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 영화시장 내 애니메이션영화의 흥행결정 요인 분석: 2011~2015년 개봉작품을 중심으로 = Predicting Box Office Performance for Animation Movies: Evidence from Movies Released in Korea, 2011-2015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60476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factors that affect animation movies’ box office revenues. Using a sample of 312 animation movies released from 2011 to 2015 released in the Korean market, it employs such independent variables as film ratings, nationality, sequels, release time, power of distributors, the number of screens, online reviews, and critics' reviews. Unlike previous studies, this study divides sequels into two groups (sequels based on previous films or television programs and sequels based on writeen materials including comics, books, graphic novels) in order to recognize and compare the difference of sequel groups. The present study discoveres that the number of netizen reviewers, the number of screens, Holllywood animations, sequels based on previous films or television programs are significant for the total domestic box office revenues. Like the findings from previous studies, this study found that both the number of netizen reviewers and the number of screens positively affect box office results. This study also provides a new finding that both Holllywood animations and sequels based on previous films or television programs are positively related to the box office performance.
      번역하기

      This study examines the factors that affect animation movies’ box office revenues. Using a sample of 312 animation movies released from 2011 to 2015 released in the Korean market, it employs such independent variables as film ratings, nationality, s...

      This study examines the factors that affect animation movies’ box office revenues. Using a sample of 312 animation movies released from 2011 to 2015 released in the Korean market, it employs such independent variables as film ratings, nationality, sequels, release time, power of distributors, the number of screens, online reviews, and critics' reviews. Unlike previous studies, this study divides sequels into two groups (sequels based on previous films or television programs and sequels based on writeen materials including comics, books, graphic novels) in order to recognize and compare the difference of sequel groups. The present study discoveres that the number of netizen reviewers, the number of screens, Holllywood animations, sequels based on previous films or television programs are significant for the total domestic box office revenues. Like the findings from previous studies, this study found that both the number of netizen reviewers and the number of screens positively affect box office results. This study also provides a new finding that both Holllywood animations and sequels based on previous films or television programs are positively related to the box office performanc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한국에서 개봉된 애니메이션 영화의 흥행성과에 영향을 끼친 요인들을 고찰하고자 한다. 분석대상은 2011년부터 2015년까지 한국에서 개봉된 총 312편의 애니메이션 영화이다. 종속변수인 전국 관객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 지 고찰하기 위해 독립변인은 영화의 국적, 등급, 속편형태, 배급사 파워, 개봉스크린 규모, 개봉시점, 그리고 전문가 평가와 네티즌의 온라인 평가로 설정되었다. 이 연구는 선행 연구들이 간과한 속편 형태를 분류하여 인쇄물에 근거한 형태와 영상물에 근거한 형태로 세분화하여 흥행성과와의 관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에서 네티즌의 온라인 평가 참여빈도, 개봉스크린 규모, 미국 국적의 애니메이션 영화, 그리고 영상물에 근거한 속편 형태가 애니메이션 영화의 흥행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이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의미한 관계성을 보인 네 개의 요인 중 온라인 평가 참여빈도와 개봉스크린 규모는 선행 연구의 분석 결과와 일치하였다. 하지만 미국 국적의 애니메이션과 영상물에 근거한 속편 형태는 흥행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새로운 요인들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한국에서 개봉된 애니메이션 영화의 흥행성과에 영향을 끼친 요인들을 고찰하고자 한다. 분석대상은 2011년부터 2015년까지 한국에서 개봉된 총 312편의 애니메이션 영화이다. 종속...

      이 연구는 한국에서 개봉된 애니메이션 영화의 흥행성과에 영향을 끼친 요인들을 고찰하고자 한다. 분석대상은 2011년부터 2015년까지 한국에서 개봉된 총 312편의 애니메이션 영화이다. 종속변수인 전국 관객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 지 고찰하기 위해 독립변인은 영화의 국적, 등급, 속편형태, 배급사 파워, 개봉스크린 규모, 개봉시점, 그리고 전문가 평가와 네티즌의 온라인 평가로 설정되었다. 이 연구는 선행 연구들이 간과한 속편 형태를 분류하여 인쇄물에 근거한 형태와 영상물에 근거한 형태로 세분화하여 흥행성과와의 관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에서 네티즌의 온라인 평가 참여빈도, 개봉스크린 규모, 미국 국적의 애니메이션 영화, 그리고 영상물에 근거한 속편 형태가 애니메이션 영화의 흥행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이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의미한 관계성을 보인 네 개의 요인 중 온라인 평가 참여빈도와 개봉스크린 규모는 선행 연구의 분석 결과와 일치하였다. 하지만 미국 국적의 애니메이션과 영상물에 근거한 속편 형태는 흥행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새로운 요인들로 나타났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승현, "한국영화의 흥행성과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 2009~2010년 개봉작품을 중심으로 *" 한국지역언론학회 11 (11): 231-258, 2011

