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The Main Issues in the International Arbitration Practice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4956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국제상사중재를 다루는 중재판정부의 중재인은 당사자들 간의 유효한 합의를 통하여 구속력 있는 중재판정을 행사할 권한을 가진다. 중재계약에 다른 정함이 없는 한 중재인의 판정권에 대한 결정은 중재인 자신이 내린다. 중재인은 중재합의에 의하여 그 권한이 부여된 사건에 대해서만 권한을 갖게 되나, 명시적으로 그 권한에 따라야 하는 사건 외에 당해 사건을 해결하기 위하여 처리하지 않으면 안 될 모든 문제, 즉 당해 사건과 절단될 수 없는 형태로 연계되어 있는 문제 또는 그 부차적인 조건의 문제를 해결하여야 하는 책임을 지게 된다. 중재판정부는 그 자율적안 권한범위를 규율하는 권한을 가지며, 그 권한 속에는 중재합의의 존부 또는 효력에 관한 것도 포함된다. 중재인의 판정권에 이의가 있는 당사자는 법원에 중재계약의 부존재 · 무효 확인을 청구할 수 있고, 중재판정이 이미 내려진 경우에는 중재판정취소의 소를 제기하거나, 집행판결에서 이의를 제기할 수 있다. 우리 중재법의 입장에서 국제중재판정의 판정기준에 대해는 중재판정부는 당사자틀이 지정한 법에 따라 중재판정을 내려야 하며, 특정 국가의 법 또는 법체계가 지정된 경우에 달리 명시되지 아니하는 한 그 국가의 국제사법이 아닌 분쟁의 실체법을 지정한 것으로 보고 있다. 국제중재의 법적 안정성, 예측가능성의 관점에서 실정법을 그 판단의 규준으로 삼는다. 한국의 국제중재의 특성은 국제성 중립성, 보편성을 보장받는 점이다. 중재인 구성원은 세계 각국의 국적을 가진 전문 중재인들이 참가하고 있다. 중재절차에 있어서도 중재인은 실체법이나 절차법, 또는 법률의 상충에 관계없이 어느 특정법률을 적용하도록 강요받지 않고 각각의 경우에 가장 적합한 법률에 따르며 중재판정부의 진행절차는 국제중재규칙에 의해 규율된다.
      번역하기

      국제상사중재를 다루는 중재판정부의 중재인은 당사자들 간의 유효한 합의를 통하여 구속력 있는 중재판정을 행사할 권한을 가진다. 중재계약에 다른 정함이 없는 한 중재인의 판정권에 대...

      국제상사중재를 다루는 중재판정부의 중재인은 당사자들 간의 유효한 합의를 통하여 구속력 있는 중재판정을 행사할 권한을 가진다. 중재계약에 다른 정함이 없는 한 중재인의 판정권에 대한 결정은 중재인 자신이 내린다. 중재인은 중재합의에 의하여 그 권한이 부여된 사건에 대해서만 권한을 갖게 되나, 명시적으로 그 권한에 따라야 하는 사건 외에 당해 사건을 해결하기 위하여 처리하지 않으면 안 될 모든 문제, 즉 당해 사건과 절단될 수 없는 형태로 연계되어 있는 문제 또는 그 부차적인 조건의 문제를 해결하여야 하는 책임을 지게 된다. 중재판정부는 그 자율적안 권한범위를 규율하는 권한을 가지며, 그 권한 속에는 중재합의의 존부 또는 효력에 관한 것도 포함된다. 중재인의 판정권에 이의가 있는 당사자는 법원에 중재계약의 부존재 · 무효 확인을 청구할 수 있고, 중재판정이 이미 내려진 경우에는 중재판정취소의 소를 제기하거나, 집행판결에서 이의를 제기할 수 있다. 우리 중재법의 입장에서 국제중재판정의 판정기준에 대해는 중재판정부는 당사자틀이 지정한 법에 따라 중재판정을 내려야 하며, 특정 국가의 법 또는 법체계가 지정된 경우에 달리 명시되지 아니하는 한 그 국가의 국제사법이 아닌 분쟁의 실체법을 지정한 것으로 보고 있다. 국제중재의 법적 안정성, 예측가능성의 관점에서 실정법을 그 판단의 규준으로 삼는다. 한국의 국제중재의 특성은 국제성 중립성, 보편성을 보장받는 점이다. 중재인 구성원은 세계 각국의 국적을 가진 전문 중재인들이 참가하고 있다. 중재절차에 있어서도 중재인은 실체법이나 절차법, 또는 법률의 상충에 관계없이 어느 특정법률을 적용하도록 강요받지 않고 각각의 경우에 가장 적합한 법률에 따르며 중재판정부의 진행절차는 국제중재규칙에 의해 규율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Introduction Ⅱ. Develoments in International Arbitration Law Rules Ⅲ. Practical Problems in International Arbitration Ⅳ. Main Issues of International Arbitration Proceedings Ⅴ. Considerations for International Arbitration System References 국문요약
      • Ⅰ. Introduction Ⅱ. Develoments in International Arbitration Law Rules Ⅲ. Practical Problems in International Arbitration Ⅳ. Main Issues of International Arbitration Proceedings Ⅴ. Considerations for International Arbitration System References 국문요약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Jeongil Suh, "a Study Applicable to Substance on the Court's Decision in the Arbitration Agreement" 2005

