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일본법원의 국제재판관할권에 관하여 = 2011년 개정민사소송법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68922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일본에서는 종래 국제재판관할에 대한 명문규정이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에, 종전의 판례법리는 민사소송법의 재판적이 일본국내에 있는 경우에는 일본의 국제재판관할을 긍정하면서, 각 사건에서 특단의 사정이 있는 경우에는 이를 부정하는 판단방법이 정착되어 왔다. 2011년 국제재판관할권의 법제화에서는 이에 관한 규율을 민사소송법전에 규정하게 되었고, 따라서 재산관계사건에 한정하게 되었다. 기본적으로는 지금까지의 판례법리에 입각하여, 소의 유형에 따라 구체적이고 개별적인 규정을 두었다. 개정민사소송법에서는 제3조2이하에 신설된 국제재판관할권에 관한 관할원인의 유무를 먼저 판단한 후에, 관할원인이 있었던 경우에는, ‘일본법원이 심리 및 재판을 하는 것이 당사자간의 형평을 해하거나 또는 적정하고 신속한 심리의 실현을 방해하게 되는 특별한 사정’의 유무가 문제로 되며, 특별한 사정이 있으면 국제재판관할권이 부정된다(제3조의9)고 판단하게 된다. 다만, 전속적 관할합의에 의하여 일본에 국제재판관할이 인정되는 경우에는 특별한 사정의 유무는 판단되지 않는다(동조 괄호서).
      국제재판관할권의 규율은, 국내토지관할규정을 토대로 작업이 진행되어, 국제재판관할권의 배분의 원리에 의거하여 관할원인을 정한 것이다. 이를 비교해 보면, 국제재판관할권에서 신설된 관할원인으로는, 소비자계약 및 노동관계사건의 관할, 사업활동관할, 전속관할 등을 들 수 있고, 변경된 관할원인으로 계약상의 채무이행지관할, 재산소재지관할, 불법행위지관할, 합의관할 등을 들 수가 있다. 이와 같이 상세하고 구체적인 규율을 두게 됨으로써, 국제재판관할권의 규율에 대하여 명확성이 향상되었고, 당사자의 예측가능성도 가능한 한 확보할 수 있게 되었다. 다만, 민사소송법상의 특별한 사정은, 종래 판례법상의 특단의 사정에 비하여, 제한적으로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일본에서는 종래 국제재판관할에 대한 명문규정이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에, 종전의 판례법리는 민사소송법의 재판적이 일본국내에 있는 경우에는 일본의 국제재판관할을 긍정하면서, 각 ...