      2 고정민, "한국영화 흥행 요인에 관한 연구: 애국심 유발 요인을 중심으로" (재)에스비에스문화재단 6 (6): 7-39, 2008

      3 김은미, "한국 영화의 흥행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회 47 (47): 8-220, 2003

      4 박승현, "한국 영화시장의 흥행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 2006-2008년 개봉작품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언론학회 9 (9): 243-276, 2009

      5 박승현, "영화의 주별 흥행성과에 미치는 영향: 온라인 구전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6 (56): 210-235, 2012

      6 권재웅, "애니메이션영화의 흥행성과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2004~2011년 개봉작품을 중심으로" 한국문화산업학회 12 (12): 97-110, 2012

      7 정완규, "애니메이션 영화의 흥행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 2003-2008년 개봉작품을 중심으로"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16) : 21-32, 2009

      8 Liu, Y., "Word of Mouth For Movies: Its Dynamics and Impact On Box Office Revenue" 70 (70): 74-89, 2006

      9 De Vany, A., "Uncertainty In The Movie Industry: Does Star Power Reduce The Terror At The Box Office" 23 (23): 285-318, 1999

      10 Wallace, W. T., "The Role Of Actors and Actresses In The Success Of Films: How Much Is A Movie Star Worth?" 17 (17): 1-27, 1993

      1 박승현, "한국영화의 흥행성과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 2009~2010년 개봉작품을 중심으로 *" 한국지역언론학회 11 (11): 231-258, 2011

      2 고정민, "한국영화 흥행 요인에 관한 연구: 애국심 유발 요인을 중심으로" (재)에스비에스문화재단 6 (6): 7-39, 2008

      3 김은미, "한국 영화의 흥행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회 47 (47): 8-220, 2003

      4 박승현, "한국 영화시장의 흥행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 2006-2008년 개봉작품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언론학회 9 (9): 243-276, 2009

      5 박승현, "영화의 주별 흥행성과에 미치는 영향: 온라인 구전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6 (56): 210-235, 2012

      6 권재웅, "애니메이션영화의 흥행성과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2004~2011년 개봉작품을 중심으로" 한국문화산업학회 12 (12): 97-110, 2012

      7 정완규, "애니메이션 영화의 흥행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 2003-2008년 개봉작품을 중심으로"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16) : 21-32, 2009

      8 Liu, Y., "Word of Mouth For Movies: Its Dynamics and Impact On Box Office Revenue" 70 (70): 74-89, 2006

      9 De Vany, A., "Uncertainty In The Movie Industry: Does Star Power Reduce The Terror At The Box Office" 23 (23): 285-318, 1999

      10 Wallace, W. T., "The Role Of Actors and Actresses In The Success Of Films: How Much Is A Movie Star Worth?" 17 (17): 1-27, 1993

      11 Sochay, S., "Predicting The Performance Of Motion Pictures" 7 (7): 1-20, 1994

      12 Moul, C., "Measuring Word-Of-Mouth’s Impact On Theatrical Movie Admissions" 16 (16): 859-892, 2007

      13 Ravid, A., "Information, Blockbusters, and Stars: A Study Of Film Industry" 72 (72): 463-492, 1999

      14 Wasco, J., "How Hollywood Works" Sage 2003

      15 Basuroy, S., "How Critical Are Critical Reviews?: The Box Office Effects of Film Critics, Star Power, and Budget" 67 (67): 103-117, 2003

      16 Elberse, A., "Film Critics: Influencers Or Predictors" 61 (61): 68-78, 1997

      17 Dellarocas, C., "Exploring The Value Of Online Product Reviews In Forecasting Sales: The Case Of Motion Pictures" 21 (21): 23-45, 2007

      18 Duan, W., "Do Online Reviews Matter?: An Empirical Investigation Of Panel Data" 45 (45): 1007-1016, 2008

      19 Prag, J., "An Empirical Study Of The Determinants Of Revenues and Marketing Expenditures In The Motion Picture Industry" 18 (18): 217-235, 199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8-04-18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문화무역학회 -> 한국문화산업학회
      영문명 : Korea Society Of Culture And International Trade -> Korea Society of Culture Industry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8 0.88 0.9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6 0.83 1.366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