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일환, "현대사회와 유교의 사회적 덕목 — 충서와 노블레스 오블리주를 중심으로 —" 한국유교학회 (32) : 5-35, 2008
2 신창호, "유교의 교육학 체계" 고려대학교출판부 2012
3 정은재, "선진유가의 교육사상에 관한 연구 : 공자와 맹자를 중심으로"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2004
4 김인, "맹자의 정치사상과 교육" 한국도덕교육학회 30 (30): 1-16, 2018
5 최정묵, "맹자의 이상정치론 ― 입론의 근거와 실현의 공효를 중심으로" 대동철학회 (40) : 67-85, 2007
6 문현상, "맹자의 교육사상 비판" 한국동북아학회 1 (1): 1996
7 이성순, "맹자와 순자의 인성론과 교육론"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2
8 김상래, "맹자와 순자의 인간이해, 그 윤리적 변별성" 온지학회 (37) : 249-274, 2013
9 엄연석, "맹자와 순자 왕패론의 相對的 논리와 相補的 논리" 동아시아문화연구소 (56) : 377-411, 2014
10 신정근, "맹자와 순자 사상의 결정적 차이" 동양철학연구회 (67) : 117-146, 2011
1 김일환, "현대사회와 유교의 사회적 덕목 — 충서와 노블레스 오블리주를 중심으로 —" 한국유교학회 (32) : 5-35, 2008
2 신창호, "유교의 교육학 체계" 고려대학교출판부 2012
3 정은재, "선진유가의 교육사상에 관한 연구 : 공자와 맹자를 중심으로"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2004
4 김인, "맹자의 정치사상과 교육" 한국도덕교육학회 30 (30): 1-16, 2018
5 최정묵, "맹자의 이상정치론 ― 입론의 근거와 실현의 공효를 중심으로" 대동철학회 (40) : 67-85, 2007
6 문현상, "맹자의 교육사상 비판" 한국동북아학회 1 (1): 1996
7 이성순, "맹자와 순자의 인성론과 교육론"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2
8 김상래, "맹자와 순자의 인간이해, 그 윤리적 변별성" 온지학회 (37) : 249-274, 2013
9 엄연석, "맹자와 순자 왕패론의 相對的 논리와 相補的 논리" 동아시아문화연구소 (56) : 377-411, 2014
10 신정근, "맹자와 순자 사상의 결정적 차이" 동양철학연구회 (67) : 117-146, 2011
11 황갑연, "맹자 왕도정치론의 虛와 實 - 王道政治論의 긍정적 가치 그리고 유감 -" 유학연구소 27 : 219-251, 2012
12 한국교육철학회, "교육과 성리학" 학지사 2017
13 김상래, "荀子의 孟子批判, 그 윤리적 의의" 동양철학연구회 (84) : 133-159, 2015
14 "荀子"
15 신창호, "孟子의 마음 修養論과 교육적 인간상 고찰" 동양고전학회 14 : 2000
16 조원일, "孟子의 敎育思想에 관한 硏究" 한국동서철학회 63 : 293-308, 2012
17 전재성, "孟子의 修養論과 敎育思想" 한국철학사연구회 (18) : 403-424, 2006
18 "孟子"
19 "史記"
20 孫培靑, "中國敎育史" 山東師範大學出版社 2000
21 신창호, "『맹자』 ‘心學’의 이론적 근거" 동양고전학회 (44) : 7-30, 2011
22 하상규, "『孟子』를 통해서 본 君子의 교육적 의미" 한국교육사학회 22 (22):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