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 근대 신년소설(新年小說)의 위상과 의미 -『매일신보(每日申報)』를 중심으로- = 韓國近代における新年小說の位相と意味 -『每日申報』を中心に-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15726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本硏究の目的は、『每日申報』等に收錄された新年小說の系譜とその變貌の過程を遷り、その文學史的意義を明らかにすることである。新年小說は、『每日申報』をはじめ、韓國近代のいろんな新聞に收められた企畵短編小說である。それらの多くは元旦、新聞に揭載された。『每日申報』における新年小說の揭載は、大韓帝國末期を代表する媒體である『萬歲報』、『帝國新聞』、及び『大韓民報』等の事例を受繼いだものである。『萬歲報』の「白屋新年」は近代の媒體に收錄された最初の新年小說としての意味を持つ。『帝國新聞』に收錄された無署名の新年小說と『大韓民報』の「花世界」は、新聞の發行人が持っていた啓蒙の意圖を直接的に表した作品である。1910年代に『每日申報』に揭載された新年小說は、元旦の新たな希望に滿ちた雰圍氣を作り出すための啓蒙小說として企畵されたものである。これらの作品は、主に迷信打破という主題と、絶えまぬ努力によって成功を收める誠實な個人の事例を傳える內容で埋められている。『每日申報』の新年小說は創作物とは限らず、飜案物も含まれている。『每日申報』の新年小說が擔っていた役割は、實質的には1919年頃終 了したものと見られる。1920年1月以降、新春文芸制度の導入に伴い、敷門的作家による新年小說の揭載が讀者の投稿による新春文芸の當選作を揭載する方式へと轉換されたからである。敷門的作家による新年小說の揭載が非敷門的作家による懸賞應募短編小說と結合し、その發表時期を新しい年の初めに確定することで定著された制度が新春文芸制度である。『每日申報』の紙面から事實上新年小說が姿を消した時期と新春文芸の制度が導入された時期とが一致しているのは偶然ではない。それは、『每日申報』の紙面への讀者の參加を增やし、每新文壇乃至朝鮮の文壇を活性化させようとする文化的·政治的意圖が反映された結果でもあった。『每日申報』で始まった新春文芸制度は、その後『東亞日報』と『朝鮮日報』等へと繁がる。『東亞日報』と『朝鮮日報』の新春文芸制度は、本格的な作家の登龍門としての役割を擔うことになる。『每日申報』の新年小說は、こうした新春文芸制度の萌芽としての役割を擔ったという點で文學史的に意味があると言えよう。
      번역하기

      本硏究の目的は、『每日申報』等に收錄された新年小說の系譜とその變貌の過程を遷り、その文學史的意義を明らかにすることである。新年小說は、『每日申報』をはじめ、韓國近代の...

      本硏究の目的は、『每日申報』等に收錄された新年小說の系譜とその變貌の過程を遷り、その文學史的意義を明らかにすることである。新年小說は、『每日申報』をはじめ、韓國近代のいろんな新聞に收められた企畵短編小說である。それらの多くは元旦、新聞に揭載された。『每日申報』における新年小說の揭載は、大韓帝國末期を代表する媒體である『萬歲報』、『帝國新聞』、及び『大韓民報』等の事例を受繼いだものである。『萬歲報』の「白屋新年」は近代の媒體に收錄された最初の新年小說としての意味を持つ。『帝國新聞』に收錄された無署名の新年小說と『大韓民報』の「花世界」は、新聞の發行人が持っていた啓蒙の意圖を直接的に表した作品である。1910年代に『每日申報』に揭載された新年小說は、元旦の新たな希望に滿ちた雰圍氣を作り出すための啓蒙小說として企畵されたものである。これらの作品は、主に迷信打破という主題と、絶えまぬ努力によって成功を收める誠實な個人の事例を傳える內容で埋められている。『每日申報』の新年小說は創作物とは限らず、飜案物も含まれている。『每日申報』の新年小說が擔っていた役割は、實質的には1919年頃終 了したものと見られる。1920年1月以降、新春文芸制度の導入に伴い、敷門的作家による新年小說の揭載が讀者の投稿による新春文芸の當選作を揭載する方式へと轉換されたからである。敷門的作家による新年小說の揭載が非敷門的作家による懸賞應募短編小說と結合し、その發表時期を新しい年の初めに確定することで定著された制度が新春文芸制度である。『每日申報』の紙面から事實上新年小說が姿を消した時期と新春文芸の制度が導入された時期とが一致しているのは偶然ではない。それは、『每日申報』の紙面への讀者の參加を增やし、每新文壇乃至朝鮮の文壇を活性化させようとする文化的·政治的意圖が反映された結果でもあった。『每日申報』で始まった新春文芸制度は、その後『東亞日報』と『朝鮮日報』等へと繁がる。『東亞日報』と『朝鮮日報』の新春文芸制度は、本格的な作家の登龍門としての役割を擔うことになる。『每日申報』の新年小說は、こうした新春文芸制度の萌芽としての役割を擔ったという點で文學史的に意味があると言えよう。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영민, "매일신보 소재 장형 서사물의 전개 구도 -1920년대 이후를 중심으로-" 한국문학연구학회 45 (45): 211-241, 2011

