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Vasodilating Mechanism of Dibutyryl-cAMP and Forskolin in Rabbit Aort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81658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ibutyryl-cyclic AMP (db-cAMP) and forskolin were used to investigate vasodilating mechanism of cAMP in rabbit aorta. Db-cAMP and forskolin inhibited the development of contractile tension induced by norepinephrine (NE) concentration-dependently. However, high $K{^+}-induced$ contractile tension was inhibited less effectively by db-cAMP and forskolin. Db-cAMP and forskolin inhibited $^{45}Ca^{2+}$ uptake increased by NE. Forskolin seemed to inhibit $^{45}Ca^{2+}$ uptake increased by high $K{^+}$, but this inhibition was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Db-cAMP inhibited $Ca^{2+}-transient$ contraction by NE in $Ca^{2+}-free$ solution. In conclusion, it seems that cAMP blocks $Ca^{2+}$ influx through receptor operated $Ca^{2+}$ channels (ROCs), but that the effect of cAMP on $Ca^{2+}$ influx through voltage gated $Ca^{2+}$ channels (VGCs) is not clear in this experiment. Furthermore, cAMP is likely to inhibit calcium release from the intracellular stores.
      번역하기

      Dibutyryl-cyclic AMP (db-cAMP) and forskolin were used to investigate vasodilating mechanism of cAMP in rabbit aorta. Db-cAMP and forskolin inhibited the development of contractile tension induced by norepinephrine (NE) concentration-dependently. Howe...

      Dibutyryl-cyclic AMP (db-cAMP) and forskolin were used to investigate vasodilating mechanism of cAMP in rabbit aorta. Db-cAMP and forskolin inhibited the development of contractile tension induced by norepinephrine (NE) concentration-dependently. However, high $K{^+}-induced$ contractile tension was inhibited less effectively by db-cAMP and forskolin. Db-cAMP and forskolin inhibited $^{45}Ca^{2+}$ uptake increased by NE. Forskolin seemed to inhibit $^{45}Ca^{2+}$ uptake increased by high $K{^+}$, but this inhibition was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Db-cAMP inhibited $Ca^{2+}-transient$ contraction by NE in $Ca^{2+}-free$ solution. In conclusion, it seems that cAMP blocks $Ca^{2+}$ influx through receptor operated $Ca^{2+}$ channels (ROCs), but that the effect of cAMP on $Ca^{2+}$ influx through voltage gated $Ca^{2+}$ channels (VGCs) is not clear in this experiment. Furthermore, cAMP is likely to inhibit calcium release from the intracellular stor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세포막을 투과하는 cyclic AMP의 유도체인 Dibutyryl-cyclic AMP(db-cAMP)와 ad-enylate cyclase를 활성화시킴으로써 세포내에 CAMP를 증가시키는 Forskolin을 이용하여 토끼 대동맥평활근 이완작용의 기전을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Db-cAMP는 $1{\mu}M$ norepinephrine에 의한 지속성 수축을 농도의존적으로 억제하였으나 고농도의 K에 의한 수축은 억제하지 못하였다. 2. Forskolin은 $1{\mu}M$ norepinephrine에 의한 지속성 수축을 농도의존적으로 억제하였으며, 고통도의 K에 의한 수축보다 더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3. Db-cAMP는 $1{\mu}M$ norepinephrine에 의한 $^{45}Ca$ 유입증가를 억제하였다. 4. Forskolin은 $1{\mu}M$ norepinephrine에 의한 $^{45}Ca$ 유입증가를 억제하였으며, 고농도의 K에 의한 $^{45}Ca$ 유입증가도 억제하였으나 유의차는 없었다. 5. Db-cAMP는 칼슘이온 제거용액에서 $l{\mu}M$ norepinephrine에 의한 일과성 수축을 농도의존적으로 억제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cAMP는 수용체작동성 칼슘채널(ROCs)을 통한 칼슘이온의 유입을 억제함으로써 norepinephrine에 의한 수축을 억제하며, 고농도의 K수축 억제가 전위의존성칼슘채널(VGCs)을 통한 칼슘이온의 유입의 억제에 의한 것인지는 확실치 않다. 또한 cAMP는 norepinephrine에 의한 세포내 칼슘이온의 유리에 의한 일과성 수축도 억제한다.
      번역하기

      세포막을 투과하는 cyclic AMP의 유도체인 Dibutyryl-cyclic AMP(db-cAMP)와 ad-enylate cyclase를 활성화시킴으로써 세포내에 CAMP를 증가시키는 Forskolin을 이용하여 토끼 대동맥평활근 이완작용의 기전을 검...

      세포막을 투과하는 cyclic AMP의 유도체인 Dibutyryl-cyclic AMP(db-cAMP)와 ad-enylate cyclase를 활성화시킴으로써 세포내에 CAMP를 증가시키는 Forskolin을 이용하여 토끼 대동맥평활근 이완작용의 기전을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Db-cAMP는 $1{\mu}M$ norepinephrine에 의한 지속성 수축을 농도의존적으로 억제하였으나 고농도의 K에 의한 수축은 억제하지 못하였다. 2. Forskolin은 $1{\mu}M$ norepinephrine에 의한 지속성 수축을 농도의존적으로 억제하였으며, 고통도의 K에 의한 수축보다 더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3. Db-cAMP는 $1{\mu}M$ norepinephrine에 의한 $^{45}Ca$ 유입증가를 억제하였다. 4. Forskolin은 $1{\mu}M$ norepinephrine에 의한 $^{45}Ca$ 유입증가를 억제하였으며, 고농도의 K에 의한 $^{45}Ca$ 유입증가도 억제하였으나 유의차는 없었다. 5. Db-cAMP는 칼슘이온 제거용액에서 $l{\mu}M$ norepinephrine에 의한 일과성 수축을 농도의존적으로 억제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cAMP는 수용체작동성 칼슘채널(ROCs)을 통한 칼슘이온의 유입을 억제함으로써 norepinephrine에 의한 수축을 억제하며, 고농도의 K수축 억제가 전위의존성칼슘채널(VGCs)을 통한 칼슘이온의 유입의 억제에 의한 것인지는 확실치 않다. 또한 cAMP는 norepinephrine에 의한 세포내 칼슘이온의 유리에 의한 일과성 수축도 억제한다.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