      일본에서는 종래 국제재판관할에 대한 명문규정이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에, 종전의 판례법리는 민사소송법의 재판적이 일본국내에 있는 경우에는 일본의 국제재판관할을 긍정하면서, 각 사건에서 특단의 사정이 있는 경우에는 이를 부정하는 판단방법이 정착되어 왔다. 2011년 국제재판관할권의 법제화에서는 이에 관한 규율을 민사소송법전에 규정하게 되었고, 따라서 재산관계사건에 한정하게 되었다. 기본적으로는 지금까지의 판례법리에 입각하여, 소의 유형에 따라 구체적이고 개별적인 규정을 두었다. 개정민사소송법에서는 제3조2이하에 신설된 국제재판관할권에 관한 관할원인의 유무를 먼저 판단한 후에, 관할원인이 있었던 경우에는, ‘일본법원이 심리 및 재판을 하는 것이 당사자간의 형평을 해하거나 또는 적정하고 신속한 심리의 실현을 방해하게 되는 특별한 사정’의 유무가 문제로 되며, 특별한 사정이 있으면 국제재판관할권이 부정된다(제3조의9)고 판단하게 된다. 다만, 전속적 관할합의에 의하여 일본에 국제재판관할이 인정되는 경우에는 특별한 사정의 유무는 판단되지 않는다(동조 괄호서).
      국제재판관할권의 규율은, 국내토지관할규정을 토대로 작업이 진행되어, 국제재판관할권의 배분의 원리에 의거하여 관할원인을 정한 것이다. 이를 비교해 보면, 국제재판관할권에서 신설된 관할원인으로는, 소비자계약 및 노동관계사건의 관할, 사업활동관할, 전속관할 등을 들 수 있고, 변경된 관할원인으로 계약상의 채무이행지관할, 재산소재지관할, 불법행위지관할, 합의관할 등을 들 수가 있다. 이와 같이 상세하고 구체적인 규율을 두게 됨으로써, 국제재판관할권의 규율에 대하여 명확성이 향상되었고, 당사자의 예측가능성도 가능한 한 확보할 수 있게 되었다. 다만, 민사소송법상의 특별한 사정은, 종래 판례법상의 특단의 사정에 비하여, 제한적으로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general rules of international jurisdiction as the case law have been deduced the venue from the internal jurisdiction under the “special circumstances consideration.” It has been criticized that this kind of deduction might be result in an expansion of international jurisdiction. New rules on international jurisdiction were regulated in the Code of Civil Procedure in 2011. These regulations have been basically grounded on the case law with the reference to foreign rules.
      New rules provide in concrete and clearly for jurisdiction by the domicile of defendant, etc.(Article 3-2), jurisdiction over an action relating to an obligation under a contract, etc.(Article 3-3), jurisdiction over actions relating to consumer contract and labor relationship(Article 3-4), exclusive jurisdiction(Article 3-5), jurisdiction over joint claim(Article 3-6), agreement on jurisdiction(Article 3-7), jurisdiction by appearance(Article 3-8), dismissal of action on account of special circumstances(Article 3-9), exclusion of application in case of exclusive jurisdiction(Article 3-10). To prevent exorbitant jurisdiction, new rules regulate also the exception of the extremely low value of the seizable property(Article 3-3, Item (3)), the harmfulness normally unforeseeable under the circumstances(Article 3-3, Item (8)) and so on. A business transaction carried out continuously in Japan consists of a subject of venue (Article 3-3, Item (5)). Although it seems to be similar to doing business, it is not a general jurisdiction. Litigations were abandoned in legislative process.
      Exclusive jurisdiction is limited in actions relating to a registration and actions relating to the existence or non-existence or the validity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etc. New Rules are unilateral provision, in the exception of an agreement to effect that an action can be exclusively field with a foreign court. The advance agreement on jurisdiction concerning consumer contract and labor relationship shall not be effective in principle with some exception. Although the court has general venue in Japan, it has with the power to dismiss actions in “special circumstances” with one clear exception : this will not apply when an action is filed with a Japanese court in accordance with an agreement between the parties that Japanese courts shall have exclusively jurisdiction over such claim(Article 3-9). This “special circumstances” provision must be characterized in narrow comparing to the “special circumstances consideration” in the case law and should be prudently applied by the court for the legal stability and predictability. “Special circumstances” are meaningful in relations to not only direction jurisdiction but also indirect one. We will see how it can function in the recognition and enforcement of foreign judgments.
      번역하기

      The general rules of international jurisdiction as the case law have been deduced the venue from the internal jurisdiction under the “special circumstances consideration.” It has been criticized that this kind of deduction might be result in an ex...

      The general rules of international jurisdiction as the case law have been deduced the venue from the internal jurisdiction under the “special circumstances consideration.” It has been criticized that this kind of deduction might be result in an expansion of international jurisdiction. New rules on international jurisdiction were regulated in the Code of Civil Procedure in 2011. These regulations have been basically grounded on the case law with the reference to foreign rules.
      New rules provide in concrete and clearly for jurisdiction by the domicile of defendant, etc.(Article 3-2), jurisdiction over an action relating to an obligation under a contract, etc.(Article 3-3), jurisdiction over actions relating to consumer contract and labor relationship(Article 3-4), exclusive jurisdiction(Article 3-5), jurisdiction over joint claim(Article 3-6), agreement on jurisdiction(Article 3-7), jurisdiction by appearance(Article 3-8), dismissal of action on account of special circumstances(Article 3-9), exclusion of application in case of exclusive jurisdiction(Article 3-10). To prevent exorbitant jurisdiction, new rules regulate also the exception of the extremely low value of the seizable property(Article 3-3, Item (3)), the harmfulness normally unforeseeable under the circumstances(Article 3-3, Item (8)) and so on. A business transaction carried out continuously in Japan consists of a subject of venue (Article 3-3, Item (5)). Although it seems to be similar to doing business, it is not a general jurisdiction. Litigations were abandoned in legislative process.
      Exclusive jurisdiction is limited in actions relating to a registration and actions relating to the existence or non-existence or the validity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etc. New Rules are unilateral provision, in the exception of an agreement to effect that an action can be exclusively field with a foreign court. The advance agreement on jurisdiction concerning consumer contract and labor relationship shall not be effective in principle with some exception. Although the court has general venue in Japan, it has with the power to dismiss actions in “special circumstances” with one clear exception : this will not apply when an action is filed with a Japanese court in accordance with an agreement between the parties that Japanese courts shall have exclusively jurisdiction over such claim(Article 3-9). This “special circumstances” provision must be characterized in narrow comparing to the “special circumstances consideration” in the case law and should be prudently applied by the court for the legal stability and predictability. “Special circumstances” are meaningful in relations to not only direction jurisdiction but also indirect one. We will see how it can function in the recognition and enforcement of foreign judgmen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 Ⅱ. 국제재판관할입법의 성립경위
      • Ⅲ. 개정민사소송법상의 국제재판관할권
      • Ⅳ. 비판적 고찰
      • Ⅴ. 맺음말
      • Ⅰ. 머리말
      • Ⅱ. 국제재판관할입법의 성립경위
      • Ⅲ. 개정민사소송법상의 국제재판관할권
      • Ⅳ. 비판적 고찰
      • Ⅴ. 맺음말
      • 《국문초록》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中野俊一郞, "長田報告コメント" (13) : 218-, 2011

