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본으로 건너간 조선의 한글불화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34423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Hangeul portrait of Buddha, which is represented in the Seizan Museum in Kochi, is well known for Buddhist story with Korean explanation on every scene. This characteristic of portrait founds nowhere else on any other altar portrait of Buddha. By analysis on this portrait, it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it was the Chosokabe Motochika, who tooked portrait to the Japan. According to remaining documents at the Seizan Museum, He tooked the portrait as a war trophy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After the war, He bestowed portrait on the loyal retainer, the descendants of retainer have kept it for ages. Early 20th century, the portrait’s ownership was turned over to the Japan’s feudal and the Japanese Politician Tanaka Mitsuaki, it was donated to Seizan Museum in Kochi. Secondly, the portrait refers to Wolin-seokbo and intelligible explanation indicate that the purpose lays on material for enlightenment. Lastly, the portrait was made by Bhikkuni, and Royal woman supported the production of portrait financially. All these facts indicate that the Joseon royal family owned Bhikkuni temple as a strong candidate for the original location of portrait. The portrait scene, which describes the end of ordeal, riding dragon ship to the heaven, it brought great mental comfort and hope to the royal woman.
      번역하기

      Hangeul portrait of Buddha, which is represented in the Seizan Museum in Kochi, is well known for Buddhist story with Korean explanation on every scene. This characteristic of portrait founds nowhere else on any other altar portrait of Buddha. By anal...

      Hangeul portrait of Buddha, which is represented in the Seizan Museum in Kochi, is well known for Buddhist story with Korean explanation on every scene. This characteristic of portrait founds nowhere else on any other altar portrait of Buddha. By analysis on this portrait, it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it was the Chosokabe Motochika, who tooked portrait to the Japan. According to remaining documents at the Seizan Museum, He tooked the portrait as a war trophy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After the war, He bestowed portrait on the loyal retainer, the descendants of retainer have kept it for ages. Early 20th century, the portrait’s ownership was turned over to the Japan’s feudal and the Japanese Politician Tanaka Mitsuaki, it was donated to Seizan Museum in Kochi. Secondly, the portrait refers to Wolin-seokbo and intelligible explanation indicate that the purpose lays on material for enlightenment. Lastly, the portrait was made by Bhikkuni, and Royal woman supported the production of portrait financially. All these facts indicate that the Joseon royal family owned Bhikkuni temple as a strong candidate for the original location of portrait. The portrait scene, which describes the end of ordeal, riding dragon ship to the heaven, it brought great mental comfort and hope to the royal woma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1. 서론
      • 2. 초소카베 모토치카와 한글 불화
      • 3. 〈한글불화〉의 그림 내용
      • 4. 한글불화의 소재지
      • Abstract
      • 1. 서론
      • 2. 초소카베 모토치카와 한글 불화
      • 3. 〈한글불화〉의 그림 내용
      • 4. 한글불화의 소재지
      • 5. 결론
      • 참고문헌
      •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홍윤표, "한글이야기(2) 한글과 문화" 태학사 17-22, 2013

      2 조흥윤, "한국의 원형신화 원앙부인 본풀이" 서울대학교출판부 17-, 2000

      3 최경원, "조선전기 왕실 比丘尼院 女僧들이 후원한 불화에 보이는 女性救援" 국학연구원 (156) : 177-211, 2011

      4 정우택, "조선왕조시대 전기 궁정화풍 불화의 연구" 한국미술사교육학회 (13) : 135-, 1999

      5 李起雲, "조선시대 왕실의 比丘尼院 설치와 信行" 역사학회 178 : 29-58, 2003

      6 허상호, "조선 후기 祇林寺沙羅水王撑圖像考" 동악미술사학회 (7) : 306-310, 2006

      7 김정교, "조선 초기 變文式불화 –安樂國太子經變相圖" 공간사 (208) : 93-94, 1984

      8 박은경, "조선 전기 불화의 서사적 표현, 佛敎說話圖" 한국미술연구소 (21) : 137-170, 2005

      9 강희정, "조선 전기 불교와 여성의 역할 - 불교미술의 조성기를 중심으로" 아시아여성연구원 41 : 2002

      10 정재영, "안락국태자전변상도" 태학사 156-169, 1998

      1 홍윤표, "한글이야기(2) 한글과 문화" 태학사 17-22, 2013

      2 조흥윤, "한국의 원형신화 원앙부인 본풀이" 서울대학교출판부 17-, 2000

      3 최경원, "조선전기 왕실 比丘尼院 女僧들이 후원한 불화에 보이는 女性救援" 국학연구원 (156) : 177-211, 2011

      4 정우택, "조선왕조시대 전기 궁정화풍 불화의 연구" 한국미술사교육학회 (13) : 135-, 1999

      5 李起雲, "조선시대 왕실의 比丘尼院 설치와 信行" 역사학회 178 : 29-58, 2003

      6 허상호, "조선 후기 祇林寺沙羅水王撑圖像考" 동악미술사학회 (7) : 306-310, 2006

      7 김정교, "조선 초기 變文式불화 –安樂國太子經變相圖" 공간사 (208) : 93-94, 1984

      8 박은경, "조선 전기 불화의 서사적 표현, 佛敎說話圖" 한국미술연구소 (21) : 137-170, 2005

      9 강희정, "조선 전기 불교와 여성의 역할 - 불교미술의 조성기를 중심으로" 아시아여성연구원 41 : 2002

      10 정재영, "안락국태자전변상도" 태학사 156-169, 1998

      11 사재동, "안락국태자경에 대하여" 국어국문학회 (91) : 331-337, 1984

      12 오대혁, "안락국태자경과 이공본풀이의 전승 관계" 한국불교어문학회 (6) : 189-213, 2001

      13 김창일, "사라수탱연구" 국립민속박물관 8 : 87-, 2003

      14 강소연, "불화와 함께 보는 경전 이야기(1) -왕생게로 여는 극락세계<안락국태자경변상도>" 한국불교사연구소 34·35 : 168-188, 2013

      15 사재동, "불교계 서사문학의 연구" 중앙문화사 35-, 1996

      16 김진영, "불교계 강창문학의 연행양상" 한국언어문학회 (43) : 33-, 1999

      17 이수자, "무속신화 이공본풀이의 신화적 의미와 문화사적 위상 –이공본풀이계 서사물의 변용과 의미(1)–" 제주도연구회 (10) : 57-, 1993

      18 김진영, "그림과 문학의 상호 텍스트성과 그림연행" 어문연구학회 51 : 347-379, 2006

      19 津野倫明, "韓國の倭城と壬辰倭亂" 岩田書院 253-269, 2004

      20 熊谷宣夫, "金載元博士回甲紀念論叢" 을유문화사 1061-1086, 1969

      21 신현경, "朝鮮後期 祇林寺 三世佛畵 硏究 : '祇林寺 창건 연기설화'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22 黑川眞道, "土佐物語(2) 四國軍記" 國史硏究會 48-49, 1914

      23 오대혁, "『안락국태자경』의 신이본" 한국문학연구소 (23) : 189-214, 2000

      24 정우영, "<安樂國太子經 變相圖>의 畫記와 한글자료 判讀" 구결학회 (34) : 185-235, 201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5 0.35 0.2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7 0.24 0.556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