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新羅時代磨崖塔에 대한 考察 = An Investigation on Rock-carving Pagodas of Shilla Dynas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5968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pagoda was generally constructed as wooden pagoda, brick pagoda, stone pagoda, but sometimes, it was built as a rock-carving pagoda.
      Rock-carving pagoda had been created since earlier times in China and have been found a lot, but there are few found in Korea. Only about 10 rock-carving pagodas were suspected to be created in Shilla Dynasty.
      Rock-carving pagodas are classified into line-carving sculpture and relief sculpture according to techniques. Most of them were reliefs. Also, they can be classified into wooden pagoda-type and stone pagoda-type according to structural characteristics. The rock-carving pagodas in the 7th century were created as wooden-type but passing through the absence period of the 8th century, most of them were changed to best one pagoda-type in the 9th century. In particular, they are regarded as significant academic materials not only for under standing an aspect of Buddhism of Shilla Dynasty but also as a unique type in that rock-carving pagodas were concentrated in Gyeongju area.
      The rock-carving pagodas which were created in earlier times such as Bukjiri rock-carving pagoda in Bonghwa and Topgok rock-carving pagoda in Mt. Namsan in Gyeongju show development of Buddhism art. We can suspect the influence of nearby countries such as China and Goguryeo Kingdom through the relics.
      Seeing the expression patterns of each part, all applied a design which is based on a wooden type. This implies that most of the pagodas at that time were constructed as wooden pagoda and that stone pagodas were not generalized. The types of rock-carving pagodas constructed in the 9th century changed to be a stone-type in general. As for detailed expression techniques, they showed simplification, which represents the characteristics and pattern of stone pagodas at that time of Shilla Dynasty.
      As such, the rock-carving pagodas of Shilla Dynasty are noted as a special case having a purpose other than a religious monument for keeping Sarira. The rock-carving pagodas of the times also show picturesque properties as an element that composes the entire icon. Therefore, it is suspected that they were created as a reformed icon for the special purpose to spread Buddhism principles or edify the mass with the Buddhism.
      번역하기

      A pagoda was generally constructed as wooden pagoda, brick pagoda, stone pagoda, but sometimes, it was built as a rock-carving pagoda. Rock-carving pagoda had been created since earlier times in China and have been found a lot, but there are few found...

