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SCOPUS SCIE

      발열과 요통을 동반한 혈액투석 환자에서 발견된경막외 농양 1예 = A Case of Epidural Abscess in Hemodialysis Patient Complaining ofFever and Back Pai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77445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pidural abscess in hemodialysis patient is uncommon diseases, but it causes severe neruological complication if diagnois is delayed. In the clinical practice, diagnosis of epidural abscess is often delayed because it is difficult to differentiate epidural abscess with simple back pain.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make early diagnosis and treatment of epidural abscess to prevent neurological sequellae. We here report a case of epidural abscess with early diagnosis and successful treatment. A 54-year-old male patient was admitted to back pain and fever. Under the presumptive diagnosis of epidural abscess, MRI was performed, and it revealed epidural abscess. Intravenous antibiotic treatment was started and drain of abscess was subsequently performed since back pain was persisted. He discharged without neurologic sequellae. Our case strongly suggests that epidural abscess should be considered in patients and early radiologic evaluation and treatment are mandatory to prevent neurological complication.
      번역하기

      Epidural abscess in hemodialysis patient is uncommon diseases, but it causes severe neruological complication if diagnois is delayed. In the clinical practice, diagnosis of epidural abscess is often delayed because it is difficult to differentiate epi...

      Epidural abscess in hemodialysis patient is uncommon diseases, but it causes severe neruological complication if diagnois is delayed. In the clinical practice, diagnosis of epidural abscess is often delayed because it is difficult to differentiate epidural abscess with simple back pain.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make early diagnosis and treatment of epidural abscess to prevent neurological sequellae. We here report a case of epidural abscess with early diagnosis and successful treatment. A 54-year-old male patient was admitted to back pain and fever. Under the presumptive diagnosis of epidural abscess, MRI was performed, and it revealed epidural abscess. Intravenous antibiotic treatment was started and drain of abscess was subsequently performed since back pain was persisted. He discharged without neurologic sequellae. Our case strongly suggests that epidural abscess should be considered in patients and early radiologic evaluation and treatment are mandatory to prevent neurological complic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혈액투석 환자에서 감염은 흔히 나타날 수 있는 합병증 중 하나이다. 혈액투석을 하는 환자에서는 임파구와 과립구의 기능의 이상과 영양 부족, 비타민 D 결핍증 등이 원인이 되어 면역 기능이 자주 떨어지며, 지속적인 장기간의 혈액투석 등에 의해 정상인에 비해 감염에 쉽게 노출 될 수 있는 위험이 있다. 혈액투석 환자에서 감염이 있는 경우 발열과 오한을 일반적으로 동반하나 증상이 전혀 없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또한 감염원 부위에서 발적, 동통 및 삼출물이 생겨서 쉽게 감염원을 찾을 수 있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 감염원 부위가 정상 소견을 보이기 때문에 진단이 어렵다. 혈액투석 환자에서 척추에 발생하는 경막외 농양은, 혈액투석으로 흔히 발생하는 합병증 중에 요통을 동반하는 경우가 있어 실제 발생 할 수 있는 경막외 농양 같은 감염에 의한 요통과 감별이 필요하다. 또한, 이 질환은 진단과 치료 시작에 소요되는 시간에 따라서 질병의 예후가 결정될 수 있어서 조기 진단과 조기 치료가 중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전 세계적으로는 혈액투석 환자에서 발생하는 척추 경막외 농양에 대한 증례가 간간이 보고 되어 있으나 국내에서는 이에 대한 보고가 없다.
      저자들은 최근에 혈액투석 환자에서 발생한 경막외 농양을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번역하기

      혈액투석 환자에서 감염은 흔히 나타날 수 있는 합병증 중 하나이다. 혈액투석을 하는 환자에서는 임파구와 과립구의 기능의 이상과 영양 부족, 비타민 D 결핍증 등이 원인이 되어 면역 기능...

      혈액투석 환자에서 감염은 흔히 나타날 수 있는 합병증 중 하나이다. 혈액투석을 하는 환자에서는 임파구와 과립구의 기능의 이상과 영양 부족, 비타민 D 결핍증 등이 원인이 되어 면역 기능이 자주 떨어지며, 지속적인 장기간의 혈액투석 등에 의해 정상인에 비해 감염에 쉽게 노출 될 수 있는 위험이 있다. 혈액투석 환자에서 감염이 있는 경우 발열과 오한을 일반적으로 동반하나 증상이 전혀 없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또한 감염원 부위에서 발적, 동통 및 삼출물이 생겨서 쉽게 감염원을 찾을 수 있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 감염원 부위가 정상 소견을 보이기 때문에 진단이 어렵다. 혈액투석 환자에서 척추에 발생하는 경막외 농양은, 혈액투석으로 흔히 발생하는 합병증 중에 요통을 동반하는 경우가 있어 실제 발생 할 수 있는 경막외 농양 같은 감염에 의한 요통과 감별이 필요하다. 또한, 이 질환은 진단과 치료 시작에 소요되는 시간에 따라서 질병의 예후가 결정될 수 있어서 조기 진단과 조기 치료가 중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전 세계적으로는 혈액투석 환자에서 발생하는 척추 경막외 농양에 대한 증례가 간간이 보고 되어 있으나 국내에서는 이에 대한 보고가 없다.
      저자들은 최근에 혈액투석 환자에서 발생한 경막외 농양을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1-11-2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The Korean Journal of Nephrology ->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외국어명 : 미등록 ->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2-2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신장학회지 -> The Korean Society of Nephrology KCI등재
      2007-02-2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신장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Nephrology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1 0.21 0.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4 0.1 0.422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