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2년에 걸쳐 기존 척도에 대한 고찰 및 한국형 그릿 척도 개발, 적응적 그릿의 특성분석, 조직 맥락에서의 적용방안 모색에 이르는 총 6개의 연구를 실시한다. 서구에서 제안된 개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52075
2018년
Korean
한국형 그릿 ; Grit ; multidimensional model of Grit ; development of the Korean grit scale ; validation ;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 construct validity ; Incremental Validity job retention ; organizational variable ; prosocial job characteristic ; prosocia ; 그릿의 다차원 모델 ; 척도개발 및 타당화 ;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 구조 타당도 ; 증분 타당도 ; 심리적 건강 ; 적응 ; 성과 ; 성취 ; 자율성 ; 유연성 ; 관계성 ; 이직의도 ; 조직 맥락 변인 ; 친사회적 직무 특성 ; 친사회적 영향 ; 친사회적 동기 ; 직무 열의 ; 직업적 소명 ; 실패에 대한 반응 ; 직무만족 ; 직무성과 ; 워킹맘과 전업주부 ; 진로결정 ; 목표의 위계구조 ; 잠재프로파일분석 ; 변혁적 리더십 ; 일에 대한 동기 ; 통합적 연구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2년에 걸쳐 기존 척도에 대한 고찰 및 한국형 그릿 척도 개발, 적응적 그릿의 특성분석, 조직 맥락에서의 적용방안 모색에 이르는 총 6개의 연구를 실시한다. 서구에서 제안된 개념...
본 연구는 2년에 걸쳐 기존 척도에 대한 고찰 및 한국형 그릿 척도 개발, 적응적 그릿의 특성분석, 조직 맥락에서의 적용방안 모색에 이르는 총 6개의 연구를 실시한다. 서구에서 제안된 개념인 그릿이 국내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지를 살펴본 후, 한국에서의 적응적 그릿을 측정할 수 있는 객관적 도구를 개발하고자 한다. 또한, 기존의 그릿 연구들이 주요 주제로 삼아왔던 학업성취와 개인의 성과라는 틀에서 벗어나 조직 맥락에서 나타나는 그릿의 특성 파악을 주요 주제로 삼았다. 또한, 단순히 그릿과 성과 및 적응변인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이 아니라 이들 관계를 조절하는 조직 맥락 요인을 발견하고, 실패 상황에서의 정서, 인지, 행동적 특성을 면밀히 파악함으로써 그릿이 작동하는 메커니즘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1) 1차년도 연구: 한국형 그릿에 대한 통합적 이해 및 척도개발 - 그릿의 다차원적 특성을 중심으로
1차년도에는 그릿 연구의 초석을 다지기 위하여 기존 그릿 척도의 문제점을 면밀히 밝히고(연구 1-1) 군집분석(잠재 프로파일 분석, Latent Profile Analysis: LPA)을 활용하여 그릿의 다차원적 특성을 탐색(연구 1-2)한 후, 이를 바탕으로 한국형 그릿척도를 개발(연구 1-3)하고자 한다.
연구 1-1과 1-2는 한국형 그릿 척도의 방향을 모색하고 기초 자료를 마련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 1-1에서는 기존에 개발된 그릿의 2요인, 3요인 척도를 한국에서 타당화하고 재검증하여 구조적 타당성 및 적절성을 확인하고 그릿 척도의 보완점을 모색하고자 한다. 기존 그릿 척도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 성격 5요인과 자기통제감 및 몰입, 기본심리욕구 등 관련 변인과의 상관분석 등을 실시할 것이다. 연구 1-2에서는 적응적 그릿의 특성을 밝히기 위해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실시한다. 그릿과 관련된 다양한 변인들(자율성, 유연성 등)을 군집변인으로 사용하여 그릿의 다양한 하위 유형을 확인할 것이다. 또한, 적응과 심리건강, 직장 및 학교에서의 성취와 관련된 변인들과의 관계분석을 통하여 어떤 유형의 그릿이 적응적인지를 밝히고자 한다. 연구 1-3에서는 연구 1-1과 1-2를 통해 밝혀진 기존 척도에 대한 보완점과 적응적 그릿의 특성을 반영하여 한국형 그릿 척도 문항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 때, 타인과의 조화, 사회적 평가를 중시하며 개인의 욕구보다는 사회의 가치 실현에 우선순위를 두는 한국 사회 맥락에서 적응적인 그릿은 어떠한 속성을 내포해야 하는지에 초점을 두고 문항을 개발할 것이다. 다양한 통계적 분석을 통해 척도의 구조 타당도, 신뢰도 등을 확보하는 한편, 기존 그릿척도, 관련 변인들과의 상관분석을 통해 공존타당도 및 증분타당도를 검증한다.
2) 2차년도 연구: 적응적 그릿의 특성에 대한 심층 분석 - 조직 맥락에서의 특성을 중심으로
2차년도 연구에서는 한국형 그릿척도를 활용하여 다양한 조직 맥락에서 그릿의 특성을 탐색해보고자 한다. 적응적 그릿이 조직 내에서는 어떻게 발휘되며, 개인과 조직에는 어떤 기여를 하는지(연구 2-1, 2-2), 조직이 개인의 그릿을 발휘하도록 돕는 방법은 무엇인지(연구 2-3) 등을 통합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 2-1에서는 일반 직장인, 교사, 군인, 워킹맘, 취업준비생 등 다양한 직업군을 대상으로 그릿의 유형 및 점수가 개인의 삶, 특히 일의 장면에서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볼 것이다(예: 성과, 취업, 재취업, 이직 등). 이 연구는 적응적 그릿의 특성을 파악하는 한편,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한국형 그릿 척도를 다양한 집단을 대상으로 타당화하는 의미를 갖는다. 연구 2-2에서는 개인의 수행에 대한 부정적 피드백이 주어졌을 때(실패 상황), 적응적 그릿을 가진 사람들이 보이는 특성을 실험연구를 통해 밝히고자 한다. 특정 분야에 관심이 있는 학생들(예: 음대생, 의대생 등 비교적 동일한 목표를 가진 학생들)을 대상으로, 그 분야와 관련된 실패경험을 유발(조작) 했을 때 보이는 정서적, 인지적, 행동적 반응을 분석할 것이다. 이러한 접근을 통해 그릿이 성취로 연결되는 메커니즘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 2-1과 2-2에서 그릿을 가진 사람이 보이는 특성을 파악하는데 집중했다면, 연구 2-3에서는 그릿을 촉진하는 조직 환경을 분석하고자 한다. 그릿이 성과 및 적응 변인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때, 그 관계는 다양한 조직 맥락에 의해 조절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상사의 리더십, 친사회적 직무 특성, 조직의 목표지향성 등 다양한 조직 환경 변인이 그릿과 성과 및 적응 변인 사이의 관계를 조절하는지를 검증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