      2 靑山善充ほか, "行事記錄第46回シンポジウム國際裁判管轄民事訴訟法改正をうけて" (30) : 109-, 2012

      3 中野俊一郞, "義務履行地の國際裁判管轄" (10) : 24-, 2008

      4 木棚昭一, "知的財産權侵害訴訟に關する國際裁判管轄權" (53) : 27-, 2012

      5 淸水節, "特許權侵害訴訟における國際裁判管轄" (50) : 43-, 2011

      6 日暮直子ほか, "民事訴訟法及び民事保全法の一部を改正する法律の槪要(上)(下)" 958 : 62-, 2011

      7 金子一, "民事訴訟法体系" 酒井書店 66-, 1954

      8 比護正史, "民事訴訟法の改正と國際裁判管轄" 74 (74): 173-, 2012

      9 "東京地判平成元年5月30日(判タ703号240頁)"

      10 "東京地判平成19年3月20日(判時1974号156頁)"

      1 中野俊一郞, "長田報告コメント" (13) : 218-, 2011

      2 靑山善充ほか, "行事記錄第46回シンポジウム國際裁判管轄民事訴訟法改正をうけて" (30) : 109-, 2012

      3 中野俊一郞, "義務履行地の國際裁判管轄" (10) : 24-, 2008

      4 木棚昭一, "知的財産權侵害訴訟に關する國際裁判管轄權" (53) : 27-, 2012

      5 淸水節, "特許權侵害訴訟における國際裁判管轄" (50) : 43-, 2011

      6 日暮直子ほか, "民事訴訟法及び民事保全法の一部を改正する法律の槪要(上)(下)" 958 : 62-, 2011

      7 金子一, "民事訴訟法体系" 酒井書店 66-, 1954

      8 比護正史, "民事訴訟法の改正と國際裁判管轄" 74 (74): 173-, 2012

      9 "東京地判平成元年5月30日(判タ703号240頁)"

      10 "東京地判平成19年3月20日(判時1974号156頁)"

      11 "東京地判平成10年11月27日(判タ1037号235頁)"

      12 道垣內正人, "日本の新しい國際管轄立法について" (12) : 187-, 2011

      13 佐藤達文, "新たに整備された國際裁判管轄法制と從前の裁判例" (975) : 19-, 2012

      14 日本弁護士連合會國際裁判管轄規則の法令化に關する檢討會議, "新しい國際裁判管轄法制―實務家の視点から―" (138) : 2012

      15 靑山善充, "新しい國際裁判管轄法について" (10) : 347-, 2012

      16 國際裁判管轄硏究會, "國際裁判管轄硏究會報告書(1)" (883) : 37-, 2008

      17 橫溝大, "國際裁判管轄法制の整備―民事訴訟法及び民事保全法の一部を改正する法律―" (1430) : 37-, 2011

      18 池原季, "國際裁判管轄權 鈴木忠一=三ヶ月章監修" 日本評論社 (7) : 15-, 1982

      19 座談會, "國際裁判管轄に關する立法の意義" (1386) : 4-, 2009

      20 服部謙太朗, "國際裁判管轄に關する民事訴訟法及び民事保全法改正の槪要について" (26) : 189-, 2011

      21 櫻田嘉章〓道垣內正人, "國際私法判例百選第2版" 有斐閣 178-, 2012

      22 櫻田嘉章, "國際私法 第6版" 有斐閣 373-, 2012

      23 高桑昭, "國際民事訴訟法·國際私法論集" 東信堂 36-, 2011

      24 佐藤達文=古林康彦, "一問一答·平成23年民事訴訟法等改正—國際裁判管轄法制の整備—"

      25 道垣內正人, "ハーグ國際裁判管轄條約" 商事法務 2009

      26 "http://www.moj.go.jp/content/000103358.pdf"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3 0.53 0.6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7 0.64 0.958 0.4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