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의 다문화가정에 대한 기독교상담전략의 모색 = Christian Counseling Strategy to Multicultural Famil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20168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definition of multicultural family, the status and practices of counselling services for those families and the Biblebased perspectives on those families; and summarizes and discusses insights and implications of previous studies on the techniques of counseling those families, so that it suggests Christian counselling strategies for multicultural families. Following the God’s order of “Therefore, as you go, disciple people in all nations, baptizing them in the name of the Father, and the Son, and the Holy Spirit (Matthew 28:29),” Christian counsellors must revisit their own consciousness and thoughts about multicultural families, and try to evangelize those families by providing counselling services. When truly understanding and emphasizing not only the difficulties that foreign family members go through in multicultural families, but also those of Korean family members who retain the traditional culture of Korean families, the Christian counsellors can help them participate in family counselling sessions and programs, understand each other`s expectations and demands, and reconcile cultural differences at reasonable levels. In order to counsel multicultural families in Korea, it is necessary to develop marriage preparation education, preventive programs such as parenting training, and peer-counselling programs; and to provide visiting services, and hotline-or internet-based services. Also needed for Christian counsellors are specialized education, supervision, and certification programs that which set them apart from general counsellors.
      번역하기

      This study examines the definition of multicultural family, the status and practices of counselling services for those families and the Biblebased perspectives on those families; and summarizes and discusses insights and implications of previous studi...

      This study examines the definition of multicultural family, the status and practices of counselling services for those families and the Biblebased perspectives on those families; and summarizes and discusses insights and implications of previous studies on the techniques of counseling those families, so that it suggests Christian counselling strategies for multicultural families. Following the God’s order of “Therefore, as you go, disciple people in all nations, baptizing them in the name of the Father, and the Son, and the Holy Spirit (Matthew 28:29),” Christian counsellors must revisit their own consciousness and thoughts about multicultural families, and try to evangelize those families by providing counselling services. When truly understanding and emphasizing not only the difficulties that foreign family members go through in multicultural families, but also those of Korean family members who retain the traditional culture of Korean families, the Christian counsellors can help them participate in family counselling sessions and programs, understand each other`s expectations and demands, and reconcile cultural differences at reasonable levels. In order to counsel multicultural families in Korea, it is necessary to develop marriage preparation education, preventive programs such as parenting training, and peer-counselling programs; and to provide visiting services, and hotline-or internet-based services. Also needed for Christian counsellors are specialized education, supervision, and certification programs that which set them apart from general counsellor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양승민, "한국적 다문화상담의 모색을 위한 농촌지역 결혼이민여성들의 스트레스 요인과 반응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대학원 2008

      2 한재희, "한국적 다문화 상담" 학지사 2011

      3 한재희, "한국의 가족문화와 다문화상담" 백석대학교 (16) : 117-132, 2008

      4 김영란, "한국사회에서 이주여성의 삶과 사회문화적 적응관련 정책" 아시아여성연구소 45 (45): 143-189, 2006

      5 조현상, "한국 다문화주의의 특징과 정책 방향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2009

      6 김희경, "지역사회 정착 전후 북한이탈주민의 성 및 연령별 심리 증상" 한국심리학회 29 (29): 707-724, 2010

      7 김민선, "중국인 유학생들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우울 및 신체화의 관계: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적응적 완벽주의의 중재효과 검증" 한국심리학회 29 (29): 725-745, 2010

      8 뉴시스, "조각나는 다문화가정"

      9 "위키백과"

      10 법무부 블로그, "외국유학생, 대학에서 출입국 서비스 받는다"

      1 양승민, "한국적 다문화상담의 모색을 위한 농촌지역 결혼이민여성들의 스트레스 요인과 반응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대학원 2008

      2 한재희, "한국적 다문화 상담" 학지사 2011

      3 한재희, "한국의 가족문화와 다문화상담" 백석대학교 (16) : 117-132, 2008

      4 김영란, "한국사회에서 이주여성의 삶과 사회문화적 적응관련 정책" 아시아여성연구소 45 (45): 143-189, 2006

      5 조현상, "한국 다문화주의의 특징과 정책 방향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2009