      A pagoda was generally constructed as wooden pagoda, brick pagoda, stone pagoda, but sometimes, it was built as a rock-carving pagoda.
      Rock-carving pagoda had been created since earlier times in China and have been found a lot, but there are few found in Korea. Only about 10 rock-carving pagodas were suspected to be created in Shilla Dynasty.
      Rock-carving pagodas are classified into line-carving sculpture and relief sculpture according to techniques. Most of them were reliefs. Also, they can be classified into wooden pagoda-type and stone pagoda-type according to structural characteristics. The rock-carving pagodas in the 7th century were created as wooden-type but passing through the absence period of the 8th century, most of them were changed to best one pagoda-type in the 9th century. In particular, they are regarded as significant academic materials not only for under standing an aspect of Buddhism of Shilla Dynasty but also as a unique type in that rock-carving pagodas were concentrated in Gyeongju area.
      The rock-carving pagodas which were created in earlier times such as Bukjiri rock-carving pagoda in Bonghwa and Topgok rock-carving pagoda in Mt. Namsan in Gyeongju show development of Buddhism art. We can suspect the influence of nearby countries such as China and Goguryeo Kingdom through the relics.
      Seeing the expression patterns of each part, all applied a design which is based on a wooden type. This implies that most of the pagodas at that time were constructed as wooden pagoda and that stone pagodas were not generalized. The types of rock-carving pagodas constructed in the 9th century changed to be a stone-type in general. As for detailed expression techniques, they showed simplification, which represents the characteristics and pattern of stone pagodas at that time of Shilla Dynasty.
      As such, the rock-carving pagodas of Shilla Dynasty are noted as a special case having a purpose other than a religious monument for keeping Sarira. The rock-carving pagodas of the times also show picturesque properties as an element that composes the entire icon. Therefore, it is suspected that they were created as a reformed icon for the special purpose to spread Buddhism principles or edify the mass with the Buddhis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탑은 일반적으로 목탑, 전탑, 석탑 등 건축물로서 조성되었으나, 이와는 다르게 바위에 새기는 磨崖塔이 조성되기도 하였다. 마애탑은 중국에서는 일찍부터 조성되기 시작하여 다수가 확인되고 있으나 우리나라의 경우 그 예가 매우 적다. 新羅時代에 조성된 것으로 여겨지는 마애탑은 10여기 정도가 확인된다.
      마애탑은 조성 방법으로 보면 線彫와 浮彫로 구분되는데 대부분 부조로 조각되었다. 또한 마애탑은 구조적 특징에 따라 木塔形 마애탑과 石塔形 마애탑으로 구분할 수 있다. 7세기 말에 등장한 마애탑은 목탑형에서 출발하였으나 8세기 공백기를 거쳐 9세기에는 대부분 석탑형으로 변화하였다. 특히 마애탑이 경주지역을 중심으로 집중하고 있다는 점에서 당시 신라 불교의 한 양상을 이해하는데 뿐만 아니라 하나의 독창적인 유형으로서 의미있는 학술자료로 생각된다.
      마애탑의 출현을 알리는 봉화 북지리 마애탑과 경주 남산 탑곡 마애탑 등 초기에 조성된 마애탑은 中國과 高句麗 등 주변국의 영향을 확인할 수 있는 유물로서 신라 불교 미술 발전의 단면을 보여준다. 각부의 표현 양상으로 볼 때, 모두 목탑에 근거한 디자인을 채택하고 있어 당시 탑파의 건립이 목탑 중심으로 이루어졌고 석탑이 일반화되지 않았던 상황을 알 수 있다. 9세기에 들어와 조성된 석탑형의 마애탑은 세부적인 표현수법에서는 단순화와 간략화의 경향을 보여주고 있어 당시 신라 석탑의 시대성과 양식상의 특성을 반영하고 있다.
      이와 같은 신라시대의 마애탑은 舍利 奉安을 위한 종교적 기념물이라는 본래탑의 기능에서 벗어나 있는 특별한 사례로서 주목된다. 당시 마애탑은 단독으로 조성되기 보다는 주로 도상 전체를 구성하는 요소의 하나로 회화적인 면도 보이고 있다. 따라서 일종의 變相의 예로 佛敎 敎理의 전파나 敎化 등을 위한 특정한 목적하에 조성된 것으로 여겨진다.
      번역하기

      탑은 일반적으로 목탑, 전탑, 석탑 등 건축물로서 조성되었으나, 이와는 다르게 바위에 새기는 磨崖塔이 조성되기도 하였다. 마애탑은 중국에서는 일찍부터 조성되기 시작하여 다수가 확인...

