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청소년시의 가능성 연구 ‒창작 미학을 중심으로 = A Study on Possibility of Youth Poetry ‒Focusing on creative aesthetic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4699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examines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youth poetry that is actively being created from 2010. This is a preliminary assessment of whether or not the youth poetry, which appears as a literary phenomenon, can form a new literary discourse. Therefore, if we can produce the aesthetic sense of youth in the aspect of creative aesthetics, it is not only a mere phenomenon but also a possibility to communicate with important literary discourse in the 21st century.
      The reason why youth poetry phenomenon is important is that teenagers are beginning to be recognized as the subject of literary discourse. This is a phenomenon that occurs when adolescence is recognized as an independent world rather than as a preliminary stage for adulthood. Behind that, there is a new attempt to escape the universal perception that adolescence is immature, and there is a premise that the adolescent world is not a sub-world of the established world but an independent world. Therefore, youth poetry can be accepted as literary discourse when it has its own aesthetic sense.
      Before examining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youth poetry, this article suggests that the goal should be to discover the physical and mental 'anxiety' in adolescence and to share it socially beyond individual dimensions. This is a poetic exposition of anxiety, an important feature of adolescence. Through this process, youth poetry will be able to communicate with the inner circle of the youth and empathize with the youth world. In pursuit of these goals, youth poetry has shown that romantic longing is a central theme and that the contradictions of the youth world are being resolved in the 'other world'. The 'other world' mentioned here is a world that exists beyond the ready-made (adult) world that affects the youth world and exists in the imagination that young people are romantically admired.
      In order to express such a world, youth poetry adopts negative expression as a methodology. Negative in teenagers encompasses both the adolescent and adult worlds. Youth poetry admires the 'other world' through the denial of the world and creates its identity in the context of 'other world'. Of course, it is unreasonable to determine 'the phenomenon of youth poetry' as 'discourse of youth poetry'. Therefore, when the youth phenomenon of the present time is examined carefully and the essence of the youth poetry and the point where the youth poetry is aimed at can be found out from behind, the youth poetry can be a 'genre' have.
      번역하기

      This article examines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youth poetry that is actively being created from 2010. This is a preliminary assessment of whether or not the youth poetry, which appears as a literary phenomenon, can form a new literary discours...