      2 박진영, "한국의 근대 번역 및 번안 소설사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0

      3 이희정, "한국 근대소설의 형성과 ,매일신보" 소명출판 2008

      4 김영민, "한국 근대소설의 형성 과정" 소명출판 2005

      5 구장률, "제국신문, 소재 ‘서사적논설’ 연구, In 근대계몽기 단형 서사문학 연구" 소명출판 2005

      6 최태원, "일재 조중환의 번안소설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0

      7 이유미, "일본인 발행 미디어의 기획된 단편소설" 한국문학연구학회 (41) : 71-105, 2010

      8 김현주, "이광수의 문화 이념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9 이건지, "안국선과 라쿠고(落語)-소설집 공진회(共進會)에 나타난 시바하마(芝浜)의영향" 1998

      10 김석봉, "식민지 시기 [동아일보] 문인 재생산 구조에 관한 연구" 민족문학사학회 (32) : 153-180, 2006

      1 김영민, "매일신보 소재 장형 서사물의 전개 구도 -1920년대 이후를 중심으로-" 한국문학연구학회 45 (45): 211-241, 2011

      2 박진영, "한국의 근대 번역 및 번안 소설사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0

      3 이희정, "한국 근대소설의 형성과 ,매일신보" 소명출판 2008

      4 김영민, "한국 근대소설의 형성 과정" 소명출판 2005

      5 구장률, "제국신문, 소재 ‘서사적논설’ 연구, In 근대계몽기 단형 서사문학 연구" 소명출판 2005

      6 최태원, "일재 조중환의 번안소설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0

      7 이유미, "일본인 발행 미디어의 기획된 단편소설" 한국문학연구학회 (41) : 71-105, 2010

      8 김현주, "이광수의 문화 이념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9 이건지, "안국선과 라쿠고(落語)-소설집 공진회(共進會)에 나타난 시바하마(芝浜)의영향" 1998

      10 김석봉, "식민지 시기 [동아일보] 문인 재생산 구조에 관한 연구" 민족문학사학회 (32) : 153-180, 2006

      11 김석봉, "식민지 시기 <<조선일보>> 신춘문예의 제도화 양상 연구" 한국현대문학회 (16) : 185-220, 2004

      12 김영민, "매일신보 소재 장형 서사물의 전개 구도 -1920년대 이후를 중심으로-" 한국문학연구학회 45 (45): 211-241, 2011

      13 전은경, "근대계몽기 문학과 독자의 발견" 도서출판 역락 2009

      14 김영민, "근대 매체의 독자(讀者) 창작 참여 제도 연구(1)" 한국문학연구학회 (43) : 97-128, 2011

      15 한진일, "근대 단편소설의 형성과정 연구 : 1910년대 단편소설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2

      16 이유미, "근대 단편소설의 전개 양상과 제도화 과정 연구 : 신문·잡지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0

      17 신지영, "『대한민보』 연재소설의 담론적 특성과 수사학적 배치"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18 이희정, "1920년대 식민지 동화정책과 『매일신보』 문학연구 (2) -후반기 연재소설의 전개과정을 중심으로-" 한국현대소설학회 (48) : 285-319, 2011

      19 이희정, "1920년대 식민지 동화정책과 <매일신보> 문학연구(1) -전반기 연재소설의 전개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어문학회 (112) : 351-379, 2011

      20 이희정, "1920년대 <매일신보>의 독자문단 형성과정과 제도화 양상" 한국현대문학회 (33) : 97-133, 2011

      21 송민호, "1910년대 초기 『매일신보』의 미디어적 변모와 ‘소설적 실감’의 형성" 한국문학연구소 (37) : 179-211, 2009

      22 이혜진, "1910년대 초 『매일신보』의 ‘가정’ 담론 생산과 글쓰기 특징-‘독자’와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한국문학연구학회 (41) : 7-37, 2010

      23 이영아, "1910년대 『매일신보』 연재소설의 대중성 획득 과정 연구" 한국현대문학회 (23) : 43-81, 2007

      24 함태영, "1910년대 『매일신보』 소설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9

      25 김재영, "1910년대 ‘소설’ 개념의 추이와 매체의 상관성, In 한국 근대 서사양식의 발생및 전개와 매체의 역할" 소명출판 2005

      26 양문규, "1900년대 신문ㆍ잡지 미디어와 근대소설의 탄생, In ,한국 근대 서사양식의발생 및 전개와 매체의 역할" 소명출판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5-15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of Korean Literary Studies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2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7 1.07 0.9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5 0.9 1.801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