 류준형, "황제들의 당제국사" 푸른역사 2016
3 李容遠, "한서지리지・구혁지" 자유문고 2007
4 宋昌斌, "천추흥망: 수・당나라 중화문화의 절정기 (葛劍雄 編)" 따뜻한손 2009
5 송인창, "천명(天命)과 유교적 인간학" 심산출판사 2011
6 조법종, "중국학계의 고조선연구검토 ―동북공정 전후시기 연구를 중심으로―" 고려사학회 (25) : 9-49, 2006
7 기수연, "중국학계의 고조선, 한사군 인식에 대한 비판적 검토" 고조선단군학회 23 : 5-38, 2010
8 布目潮渢, "중국의 역사: 수당오대" 혜안 2001
9 篠原啓方, "중국 학계의 韓國上古史 인식- 古朝鮮史ㆍ夫餘史를 중심으로 -" 한국고대학회 (29) : 61-105, 2008
10 정동준, "의자왕대 백제에 대한 당의 인식 변화 — 외교문서의 분석을 중심으로 —" 수선사학회 (55) : 31-63, 2016
11 여호규, "설림: 중국의 東北工程과 高句麗史 인식체계의 변화" 한국사연구회 (126) : 277-315, 2004
12 이기동, "서경강설"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11
13 양종국, "백제 의자왕대의 정치와 對中外交 성격 검토" 백제문화연구소 1 (1): 153-176, 2012
14 박선미, "동북공정에 나타난 고조선사 인식검토" 고구려발해학회 29 : 161-180, 2007
15 이준성, "동북공정 종료 후 중국학계의 고구려 ‘대외관계사’ 연구 동향" 한국고대학회 (53) : 49-70, 2017
16 김현숙, "동북공정 이후 중국의 고구려사 연구 동향" 역사공간 2017
17 최광식, "동북공정 이후 중국 연구서에 보이는 고구려· 발해 인식" 한국고대학회 (29) : 107-131, 2008
18 정병준, "당의 한반도 정책과 대응" 신라사학회 (45) : 133-168, 2019
19 서성, "당대 문인의 신라 인식 ― 당시 속에 나타난 신라 관련 시를 중심으로" 중국학연구소 (36) : 55-78, 2012
20 임기환, "남북조기 한중 책봉, 조공 관계의 성격 -고구려, 백제의 책봉, 조공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고대사학회 32 : 13-54, 2003
21 金毓黻, "김육불의 東北通史 下" 동북아역사재단 2007
22 홍승현, "고대 중국 華夷觀의 성립과 성격 -春秋三傳의 검토를 중심으로-" 중국사학회 (57) : 187-226, 2008
23 이정자, "고구려에 대한 중국 정사의 이중인식문제 연구 -남북조시대를 중심으로-" 숭실사학회 (23) : 5-39, 2009
24 李貞子, "魏晋時代 高句麗-中國 관계 인식" 14 : 2005
25 송영대, "高句麗와 唐의 箕子朝鮮 認識 檢討" 부산경남사학회 (100) : 171-202, 2016
26 김수진, "隋・唐의 高句麗 失地論과 그 배경: 對高句麗戰 명분의 한 측면" 54 : 2008
27 윤용구, "隋唐의 對外政策과 高句麗 遠征: 裴矩의 '郡縣回復論'을 중심으로" 5 : 2005
28 "通典"
29 "詩經"
30 이도학, "衛滿의 頭髮과 服裝을 실마리로 한 한국 고대문화의 정체성 탐색" 온지학회 (56) : 151-180, 2018
31 "舊唐書"
32 張鳳英, "略論杜佑的《通典》" 湘潭師範學院 (1) : 2000
33 "漢書"
34 韓昇, "杜佑及其名著《通典》新論" 上海社會科學院 (1) : 2006
35 문창로, "新羅와 樂浪의 關係-新羅史에 보이는 ‘樂浪’의 實體와 그 歷史的 意味를 중심으로-" 한국고대사학회 34 : 179-212, 2004
36 "後漢書"
37 "尙書"
38 정병준, "安東都護府考" 고구려발해학회 42 : 279-305, 2012
39 "孟子"
