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朴瑄壽가, 고대의 鐘鼎文을 연구하여 許氏 ≪說文≫의 미비한 점을 수정하고 補闕한 문자학의 力作이다. 이를 金允植과 金晩植이 校閱하여, 1912년 출간한 것이다. 저자 朴瑄壽의 字는 溫卿...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30266
1912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 朴瑄壽가, 고대의 鐘鼎文을 연구하여 許氏 ≪說文≫의 미비한 점을 수정하고 補闕한 문자학의 力作이다. 이를 金允植과 金晩植이 校閱하여, 1912년 출간한 것이다. 저자 朴瑄壽의 字는 溫卿...
" 朴瑄壽가, 고대의 鐘鼎文을 연구하여 許氏 ≪說文≫의 미비한 점을 수정하고 補闕한 문자학의 力作이다. 이를 金允植과 金晩植이 校閱하여, 1912년 출간한 것이다. 저자 朴瑄壽의 字는 溫卿, 號는 溫齋다. 潘南人으로, 燕巖 趾源의 後孫이다. 1823년(純祖 23)에 태어나, 1849년(憲宗 15)에 進士, 官은 工曹判曹까지 지냈으며, 1899년(光武 3)에 죽었다. 이 책 編著의 의도 및 연유는 金九植 序에서 다음과 같이 알 수 있다. "先從氏翠堂公曰, 說文解字, 爲字書之祖, 倉힐精義, 非此莫得而傳, 然尙恨體裁不嚴, 校勘未盡, 此舅氏翼徵書所由起也. 夫人類之所尊重者莫如天地父母及帝字, 而許氏皆從字, 而不從文, 不得爲建首, 父祖之祖, 與姑且之且, 相混無別, 不成倫理, 此皆有絶大之關係. 凡若是者一入舅手, 墜者復, 而僞者正, 隔斷者接續, 而隱晦者呈露, 有萬物斯覩之快, 自有六書之學所未有也. " 특히 鐘鼎文을 가지고 許氏 ≪說文≫을 비판했음에 대하여 다음같이 말했다. "允亦嘗從溫齋先生遊, 得聞一二諸言, 蓋倉頡古聖人也, 其造字也, 莫不有至理存焉. 唐虞三代以前, 承用惟謹, 不失本旨, 考諸後世發見之古鐘鼎可知也. 自衰周以來, 變而爲大山篆隷, 又轉而爲八分楷草, 日簡易, 多失其本旨, 或以近似而倂混, 或不能分別, 文字差以毫釐, 謬以千里, 自史古文不免斯患, 況其下者乎, 先生嘗言, 許氏之世, 鐘鼎之埋沒於地中者未盡出, 所崇者惟孔壁書之裹頭文字, 而集古考古博古諸書之尖畵寫 篆款識諸家之武斷臆定, 啓誤承迷, 爲鐘鼎文之第一厄會. …… 蓋字體之明確可據者, 莫如鐘鼎, 而金銘古奧難解, 非大眼目細心法, 洞覽天人之理, 博綜古今之雅者不能辨也. …… 且漢儒之學守其師說, 雖知其非, 不敢矯正, 於是謬者仍謬, 晦者兪晦, 浸浸然, 失其面目者多矣, 先生爲是之懼, 專精覃思用力於六書之學, 嘗擇良木, 手自斲礱爲鐘鼎槃敦梡橛諸彛器數百種, 依圖刻畵列置左右, 坐彎於其中, 畵宵硏究, 若許氏字義之有未晰處, 一以金銘斲之比較同異, 考文辨膺, 正其僞謬, 如法吏之治獄. …… 詢可稱千古有數之書也." 또한 序에 보면 伯氏되는 瓛齋先生이 燕에 使行했을 때 미완성인 草稿를 중국학자에게 보여 칭찬을 받았다고 한다. “瓛翁嘗奉使入燕, 携帶說文翼徵, 未成艸, 示王軒·董·文燦·吳大徵諸君, 皆邃於說文之學者也, 莫下大加稱賞曰, 此許氏之眞功臣, 非若徐鉉父子之依文解釋而己, 俟其全稿出, 當見洛陽紙貴也." 이 책은 앞에 金允植의 序와 1912년(壬子年)에 이 책의 간행을 알리는 金允植의 글이 붙어 있다. 그리고, 본문의 내용 및 체제 배열은 다음과 같다. 제1권에는 ㅡ部, ㅗ部에서 ?(p.79)部까지(1-14), 제2권에는 小部(15部)에서 ?(p.79)部까지(15-44), 제3권에는 ?(p.79)部(45部)에서 ?(p.79)部(97部)까지. 제4권에는 ?(p.79)部(98部)에서 ?(p.79)部(142部)까지, 제5권에는 竹部(143部)에서 桀部(205部)까지, 제6권에는 木部(206部)에서 ?(p.79)部(230部)까지, 제7권에는 日部(231部)에서 ?(p.79)部(286部)까지, 제8권에는 人部(287部)에서 无部(323部)까지, 제9권에는 頁部(324部)에서 象部(369部)까지, 제10권에는 馬部(370部)에서 ?(p.79)部(409部)까지, 제11권에는 水部(410部)에서 ?(p.79)部(430部)까지, 제12권에는 乙部(431部)에서 糸部(466部)까지, 제13권에는 糸部(467部)에서 ?(p.79)部(489部)까지, 제14권에는 金部(490部)에서 亥部(540部)까지. 이 책의 끝에 金洵卿과 金器卿의 附說 및 卷外로 [說文解字原序]가 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說文解字翼徵』의 모든 내용을 번역하고 주석을 달았으며, 연구자의 해설을 첨가하는 형식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說文解字翼徵』의 모든 내용을 번역하고 주석을 달았으며, 연구자의 해설을 첨가하는 형식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국문 초록 (Abstract)
朴瑄壽가 고대의 鐘鼎文을 연구하여 ≪說文≫의 미비한 점을 수정하고 보완한 책이다.
朴瑄壽가 고대의 鐘鼎文을 연구하여 ≪說文≫의 미비한 점을 수정하고 보완한 책이다.
국문 초록 (Abstract)
序, 卷1:ㅡ部, ㅗ部…部(1-14), 卷2:小部(15部)…部(15-44), 卷3:㗊部(45部)…㸚部(97部), 卷4권:部(98部)…部(142部), 卷5:竹部(143部)…桀部(205部), 卷6:木部(206部)…部(230部), 卷7:日部(231部)…黹部(286部),...
序, 卷1:ㅡ部, ㅗ部…部(1-14), 卷2:小部(15部)…部(15-44), 卷3:㗊部(45部)…㸚部(97部), 卷4권:部(98部)…部(142部), 卷5:竹部(143部)…桀部(205部), 卷6:木部(206部)…部(230部), 卷7:日部(231部)…黹部(286部), 卷8:人部(287部)…无部(323部), 卷9:頁部(324部)…象部(369部), 卷10:馬部(370部)…惢部(409部), 卷11:水部(410部)…卂部(430部), 卷12:乙部(431部)…糸部(466部), 卷13:糸部(467部)…劦部(489部), 卷14:金部(490部)…亥部(540部), 附說, 說文解字原序
(출처: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http://e-kyujanggak.snu.ac.kr/MOK/CONVIEW.jsp?type=HEJ&ptype=list&subtype=jg&lclass=10&mclass=&sclass=&ntype=sj&cn=GK06135_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