      탑은 일반적으로 목탑, 전탑, 석탑 등 건축물로서 조성되었으나, 이와는 다르게 바위에 새기는 磨崖塔이 조성되기도 하였다. 마애탑은 중국에서는 일찍부터 조성되기 시작하여 다수가 확인되고 있으나 우리나라의 경우 그 예가 매우 적다. 新羅時代에 조성된 것으로 여겨지는 마애탑은 10여기 정도가 확인된다.
      마애탑은 조성 방법으로 보면 線彫와 浮彫로 구분되는데 대부분 부조로 조각되었다. 또한 마애탑은 구조적 특징에 따라 木塔形 마애탑과 石塔形 마애탑으로 구분할 수 있다. 7세기 말에 등장한 마애탑은 목탑형에서 출발하였으나 8세기 공백기를 거쳐 9세기에는 대부분 석탑형으로 변화하였다. 특히 마애탑이 경주지역을 중심으로 집중하고 있다는 점에서 당시 신라 불교의 한 양상을 이해하는데 뿐만 아니라 하나의 독창적인 유형으로서 의미있는 학술자료로 생각된다.
      마애탑의 출현을 알리는 봉화 북지리 마애탑과 경주 남산 탑곡 마애탑 등 초기에 조성된 마애탑은 中國과 高句麗 등 주변국의 영향을 확인할 수 있는 유물로서 신라 불교 미술 발전의 단면을 보여준다. 각부의 표현 양상으로 볼 때, 모두 목탑에 근거한 디자인을 채택하고 있어 당시 탑파의 건립이 목탑 중심으로 이루어졌고 석탑이 일반화되지 않았던 상황을 알 수 있다. 9세기에 들어와 조성된 석탑형의 마애탑은 세부적인 표현수법에서는 단순화와 간략화의 경향을 보여주고 있어 당시 신라 석탑의 시대성과 양식상의 특성을 반영하고 있다.
      이와 같은 신라시대의 마애탑은 舍利 奉安을 위한 종교적 기념물이라는 본래탑의 기능에서 벗어나 있는 특별한 사례로서 주목된다. 당시 마애탑은 단독으로 조성되기 보다는 주로 도상 전체를 구성하는 요소의 하나로 회화적인 면도 보이고 있다. 따라서 일종의 變相의 예로 佛敎 敎理의 전파나 敎化 등을 위한 특정한 목적하에 조성된 것으로 여겨진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경식, "한국의 석탑" 학연문화사 2008

      2 황수영, "한국의 불교 공예·탑파(황수영전집3)" 혜안 1998

      3 엄기표, "신라와 고려시대 석조부도" 학연문화사 2004

      4 서영일, "신라 육상 교통로 연구" 학연문화사 1999

      5 배진달, "당대 불교 조각" 일지사 2003

      6 전호태 감수, "고구려벽고분벽화" 연합뉴스 2006

      7 최민희, "경주 배반동 마애불상군 조사약보" 57·58 : 1994

      8 정영호, "高句麗 佛像彫刻의 特性 硏究" 12 : 2001

      9 高裕燮, "韓國塔婆의 硏究(高裕燮全集1)" 1993

      10 김리나, "韓國古代佛敎彫刻史研究" 일조각 1997

      1 박경식, "한국의 석탑" 학연문화사 2008

      2 황수영, "한국의 불교 공예·탑파(황수영전집3)" 혜안 1998

      3 엄기표, "신라와 고려시대 석조부도" 학연문화사 2004

      4 서영일, "신라 육상 교통로 연구" 학연문화사 1999

      5 배진달, "당대 불교 조각" 일지사 2003

      6 전호태 감수, "고구려벽고분벽화" 연합뉴스 2006

      7 최민희, "경주 배반동 마애불상군 조사약보" 57·58 : 1994

      8 정영호, "高句麗 佛像彫刻의 特性 硏究" 12 : 2001

      9 高裕燮, "韓國塔婆의 硏究(高裕燮全集1)" 1993

      10 김리나, "韓國古代佛敎彫刻史研究" 일조각 1997

      11 홍대한, "統一新羅 石佛臺座의 造形硏究" 한국문화사학회 (19) : 125-177, 2003

      12 장충식, "新羅石塔硏究" 일지사 1987

      13 문명대, "新羅四方佛의 起源과 神印寺의 四方佛" 18 : 1977

      14 진홍섭, "新羅·高麗時代 美術文化" 일지사 1997

      15 박홍국, "手印이 法衣에 가려진 新羅 佛像 小考" 신라문화연구소 (26) : 303-329, 2005

      16 김길웅, "慶州南山塔谷彫像群에대하여" 5 : 1988

      17 崔元禎, "慶州 南山 塔谷 排盤洞 磨崖 舍利將來像 小考" 14 : 2000

      18 신대현, "奉化 智林寺 磨崖如來三尊像 小攷" 한국문화사학회 (19) : 55-77, 2003

      19 金申, "中國歷弋紀年佛像圖典" 文物出版社 199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8 1.18 1.0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6 0.97 2.484 0.4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