      This article examines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youth poetry that is actively being created from 2010. This is a preliminary assessment of whether or not the youth poetry, which appears as a literary phenomenon, can form a new literary discourse. Therefore, if we can produce the aesthetic sense of youth in the aspect of creative aesthetics, it is not only a mere phenomenon but also a possibility to communicate with important literary discourse in the 21st century.
      The reason why youth poetry phenomenon is important is that teenagers are beginning to be recognized as the subject of literary discourse. This is a phenomenon that occurs when adolescence is recognized as an independent world rather than as a preliminary stage for adulthood. Behind that, there is a new attempt to escape the universal perception that adolescence is immature, and there is a premise that the adolescent world is not a sub-world of the established world but an independent world. Therefore, youth poetry can be accepted as literary discourse when it has its own aesthetic sense.
      Before examining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youth poetry, this article suggests that the goal should be to discover the physical and mental 'anxiety' in adolescence and to share it socially beyond individual dimensions. This is a poetic exposition of anxiety, an important feature of adolescence. Through this process, youth poetry will be able to communicate with the inner circle of the youth and empathize with the youth world. In pursuit of these goals, youth poetry has shown that romantic longing is a central theme and that the contradictions of the youth world are being resolved in the 'other world'. The 'other world' mentioned here is a world that exists beyond the ready-made (adult) world that affects the youth world and exists in the imagination that young people are romantically admired.
      In order to express such a world, youth poetry adopts negative expression as a methodology. Negative in teenagers encompasses both the adolescent and adult worlds. Youth poetry admires the 'other world' through the denial of the world and creates its identity in the context of 'other world'. Of course, it is unreasonable to determine 'the phenomenon of youth poetry' as 'discourse of youth poetry'. Therefore, when the youth phenomenon of the present time is examined carefully and the essence of the youth poetry and the point where the youth poetry is aimed at can be found out from behind, the youth poetry can be a 'genre' hav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2010년을 기점으로 활발하게 창작되고 있는 청소년시의 미적 특성을 살펴보고 있다. 이는 문학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는 청소년시가 새로운문학 담론을 형성할 수 있을 것인지를 미리 가늠해보는 일이 된다. 따라서창작 미학적 측면에서 청소년시의 독자적 미의식을 생산할 수 있다면, 청소년시가 단순한 현상에 그치지 않고 21세기 중요한 문학담론으로 소통될 수있는 가능성을 확보하는 것이 된다.
      청소년시 현상은 청소년이 문학담론의 주체로 인식되기 시작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이는 청소년기를 성인기를 준비하는 예비 단계가 아니라 청소년기 자체를 하나의 독립된 세계로 인정할 때 나타나는 현상이다. 그 이면에는청소년기를 미성숙한 시기라는 보편적인 인식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새로운 시도가 있으며, 청소년세계가 기성(성인)세계의 하위 세계가 아니라 독자적인 세계라는 전제가 있다. 따라서 청소년시는 독자적인 미의식을 갖출 때 문학담론으로 수용될 수 있다.
      청소년시의 미적 특성을 살피기에 앞서 이 글은 청소년기에 나타나는 신체적정신적 ‘불안’을 발견하고, 그것을 개인적 차원을 넘어 사회적으로 공유하는 것을 목표로 삼아야 한다는 점을 제시했다. 이는 청소년기의 중요한 특징인 ‘불안’을 시적으로 폭로하는 일이다. 이 과정을 통해 청소년시는 청소년의 내밀한영역과 소통하고 청소년세계와 공감할 수 있게 된다. 청소년시는 이러한 목표를 추구하는 과정에서 낭만적 동경을 핵심적인 주제로 삼고, 청소년세계의 모순을 ‘다른 세계’ 속에서 해소하려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여기서 말하는 ‘다른세계’는 청소년세계에 영향을 미치는 기성(성인)세계를 넘어 선 지점으로, 청소년들이 낭만적으로 동경하는 상상 속에 존재하는 세계이다.
      이러한 세계를 표현하기 위해 청소년시는 부정표현을 방법론으로 채택하고 있다. 청소년시에서 부정은 청소년세계는 물론 기성(성인)세계를 모두 아우른다.
      청소년시는 세계의 부정을 통해 ‘다른 세계’를 동경하고 ‘다른 세계’라는 맥락속에서 자신의 정체성을 만든다. 물론 그것만으로는 ‘청소년시 현상’을 ‘청소년시 담론’으로 확정하기에는 무리이다. 따라서 현재 나타나고 있는 청소년시 ‘현상’을 면밀하게 검토하고, 그 이면에서 청소년시의 본질과 청소년시가 지향하는 지점을 가려낼 수 있을 때, 청소년시는 ‘현상’이 아니라 ‘장르’가 될 수 있다.
      번역하기

      이 글은 2010년을 기점으로 활발하게 창작되고 있는 청소년시의 미적 특성을 살펴보고 있다. 이는 문학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는 청소년시가 새로운문학 담론을 형성할 수 있을 것인지를 미리...

      이 글은 2010년을 기점으로 활발하게 창작되고 있는 청소년시의 미적 특성을 살펴보고 있다. 이는 문학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는 청소년시가 새로운문학 담론을 형성할 수 있을 것인지를 미리 가늠해보는 일이 된다. 따라서창작 미학적 측면에서 청소년시의 독자적 미의식을 생산할 수 있다면, 청소년시가 단순한 현상에 그치지 않고 21세기 중요한 문학담론으로 소통될 수있는 가능성을 확보하는 것이 된다.
      청소년시 현상은 청소년이 문학담론의 주체로 인식되기 시작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이는 청소년기를 성인기를 준비하는 예비 단계가 아니라 청소년기 자체를 하나의 독립된 세계로 인정할 때 나타나는 현상이다. 그 이면에는청소년기를 미성숙한 시기라는 보편적인 인식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새로운 시도가 있으며, 청소년세계가 기성(성인)세계의 하위 세계가 아니라 독자적인 세계라는 전제가 있다. 따라서 청소년시는 독자적인 미의식을 갖출 때 문학담론으로 수용될 수 있다.
      청소년시의 미적 특성을 살피기에 앞서 이 글은 청소년기에 나타나는 신체적정신적 ‘불안’을 발견하고, 그것을 개인적 차원을 넘어 사회적으로 공유하는 것을 목표로 삼아야 한다는 점을 제시했다. 이는 청소년기의 중요한 특징인 ‘불안’을 시적으로 폭로하는 일이다. 이 과정을 통해 청소년시는 청소년의 내밀한영역과 소통하고 청소년세계와 공감할 수 있게 된다. 청소년시는 이러한 목표를 추구하는 과정에서 낭만적 동경을 핵심적인 주제로 삼고, 청소년세계의 모순을 ‘다른 세계’ 속에서 해소하려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여기서 말하는 ‘다른세계’는 청소년세계에 영향을 미치는 기성(성인)세계를 넘어 선 지점으로, 청소년들이 낭만적으로 동경하는 상상 속에 존재하는 세계이다.
      이러한 세계를 표현하기 위해 청소년시는 부정표현을 방법론으로 채택하고 있다. 청소년시에서 부정은 청소년세계는 물론 기성(성인)세계를 모두 아우른다.
      청소년시는 세계의 부정을 통해 ‘다른 세계’를 동경하고 ‘다른 세계’라는 맥락속에서 자신의 정체성을 만든다. 물론 그것만으로는 ‘청소년시 현상’을 ‘청소년시 담론’으로 확정하기에는 무리이다. 따라서 현재 나타나고 있는 청소년시 ‘현상’을 면밀하게 검토하고, 그 이면에서 청소년시의 본질과 청소년시가 지향하는 지점을 가려낼 수 있을 때, 청소년시는 ‘현상’이 아니라 ‘장르’가 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Andy Furlong, "현대사회와 청소년" 박학사 2008