      6 김희경, "지역사회 정착 전후 북한이탈주민의 성 및 연령별 심리 증상" 한국심리학회 29 (29): 707-724, 2010

      7 김민선, "중국인 유학생들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우울 및 신체화의 관계: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적응적 완벽주의의 중재효과 검증" 한국심리학회 29 (29): 725-745, 2010

      8 뉴시스, "조각나는 다문화가정"

      9 "위키백과"

      10 법무부 블로그, "외국유학생, 대학에서 출입국 서비스 받는다"

      11 김재중, "성경적 관점에서 본 다문화 가정 여성의 한국생활 적응과정" 백석대학교 대학원 2010

      12 강경미, "북한이탈주민(새터민) 가정의 한국사회 부적응 문제와 기독교상담 전략" 한국복음주의 기독교상담학회 7 : 117-144, 2006

      13 이기숙, "문화다양성과 가족생활교육" 신라대학교여성문제연구소 19 : 211-242, 2008

      14 연합뉴스, "다문화의 그늘"

      15 임은미, "다문화상담의 이론과 실제" 태영출판사 2008

      16 양혜후, "다문화를 향한 이주정책들의 문제점과 그 대안" 이주여성인권연대

      17 박윤경, "다문화교육의 이해와 실천" 동문사 2010

      18 Bennett, Christiner, "다문화교육: 이론과 실제" 학지사 2010

      19 "다문화가족지원법 시행규칙 제정안"

      20 손현숙, "다문화가정의 현황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영남이공대학 36 : 121-139, 2007

      21 조영달, "다문화가정의 자녀교육 실태조사" 교육인적자원부 2006

      22 서은경, "다문화가정에 대한 기독교상담학적 접근에 관한 연구" 한국성경적상담학회 9 : 174-202, 2009

      23 김광수, "다문화가정 학생지도를 위한 학교상담의 방향과 과제" 초등교육연구원 20 (20): 197-213, 2010

      24 조한숙, "다문화가정 초등학교 아동의 자아정체감 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0

      25 이재분, "다문화가정 자녀교육 실태" 한국교육개발원 2008

      26 김제선, "다문화가정 사역을 통한 목회성장 전략 연구" 총신대학교 대학원 2010

      27 한숙자, "다문화가정 고부관계향상 프로그램의 교회적용" 한국복음주의 기독교상담학회 14 : 283-310, 2010

      28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 국제이해교육원, "다문화 사회의 이해(다문화 교육의 현실과 전망)" 도서출판동녘 2008

      29 성서아카데미, "그랜드 종합주석" 제자원 1999

      30 설동훈, "국제결혼 이주여성 실태조사 및 보건・복지지원 정책방안" 보건복지부 2005

      31 임은미, "국내 다문화 연구화 다문화 상담 연구의 현황" 한국상담학회 10 (10): 1291-1304, 2009

      32 곽희주, "공동체 형성을 통한 다문화 가족을 세우는 목회사역에 관한 연구" 장신대학교 대학원 2010

      33 송미경,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다문화상담의 모색" 서울여자대학교 여성연구소 23 : 41-51, 2008

      34 주은선, "결혼이주여성 대상 다문화 상담 관련 종사자들의 현장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심리학회 29 (29): 817-846, 2010

      35 Taylor, E. B., "Primitive Culture" Harper & Row 1958

      36 Pedersen, P., "Handbook for Developing Multicultural Awareness" American for Counseling and Development 1994

      37 Watts, R. J., "Elements of a Psychology of Human Diversity" 20 : 116-131,

      38 Spradley, J. P., "Conformity and Conflict" Scott, Foresman 1990

      39 통계청, "2010년 이혼・통계자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20-09-17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기독교상담학회 -> 한국복음주의상담학회
      영문명 : Korean Christian Counseling Association -> Korean Evangelical Counseling Society
      KCI등재
      2019-12-1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복음주의상담학회 -> 한국기독교상담학회
      영문명 : Korea Evangelical Counseling Society -> Korean Christian Counseling Association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2-17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복음주의 기독교상담학회 -> 한국복음주의상담학회 KCI등재
      2015-02-1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Gospel and Counseling -> Journal of Counseling and Gospel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3 0.63 0.6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5 0.67 0.824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