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순창가>의 서술방식과 작가의식 = The Narrative Method and Author's Consciousness of Sunchangg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26472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에서는 옥국재 이운영이 창작한 가사인 <순창가>를 대상으로 그 창작 시기와 상황을 살피고, 작품의 서술방식과 작가의식을 검토하였다. 이 작품의 창작 시기는 1760년 9월 이후부터...

      이 글에서는 옥국재 이운영이 창작한 가사인 <순창가>를 대상으로 그 창작 시기와 상황을 살피고, 작품의 서술방식과 작가의식을 검토하였다. 이 작품의 창작 시기는 1760년 9월 이후부터 1761년 11월 사이로 추정된다. 이 시기에 작자는 부친의 임소인 담양에 머물면서 작품의 소재가 된 사건을 직접 보고 들었을 뿐 아니라 작품을 창작할 만한 심리적, 시간적 여유를 갖고 있었다.
      이 작품은 전체적으로 인물의 발화와 서술자의 진술이 교대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그런데 작품 속에 집중적으로 제시된 인물의 발화 가운데에는 인물의 목소리로 여겨지지 않는 표현이나 진술이 있을 뿐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발화의 주체가 명확히 드러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작자가 인물의 발화를 집중적으로 제시한 이유는 작품의 대상이 된 사건에 대해 어느 정도 거리를 두려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곧 작품의 대상이 된 사건이 작자 본인의 일이 아니라 작자와 신분이 현격히 다른 남들 사이에 벌어진 터무니없는 일이기 때문에 작자는 자신을 대변하는 서술자의 목소리로 그것을 재구하기보다는 있는 그대로 제시하는 방식을 택했던 것으로 보이는 것이다. 그러면서도 작자는 1인칭 독백적 표현이라는 가사의 장르적 관습의 영향을 받아 서술자의 목소리가 인물의 목소리에 개입하게 하기도 하고, 발화의 주체를 분명히 밝히지 않기도 하였던 것이다.
      작자가 이 작품을 창작한 의도는 작품에 보이는 해학적 서술태도에서 찾을 수 있을 듯하다. 작자는 작중 인물이 자기의 실수를 얼토당토않은 다른 사람의 탓으로 돌려 관찰사까지 나서는 송사가 벌어진 것을 한바탕의 해학적인 소동으로 바라보았고, 바로 그러한 점 때문에 이 작품을 창작했던 것으로 생각되는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ims at investigating the narrative method and author's consciousness of Sunchangga, one of the six pieces of Gasa written by Lee, Un-yeong in the 18th century of the Joseon Dynasty. Sunchangga seems to be written between Sept. 1760 and Nov...

      This paper aims at investigating the narrative method and author's consciousness of Sunchangga, one of the six pieces of Gasa written by Lee, Un-yeong in the 18th century of the Joseon Dynasty. Sunchangga seems to be written between Sept. 1760 and Nov. 1761. In this work characters' utterances and narrator's narrations alternate. And occasionally the narrator's voices interfere in characters' utterances. The author wanted to see the characters and their happenings at a distance. So he represented the characters' utterances actively. But he was dragged into the custom of Gasa genre, namely the narrator's monologue. Accordingly the narrator's voices interfere in characters' utterances. The author recognized the happenings in this work humorously. In this point there is the writing intention of this work. I anticipate that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ascertain the natures of Lee, Un-yeong's works and the aspects of Gasa in 18th century of Joseon Dynast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韓大熙, "李運永의 歌辭 硏究" 고려대 1995

      2 서영숙, "조선후기 가사의 동향과 모색" 역락 2003

      3 이승복, "옥국재 이운영에 대한 전기적 고찰"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7) : 159-188, 2004

      4 李運永, "諺詞"

      5 李運永, "玉局齋遺稿" 10 :

      6 박연호, "玉局齋 歌辭의 장르적 성격과 그 의미"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33 : 2000

      7 鄭漢琪, "歌辭에 나타난 敍事的 技法의 특성 연구"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0 (30): 115-142, 2002

      8 全壹煥, "朝鮮歌辭文學論" 계명문화사 1990

      9 고순희, "引喩와 諧謔의 美學-李運永의 歌辭 6편-" 이화어문학회 15 : 1997

      10 蘇在英, "『諺詞』 硏究"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21 : 1988

      1 韓大熙, "李運永의 歌辭 硏究" 고려대 1995

      2 서영숙, "조선후기 가사의 동향과 모색" 역락 2003

      3 이승복, "옥국재 이운영에 대한 전기적 고찰"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7) : 159-188, 2004

      4 李運永, "諺詞"

      5 李運永, "玉局齋遺稿" 10 :

      6 박연호, "玉局齋 歌辭의 장르적 성격과 그 의미"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33 : 2000

      7 鄭漢琪, "歌辭에 나타난 敍事的 技法의 특성 연구"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0 (30): 115-142, 2002

      8 全壹煥, "朝鮮歌辭文學論" 계명문화사 1990

      9 고순희, "引喩와 諧謔의 美學-李運永의 歌辭 6편-" 이화어문학회 15 : 1997

      10 蘇在英, "『諺詞』 硏究"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21 : 1988

      11 고순희, "18세기 가사에 나타난 기생 삶의 모습과 의미" 한국고전문학회 10 : 199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3 1.33 1.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5 0.94 2.362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