      2 "UNCITRAL web site at www.uncitral.org"

      3 Piter Sanders, "The Work of UNCITRAL on Arbitration and Conciliation" Kluwer Law International 2001

      4 "The Freshfields Guide to arbitration and ADR" Wolters Kluwer 1999

      5 "The Baker & Mckenzie International Yearbook" Wolters Kluwer 2008

      6 Anthony Walton, "Russel on the Law of Arbitration" Stevens and Sons Ltd 1970

      7 Michael Pryles, "Multi‐Tired Resolution Clauses" (10) : 2001

      8 Alan Redfern, "Law and Practice of International Commercial Arbitration" Sweet and Maxwell 1986

      9 "LCIA web site at www.lcia.org"

      10 "KCAB web site at www.kcab.or.kr"

      1 Jeongil Suh, "a Study Applicable to Substance on the Court's Decision in the Arbitration Agreement" 2005

      2 "UNCITRAL web site at www.uncitral.org"

      3 Piter Sanders, "The Work of UNCITRAL on Arbitration and Conciliation" Kluwer Law International 2001

      4 "The Freshfields Guide to arbitration and ADR" Wolters Kluwer 1999

      5 "The Baker & Mckenzie International Yearbook" Wolters Kluwer 2008

      6 Anthony Walton, "Russel on the Law of Arbitration" Stevens and Sons Ltd 1970

      7 Michael Pryles, "Multi‐Tired Resolution Clauses" (10) : 2001

      8 Alan Redfern, "Law and Practice of International Commercial Arbitration" Sweet and Maxwell 1986

      9 "LCIA web site at www.lcia.org"

      10 "KCAB web site at www.kcab.or.kr"

      11 Peter Binder, "International Commercial Arbitration in UNCITRAL Model Law Jurisdiction" Sweet and Maxwell 2000

      12 Jeongil Suh, "International Commercial Arbitration Law & Practice" Doonam Pub 2003

      13 "ICC ICA web site at www.iccwbo.org"

      14 Martin Domke, "Domke on Commercial Arbitration"

      15 Youngjoon Mok, "Commercial Arbitration" Parkyoungsa Co 2011

      16 Julian D. M. Lew, "Applicable law in International Commercial Arbitration Oceana"

      17 Stephen J. Ware, "Alternative Dispute Resolution" West Group 2001

      18 "AAA web site at www.adr.org"

      19 Howard H. Holtzmann, "A Guide to the UNCITRAL Model Law on International Commercial Arbitration" Kluwer Law and Texation 199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3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ARBITRATION STUDIES KCI등재후보
      2005-05-30 학술지등록 한글명 : 중재연구
      외국어명 : 미등록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 1.1 1.0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9 0.92 1.316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