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韩国商法总则和商行为编中民法地位之考察 = A Study on the Legal Status of Civil Law Presented in the Parts of General Provisions and Commercial Activities of Korean Commercial Law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98629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hina has faced with the new era that the creative relationship between Civil Act and Commercial Act should be established since the Code of Civil Act has been enacted in last March 15, 2017. However, Korea has such a long histories of Civil Act and Commercial Act, since Korean Civil Act first enacted in 1958 and Korean Commercial Act in 1962. In Korea, the independent status of Commercial Act from Civil Act is acknowledged.
      But the status of Commercial Act is special from the general status of Civil Act gives some special regulations to Commercial Act under the similar circumstances of transactions. In that, the specialty and independence of Commercial Act is sustained. This Article examines the general status of Civil Act in Commercial Act in Korea through studying some special regulations under the Korean Commercial Act in order to give some proposed schemes to China’s new era.
      번역하기

      China has faced with the new era that the creative relationship between Civil Act and Commercial Act should be established since the Code of Civil Act has been enacted in last March 15, 2017. However, Korea has such a long histories of Civil Act and C...

      China has faced with the new era that the creative relationship between Civil Act and Commercial Act should be established since the Code of Civil Act has been enacted in last March 15, 2017. However, Korea has such a long histories of Civil Act and Commercial Act, since Korean Civil Act first enacted in 1958 and Korean Commercial Act in 1962. In Korea, the independent status of Commercial Act from Civil Act is acknowledged.
      But the status of Commercial Act is special from the general status of Civil Act gives some special regulations to Commercial Act under the similar circumstances of transactions. In that, the specialty and independence of Commercial Act is sustained. This Article examines the general status of Civil Act in Commercial Act in Korea through studying some special regulations under the Korean Commercial Act in order to give some proposed schemes to China’s new er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중국은 올해 초인 지난 2017년 3월 15일 제12기 전국인민대표대회를 통해 역사상 처음으로 민법총칙을 제정하였고 이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10월 1일부터발효된다. 중국 역사상 최초의 민법 제정은 중국 학계에 큰 파장을 일으키기에 충분했다. 그러니까 이는 중국의 민법학자들과 상법학자들에게 민법과 상법과의 관계를어떻게 정립할 것인가에 대한 문제를 공식적으로 제시하는 계기가 되었다. 따라서중국의 민법학계와 상법학계 간에는 상법을 민법에 흡수 통합하여야 한다는 주장과상법의 자주성과 독립성을 지키기 위하여 민법과는 별도로 독자적인 지위를 정립하여야 한다는 격론이 이루어지게 된 것이다. 이러한 사정에서 중국은 지난 4월 15일중국 정주에 소재하는 하남재경정법대학에서 중국, 대만, 캐나다, 한국의 민법 및상법학자들을 초정하여 민법과 상법과의 새로운 관계 정립을 위한 국제학술대회를개최하였다. 이 글은 이 학술대회의 발표문을 정리한 것으로서, 한국상법 특히 제1 편 총칙편과 제2편 상행위편에서 나타나는 민법에 대한 상법상 특별규정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이 글은 상법과 민법과의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상법 속에서의 민법의 지위를 살펴보고 한국에서의 민법과 상법과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제시하고자하였다. 결국 이 글은 한국 상법에서 나타나는 민법의 지위에 관한 연구를 통해앞으로 중국에서도 민법과 상법과의 관계를 정립하는데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고중국 민법 및 상법학계의 발전에 기여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번역하기

      중국은 올해 초인 지난 2017년 3월 15일 제12기 전국인민대표대회를 통해 역사상 처음으로 민법총칙을 제정하였고 이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10월 1일부터발효된다. 중국 역사상 최초의 민법 ...

      중국은 올해 초인 지난 2017년 3월 15일 제12기 전국인민대표대회를 통해 역사상 처음으로 민법총칙을 제정하였고 이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10월 1일부터발효된다. 중국 역사상 최초의 민법 제정은 중국 학계에 큰 파장을 일으키기에 충분했다. 그러니까 이는 중국의 민법학자들과 상법학자들에게 민법과 상법과의 관계를어떻게 정립할 것인가에 대한 문제를 공식적으로 제시하는 계기가 되었다. 따라서중국의 민법학계와 상법학계 간에는 상법을 민법에 흡수 통합하여야 한다는 주장과상법의 자주성과 독립성을 지키기 위하여 민법과는 별도로 독자적인 지위를 정립하여야 한다는 격론이 이루어지게 된 것이다. 이러한 사정에서 중국은 지난 4월 15일중국 정주에 소재하는 하남재경정법대학에서 중국, 대만, 캐나다, 한국의 민법 및상법학자들을 초정하여 민법과 상법과의 새로운 관계 정립을 위한 국제학술대회를개최하였다. 이 글은 이 학술대회의 발표문을 정리한 것으로서, 한국상법 특히 제1 편 총칙편과 제2편 상행위편에서 나타나는 민법에 대한 상법상 특별규정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이 글은 상법과 민법과의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상법 속에서의 민법의 지위를 살펴보고 한국에서의 민법과 상법과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제시하고자하였다. 결국 이 글은 한국 상법에서 나타나는 민법의 지위에 관한 연구를 통해앞으로 중국에서도 민법과 상법과의 관계를 정립하는데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고중국 민법 및 상법학계의 발전에 기여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林泓根, "韓國商法典 50年史" 法文社 2013

      2 金俊鎬, "民法講義 (理論 事例 判例)" 法文社 2017

      3 地元林, "民法講義" 博英社 2017

      4 郭潤直, "民法總則" 博英社 2013

      5 金洸綠, "核心整理 商法要論(上)" 法元社 2005

      6 徐燉珏, "改正商法要論" 法文社 2002

      7 鄭澯亨, "商法講義(上)" 博英社 2017

      8 金正皓, "商法講義(上)" 法文社 2005

      9 姜渭斗, "商法講義" 螢雪出版社 2011

      10 李哲松, "商法講義" 博英社 2011

      1 林泓根, "韓國商法典 50年史" 法文社 2013

      2 金俊鎬, "民法講義 (理論 事例 判例)" 法文社 2017

      3 地元林, "民法講義" 博英社 2017

      4 郭潤直, "民法總則" 博英社 2013

      5 金洸綠, "核心整理 商法要論(上)" 法元社 2005

      6 徐燉珏, "改正商法要論" 法文社 2002

      7 鄭澯亨, "商法講義(上)" 博英社 2017

      8 金正皓, "商法講義(上)" 法文社 2005

      9 姜渭斗, "商法講義" 螢雪出版社 2011

      10 李哲松, "商法講義" 博英社 2011

      11 金星泰, "商法總則·商行爲法總論" 法文社 2002

      12 李基秀, "商法總則·商行爲法學" 博英社 2003

      13 李哲松, "商法總則·商行爲" 博英社 2016

      14 崔基元, "商法學新論(上)" 博英社 2011

      15 崔基元, "商法學原論" 博英社 2008

      16 金洸綠, "商法原論(I)" 釜慶大學校 出版部 2004

      17 林泓根, "商法(商法總則·商行爲)" 法文社 2001

      18 孫珠璨, "商法(上)" 博英社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신청제한 (기타)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8 0.28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