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발된 스트레스 상황에서 당분이 스트레스 지수, 저항도, 피로도, 혈압 및 맥박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Sugar on Stress Index, Resistance, Fatigue, Blood Pressure and Pulse in Induced Stress Situ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12070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a non-equivocal control group pre- and post-experiment study which examines the effect of sugar on ingestion-induced stress reduction. The study subjects were 30 healthy students attending S University in Seoul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They were numbered in the order of visits to the experimental sites, and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ith a time difference of 14 persons each. Experimental methods were stressed using a computer - programmed stress - inducing tool and subjects were given solid candy for 3 minutes. The control group was stabilized for 3 minutes without treatment.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ANCOVA using SPSS (Ver. 21) program. As a result, the stress index (F=5.64, p=.026)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nd the stress resistance (F=9.37, p=.005)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sweetness intake is an effective intervention method to help relieve stress.
      번역하기

      This study is a non-equivocal control group pre- and post-experiment study which examines the effect of sugar on ingestion-induced stress reduction. The study subjects were 30 healthy students attending S University in Seoul who agreed to participate ...

      This study is a non-equivocal control group pre- and post-experiment study which examines the effect of sugar on ingestion-induced stress reduction. The study subjects were 30 healthy students attending S University in Seoul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They were numbered in the order of visits to the experimental sites, and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ith a time difference of 14 persons each. Experimental methods were stressed using a computer - programmed stress - inducing tool and subjects were given solid candy for 3 minutes. The control group was stabilized for 3 minutes without treatment.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ANCOVA using SPSS (Ver. 21) program. As a result, the stress index (F=5.64, p=.026)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nd the stress resistance (F=9.37, p=.005)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sweetness intake is an effective intervention method to help relieve stres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당분 섭취가 유발된 스트레스 감소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본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실험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 소재 S 대학교에 재학 중인 30명의 건강한 학생들로서 연구에 참여하기를 동의한 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 장소에 방문하는 순서대로 번호를 매겨 실험군과 대조군에 각 14명 씩 시차를 두고 교차 배정하였다. 실험방법은 대상자에게 컴퓨터에 프로그램 된 스트레스 유발도구를 이용하여 스트레스를 받게 한 후 실험군에게는 고체사탕을 3분간 섭취하게 하였다. 대조군은 처치 없이 3분간 안정을 취하게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Ver. 21)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실험 후 두군 간 차이를 ANCOVA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스트레스 지수(F=5.64, p=.026)가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스트레스 저항도(F=9.37, p=.005)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당분 섭취가 대학생들의 유발된 스트레스 완화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적인 중재 방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당분 섭취가 유발된 스트레스 감소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본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실험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 소재 S 대학교에 재학 중인 30명의 건강한 학생...

      본 연구는 당분 섭취가 유발된 스트레스 감소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본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실험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 소재 S 대학교에 재학 중인 30명의 건강한 학생들로서 연구에 참여하기를 동의한 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 장소에 방문하는 순서대로 번호를 매겨 실험군과 대조군에 각 14명 씩 시차를 두고 교차 배정하였다. 실험방법은 대상자에게 컴퓨터에 프로그램 된 스트레스 유발도구를 이용하여 스트레스를 받게 한 후 실험군에게는 고체사탕을 3분간 섭취하게 하였다. 대조군은 처치 없이 3분간 안정을 취하게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Ver. 21)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실험 후 두군 간 차이를 ANCOVA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스트레스 지수(F=5.64, p=.026)가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스트레스 저항도(F=9.37, p=.005)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당분 섭취가 대학생들의 유발된 스트레스 완화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적인 중재 방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금선, "대학생의 자기효능감, 건강증진 행위와 스트레스 증상과의 상관관계" 한국간호과학회 35 (35): 585-592, 2005

      2 전예숙, "대학생의 시험 스트레스가 미각과 영양소 섭취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3 (33): 349-355, 2004

      3 하귀현, "대전지역 대학생의 스트레스와 식생활관리 조사(II)" 한국콘텐츠학회 12 (12): 306-313, 2012

      4 "https://www.nhrd.net/index.do/"

      5 K. Kamakhya, "Traditional Knowledge" 7 (7): 401-404, 2008

      6 D. Palomba, "Psychophysiology and Biofeedback" 36 (36): 185-192, 2011

      7 T. C. Wai, "Psychiatry" 64 (64): 376-379, 2013

      8 Y. S. Kang, "Physical Education" 25 (25): 185-221, 1997

      9 N. Schneider, "Neuroradiology" 43 (43): 472-476, 2001

      10 B. Agarwal, "Medical Science" 1 (1): 189-192, 2014

      1 한금선, "대학생의 자기효능감, 건강증진 행위와 스트레스 증상과의 상관관계" 한국간호과학회 35 (35): 585-592, 2005

      2 전예숙, "대학생의 시험 스트레스가 미각과 영양소 섭취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3 (33): 349-355, 2004

      3 하귀현, "대전지역 대학생의 스트레스와 식생활관리 조사(II)" 한국콘텐츠학회 12 (12): 306-313, 2012

      4 "https://www.nhrd.net/index.do/"

      5 K. Kamakhya, "Traditional Knowledge" 7 (7): 401-404, 2008

      6 D. Palomba, "Psychophysiology and Biofeedback" 36 (36): 185-192, 2011

      7 T. C. Wai, "Psychiatry" 64 (64): 376-379, 2013

      8 Y. S. Kang, "Physical Education" 25 (25): 185-221, 1997

      9 N. Schneider, "Neuroradiology" 43 (43): 472-476, 2001

      10 B. Agarwal, "Medical Science" 1 (1): 189-192, 2014

      11 D. S. Jung, "Korea Medicine" 13 (13): 129-138, 2007

      12 J. Sztajzel, "Heart rate variability: a non invasive electrocardiographic method to measure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134 : 514-522, 2004

      13 이전, "HRV를 통한 운전자 스트레스 정도 추정 가능성 연구" 한국감성과학회 13 (13): 61-68, 2010

      14 Y. Goto, "Experimental Medicine" 187 (187): 49-58, 1999

      15 S. W. Kim, "Clinical Nutrition" 71 (71): 44-57, 2000

      16 D. L. Kevin, "Clinical Endocrinology & Metabolism" 100 (100): 2239-2247, 2015

      17 T. M. Pollard, "Behavioral Medicine" 2 (2): 299-320, 1995

      18 L. Chapman, "Art Therapy" 18 (18): 100-104, 2001

      19 J. J Park, "A Study on the Stress Reduction Effect of Irritation of Coffee Drink Sweetness Concentration" Hanbat National University 2016

      20 H. H. Lee, "A Study on the Effect of Sweetness on Stress Inhibition" Hanbat National University 201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19-12-01 평가 등재 탈락 (기타)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3 0.32 0.407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