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홍윤표, "한글이야기(2) 한글과 문화" 태학사 17-22, 2013
2 조흥윤, "한국의 원형신화 원앙부인 본풀이" 서울대학교출판부 17-, 2000
3 최경원, "조선전기 왕실 比丘尼院 女僧들이 후원한 불화에 보이는 女性救援" 국학연구원 (156) : 177-211, 2011
4 정우택, "조선왕조시대 전기 궁정화풍 불화의 연구" 한국미술사교육학회 (13) : 135-, 1999
5 李起雲, "조선시대 왕실의 比丘尼院 설치와 信行" 역사학회 178 : 29-58, 2003
6 허상호, "조선 후기 祇林寺沙羅水王撑圖像考" 동악미술사학회 (7) : 306-310, 2006
7 김정교, "조선 초기 變文式불화 –安樂國太子經變相圖" 공간사 (208) : 93-94, 1984
8 박은경, "조선 전기 불화의 서사적 표현, 佛敎說話圖" 한국미술연구소 (21) : 137-170, 2005
9 강희정, "조선 전기 불교와 여성의 역할 - 불교미술의 조성기를 중심으로" 아시아여성연구원 41 : 2002
10 정재영, "안락국태자전변상도" 태학사 156-169, 1998
1 홍윤표, "한글이야기(2) 한글과 문화" 태학사 17-22, 2013
2 조흥윤, "한국의 원형신화 원앙부인 본풀이" 서울대학교출판부 17-, 2000
3 최경원, "조선전기 왕실 比丘尼院 女僧들이 후원한 불화에 보이는 女性救援" 국학연구원 (156) : 177-211, 2011
4 정우택, "조선왕조시대 전기 궁정화풍 불화의 연구" 한국미술사교육학회 (13) : 135-, 1999
5 李起雲, "조선시대 왕실의 比丘尼院 설치와 信行" 역사학회 178 : 29-58, 2003
6 허상호, "조선 후기 祇林寺沙羅水王撑圖像考" 동악미술사학회 (7) : 306-310, 2006
7 김정교, "조선 초기 變文式불화 –安樂國太子經變相圖" 공간사 (208) : 93-94, 1984
8 박은경, "조선 전기 불화의 서사적 표현, 佛敎說話圖" 한국미술연구소 (21) : 137-170, 2005
9 강희정, "조선 전기 불교와 여성의 역할 - 불교미술의 조성기를 중심으로" 아시아여성연구원 41 : 2002
10 정재영, "안락국태자전변상도" 태학사 156-169, 1998
11 사재동, "안락국태자경에 대하여" 국어국문학회 (91) : 331-337, 1984
12 오대혁, "안락국태자경과 이공본풀이의 전승 관계" 한국불교어문학회 (6) : 189-213, 2001
13 김창일, "사라수탱연구" 국립민속박물관 8 : 87-, 2003
14 강소연, "불화와 함께 보는 경전 이야기(1) -왕생게로 여는 극락세계<안락국태자경변상도>" 한국불교사연구소 34·35 : 168-188, 2013
15 사재동, "불교계 서사문학의 연구" 중앙문화사 35-, 1996
16 김진영, "불교계 강창문학의 연행양상" 한국언어문학회 (43) : 33-, 1999
17 이수자, "무속신화 이공본풀이의 신화적 의미와 문화사적 위상 –이공본풀이계 서사물의 변용과 의미(1)–" 제주도연구회 (10) : 57-, 1993
18 김진영, "그림과 문학의 상호 텍스트성과 그림연행" 어문연구학회 51 : 347-379, 2006
19 津野倫明, "韓國の倭城と壬辰倭亂" 岩田書院 253-269, 2004
20 熊谷宣夫, "金載元博士回甲紀念論叢" 을유문화사 1061-1086, 1969
21 신현경, "朝鮮後期 祇林寺 三世佛畵 硏究 : '祇林寺 창건 연기설화'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22 黑川眞道, "土佐物語(2) 四國軍記" 國史硏究會 48-49, 1914
23 오대혁, "『안락국태자경』의 신이본" 한국문학연구소 (23) : 189-214, 2000
24 정우영, "<安樂國太子經 變相圖>의 畫記와 한글자료 判讀" 구결학회 (34) : 185-235,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