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트렌드컬러 분석을 통한 연도별 헤어컬러 경향에 대한 연구 2006년∼2020년 헤어컬러 중심으로 = A Study of Annual Hair Color Trends through Analysis of Trend Color - Focusing on hair colors from 2006 to 2020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8607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ttempted to help users have a better understanding of hair color and suggest a direction to select and express more trendy color after analyzing trend color and hair color from 2006 to 2020. For this, the concept of trend color and annual trend color announced by PANTONE were examined as a theoretical review. To analyze domestic hair color trends, colors released by the nation’s leading hair dye manufacturers ‘AMOS’, ‘WELLA’ and ‘LOREAL’ every year were classified, and hair color trends were analyzed, focusing on VOGUE, CECI and COSMOPOLITAN pictorials. Then, such annual hair color trends were analyzed and reviewed through online websites, magazines, hair trend-related academic papers, theses and technical books to examine hair color by brightness and color. The results found that hair color trends change over time according to social and cultural factors. It is also confirmed that PANTONE colors and three domestic hair-dye manufacturers’ trend colors have revealed similarity since 2015 and had some influence on trend hair color in magazine pictorials.
      번역하기

      This study attempted to help users have a better understanding of hair color and suggest a direction to select and express more trendy color after analyzing trend color and hair color from 2006 to 2020. For this, the concept of trend color and annual ...

      This study attempted to help users have a better understanding of hair color and suggest a direction to select and express more trendy color after analyzing trend color and hair color from 2006 to 2020. For this, the concept of trend color and annual trend color announced by PANTONE were examined as a theoretical review. To analyze domestic hair color trends, colors released by the nation’s leading hair dye manufacturers ‘AMOS’, ‘WELLA’ and ‘LOREAL’ every year were classified, and hair color trends were analyzed, focusing on VOGUE, CECI and COSMOPOLITAN pictorials. Then, such annual hair color trends were analyzed and reviewed through online websites, magazines, hair trend-related academic papers, theses and technical books to examine hair color by brightness and color. The results found that hair color trends change over time according to social and cultural factors. It is also confirmed that PANTONE colors and three domestic hair-dye manufacturers’ trend colors have revealed similarity since 2015 and had some influence on trend hair color in magazine pictorial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진현 ; 정연자, "헤어컬러차트 색체계에 관한 연구 - 살롱 프로페셔널용 영구 염모제 헤어컬러 차트를 중심으로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16 (16): 111-131, 2015

      2 김주형, "헤어 트렌드컬러 인식이 헤어컬러선정 이유와 소비자 행동 의도에 미치는영향-트렌드컬러 만족 수준의 조절효과"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원 2021

      3 노영희, "헤어 컬러링이 얼굴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3 (3): 218-, 2002

      4 최지원, "한국 여자연예인의 헤어컬러 트렌드 분석에 관한 연구" 한남대학교 사회문화대학원 2013

      5 오란비, "팬톤의 컬러 트렌드를 활용한네일아트 디자인개발" 중부대학교 대학원 2017

      6 김지나, "패션소재의 텍스타일디자인에 나타난 컬러와 트렌드 제안 컬러와의 비교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7 정원의, "트렌드컬러 인식도에 따른 헤어컬러 선택의 차이 연구-유행선도력과 소비자혁신성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산업대학원 2020

      8 박다나, "인스타그램에 나타난 헤어스타일 경향" 건국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2019

      9 박진아, "염모제 색상트렌드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이 색상선택에 미치는 영향" 건양대학교 대학원 2015

      10 윤소영, "여자연예인 헤어컬러 트렌드분석-2013~2016년을 중심으로" 10 (10): 59-, 2016

      11 엄슬기 ; 신다솜 ; 정연자, "모발 염모제 삼원색의 혼합에 따른 헤어 컬러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20 (20): 287-302, 2019

      12 송준옥, "대학생들의 모발 염색에 관한 인식도" 대구한의대학교 보건대학원 2008

      13 박솔이, "남자 아이돌의 헤어 트렌드 컬러 및 표현기법 선호도에 관한 연구" 한남대학교 대학원 2019

      14 "https://www.vogue.co.kr"

      15 "https://www.pantone.com/color-of-the-year-2021"

      16 "https://www.cosmopolitan.co.kr"

      17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70436&cid=42641&categoryId=42641"

      18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987214&cid=43667"

      19 "https://search.zum.com/search.zum?method=i mage&option=accu&quer"

      20 "https://search.zum.com/search.zum?method=i mage&option=accu&quer"

      21 "https://search.zum.com/search.zum?method=i mage&option=accu&qm=f_typing&rd=1&query"

      22 "https://search.zum.com/search.zum?method=i mage&option=accu&qm=f_typing&rd=1&que ry"

      23 "https://search.daum.net/search?nil_suggest=bt n&w=img&DA=SBC&q"

      24 "https://search.daum.net/search?nil_suggest=bt n&w=img&DA=SBC&q"

      25 "https://search.daum.net/search?nil_suggest=bt n&w=img&DA=SBC&q"

      26 "http://www.wella.com"

      27 "http://www.loreal.co.kr"

      28 "http://www.amosprofessional.com"

      29 김윤정, "1980년도부터 2000년도까지헤어컬러 트렌드 분석에 관한 연구-잡지VOGUE 화보 중심으로" 11 (11): 2-, 201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01-2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인체예술학회지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2-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인체예술학회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Beauty And Art -> The Korean Society of Beauty and Art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5 0.85 0.8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9 0.76 0.619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