      2 박일환, "학교는 입이 크다" 한티재 2014

      3 이장근, "파울볼은 없다" 창비교육 2016

      4 오세란, "청소년문학의 정체성을 묻다" 창비 2015

      5 박상률, "청소년문학의 자리" 나라말 2012

      6 황선열, "청소년과 인문학의 향기" 신생 2013

      7 John C. Coleman, "청소년과 사회" 성안당 2006

      8 권유성, "청소년 시의 장르적 특성 연구-시적 화자 문제를 중심으로" 한국문학언어학회 (71) : 157-176, 2017

      9 김남희, "청소년 시에 나타난 심리적 문제와 문학교육의 방향 –학교 폭력 문제를 중심으로" 한국문학치료학회 42 : 267-295, 2017

      10 김남극, "처음엔 삐딱하게" 창비교육 2015

      1 Andy Furlong, "현대사회와 청소년" 박학사 2008

      2 박일환, "학교는 입이 크다" 한티재 2014

      3 이장근, "파울볼은 없다" 창비교육 2016

      4 오세란, "청소년문학의 정체성을 묻다" 창비 2015

      5 박상률, "청소년문학의 자리" 나라말 2012

      6 황선열, "청소년과 인문학의 향기" 신생 2013

      7 John C. Coleman, "청소년과 사회" 성안당 2006

      8 권유성, "청소년 시의 장르적 특성 연구-시적 화자 문제를 중심으로" 한국문학언어학회 (71) : 157-176, 2017

      9 김남희, "청소년 시에 나타난 심리적 문제와 문학교육의 방향 –학교 폭력 문제를 중심으로" 한국문학치료학회 42 : 267-295, 2017

      10 김남극, "처음엔 삐딱하게" 창비교육 2015

      11 김훈, "좌담: 청소년문학의 길을 묻다" 창비어린이 2006

      12 조재도, "자물쇠가 철컥 열리는 순간" 창비교육 2015

      13 강성은, "의자를 신고 달리는" 창비교육 2015

      14 울리히 벡, "위험사회: 새로운 근대(성)를 향하여" 새물결 1997

      15 복효근, "운동장 편지" 창비교육 2016

      16 김미희, "외계인에게 로션을 발라주다" 휴머니스트 2013

      17 이장근, "악어에게 물린 날" 푸른책들 2011

      18 김미희, "소크라테스가 가르쳐준 프러포즈" 휴머니스트 2015

      19 박성우, "사과가 필요해" 창비 2017

      20 박숙경, "보다, 읽다, 사귀다" 창비 2013

      21 김선경, "뱅뱅" 푸른책들 2016

      22 채지원, "대단한 놈들이다" 창비교육 2016

      23 이안, "다 같이 돌자 동네 한 바퀴" 문학동네 2014

      24 신지영, "넌 아직 몰라도 돼" 북멘토 2013

      25 박성우, "난 빨강" 창비 2010

      26 이장근, "나는 지금 꽃이다" 푸른책들 2015

      27 안오일, "나는 나다" 푸른책들 2014

      28 안오일, "그래도 괜찮아" 푸른책들 201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3-1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KCI등재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0-03-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1 0.51 0.5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1 0.5 0.935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