40 김진한, "嬰陽王代高句麗의 政局動向과 對隋關係" 고구려발해학회 33 : 69-94, 2009
41 우성민, "唐詩를 중심으로 본 唐代 文人들의 高句麗, 渤海에 대한 認識" 중국사학회 (120) : 1-37, 2019
42 張榮芳, "唐代 史書의 百濟에 對한 記錄과 認識" 21 : 1990
43 강필임, "唐 文人의 新羅에 대한 認識 樣相 小考" 한국중문학회 (38) : 25-46, 2009
44 최진열, "唐 前·後期 羅唐戰爭 서술과 인식 – 『唐會要』와 『通典』의 분석을 중심으로" 동북아역사재단 (56) : 136-192, 2017
45 李春植, "中華思想의 理解" 신서원 2002
46 陳光崇, "中國의 歷史認識 上 (閔斗基 編)" 創作과批評社 1985
47 李鍾洙, "中國의 夫餘史 認識과 硏究現況 檢討" 고구려발해학회 28 : 111-132, 2007
48 국사편찬위원회, "中國正史 朝鮮傳 譯註 1" 국사편찬위원회 2007
49 이성제, "中國學界의‘唐征高句麗論’과 歷史認識의 諸問題" 고구려발해학회 36 : 9-36, 2010
50 宮崎市定, "中國中世史" 신서원 1996
51 기수연, "中國 正史 속의 高句麗 - 중국의 고구려 귀속 논리에 대한 문헌사적 검토 -" 고조선단군학회 10 : 5-28, 2004
52 정운용, "中國 正史 4史에 보이는 韓國古代史 認識" 한국고대학회 (29) : 37-60, 2008
53 박경철, "中國 古文獻 資料에 비쳐진 韓國古代史像" 한국고대학회 (29) : 5-35, 2008
54 "三國志"
55 문창로, "『삼국지』 한전(韓傳)의 ‘삼한(三韓)’ 인식" 동북아역사재단 (55) : 153-196, 2017
56 송영대, "『通典』 「邊防門」 東夷目의 구성과 한국고대사 인식 硏究" 한국전통문화대학교 2020
57 許佳, "《通典·高句麗》硏究" 福建師範大學 2014
58 趙楊, "《通典·邊防典》硏究" 安徽大學 2012
59 崔蘭海, "≪通典・州郡典≫硏究" 安徽大學 2010
60 이문규, "[단행본] 고대 중국인이 바라본 하늘의 세계" 문학과지성사 2000
61 송영대, "[通典]에 기재된 ‘東夷之地’ 의미 분석"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18 (18): 37-66, 2019
62 여호규, "7세기 중엽 국제정세 변동과 고구려 대외관계의 추이" 대구사학회 133 : 151-193, 2018
63 여호규, "6세기말~7세기초 동아시아 국제질서와 고구려 대외정책의 변화 -대수관계(對隋關係)를 중심으로-" 한국역사연구회 (46) : 1-36, 2002
64 정동준, "6세기 동아시아에서의 책봉호의 정치적 의미 — 국제정세의 변동과 백제의 책봉호에 반영된 인식을 중심으로 —" 수선사학회 (66) : 1-26, 2018
65 이정빈, "607년 고구려 동돌궐 교섭의 배경과 목적" 역사학회 (225) : 1-21, 2015
66 방향숙, "5~7世紀 中國王朝들의 百濟에 대한 認識과 外交 戰略의 變化" 백제연구소 (57) : 53-80, 2013
67 이정빈, "570년대 후반~580년대 전반 요서지역의 情勢와 고구려의 대외관계" 동북아역사재단 (44) : 285-314, 2014
68 조법종, "2000년대 이후 중국학계의 고조선연구 -단군, 기자조선 연구를 중심으로-" 한국고대학회 (54) : 5-40, 2017
8세기 중엽 신라의 對唐關係 -在唐 新羅人 金日晟 墓誌銘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18 | 1.18 | 1.0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96 | 0.97 | 2.484 | 0.4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