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완벽주의 성향, 불안 및 학업스트레스와의 관계 =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m, Anxiety and Academic Stress in Nursing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12070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a descriptive study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m, anxiety, and academic stress in nursing student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August 01, 2017 to August 14, 2017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 and 159 nursing students attending a 4 - year university in B city. The data was analyzed with SPSS 21.0 program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cheffe's test. The perfectionism was 3.20 ± .43 on the scale of 5, anxiety was 2.14 ± .30 on the scale of 4, and academic stress was 2.60 ± .66 on the scale of 5. Perfectionism was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academic achievement(F=4.895, p=.009). Anxiety was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sex(t=2.768, p=.006), selection motives of nursing(F=3.055, p=.019), satisfaction of college life((F=3.595, p=.008), satisfaction of major(F=4.991, p=.001). Academic stress was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selection motives of nursing(F=3.835, p=.005), satisfaction of college life(F=7.515, p<.001), satisfaction of major(F=6.202, p<.001). Perfectionism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to academic stress(r=.53, p<.001) and anxiety(r=.28, p<.001).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counseling and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that can alleviate perfectionism.
      번역하기

      This study is a descriptive study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m, anxiety, and academic stress in nursing student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August 01, 2017 to August 14, 2017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 and 159 nursing...

      This study is a descriptive study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m, anxiety, and academic stress in nursing student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August 01, 2017 to August 14, 2017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 and 159 nursing students attending a 4 - year university in B city. The data was analyzed with SPSS 21.0 program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cheffe's test. The perfectionism was 3.20 ± .43 on the scale of 5, anxiety was 2.14 ± .30 on the scale of 4, and academic stress was 2.60 ± .66 on the scale of 5. Perfectionism was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academic achievement(F=4.895, p=.009). Anxiety was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sex(t=2.768, p=.006), selection motives of nursing(F=3.055, p=.019), satisfaction of college life((F=3.595, p=.008), satisfaction of major(F=4.991, p=.001). Academic stress was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selection motives of nursing(F=3.835, p=.005), satisfaction of college life(F=7.515, p<.001), satisfaction of major(F=6.202, p<.001). Perfectionism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to academic stress(r=.53, p<.001) and anxiety(r=.28, p<.001).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counseling and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that can alleviate perfectionis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완벽주의 성향, 불안 및 학업스트레스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은 2017년 8월 01일부터 8월 14일까지이고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B 광역시 소재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간호대학생 15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완벽주의 성향은 5점 만점에 3.20±.43점, 학업스트레스는 5점 만점에 2.60±.66점, 불안은 4점 만점에 2.14±.30점이었다. 완벽주의 성향은 성적(F=4.895, p=.009)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불안은 성별(t=2.768, p=.006), 간호학과 지원동기(F=3.055, p=.019), 대학생활 만족도(F=3.595, p=.008), 전공에 대한 만족도(F=4.991, p=.001)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학업스트레스는 간호학과 지원동기(F=3.835, p=.005), 대학생활 만족도(F=7.515, p<.001), 전공에 대한 만족도(F=6.202, 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완벽주의 성향은 학업스트레스(r=.53, p<.001), 불안(r=.28, p<.001)과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완벽주의를 완화시킬 수 있는 상담 및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완벽주의 성향, 불안 및 학업스트레스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은 2017년 8월 01일부터 8월 14일까지이고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완벽주의 성향, 불안 및 학업스트레스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은 2017년 8월 01일부터 8월 14일까지이고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B 광역시 소재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간호대학생 15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완벽주의 성향은 5점 만점에 3.20±.43점, 학업스트레스는 5점 만점에 2.60±.66점, 불안은 4점 만점에 2.14±.30점이었다. 완벽주의 성향은 성적(F=4.895, p=.009)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불안은 성별(t=2.768, p=.006), 간호학과 지원동기(F=3.055, p=.019), 대학생활 만족도(F=3.595, p=.008), 전공에 대한 만족도(F=4.991, p=.001)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학업스트레스는 간호학과 지원동기(F=3.835, p=.005), 대학생활 만족도(F=7.515, p<.001), 전공에 대한 만족도(F=6.202, 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완벽주의 성향은 학업스트레스(r=.53, p<.001), 불안(r=.28, p<.001)과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완벽주의를 완화시킬 수 있는 상담 및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주리, "커뮤니케이션 능력 및 의사소통의 양과 질에 따른 대학생의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의 차이" 한국아동학회 29 (29): 325-337, 2008

      2 노기옥, "전문간호사의 완벽주의와 소진의 관계에서 감성지능의 조절효과" 간호행정학회 22 (22): 109-118, 2016

      3 김진일, "임상실습이 간호학생의 스트레스, 불안 및 자율신경계 변화에 미치는 영향" 기초간호학회 13 (13): 102-108, 2011

      4 조경순, "일 대학 여대생의 월경전기 증후군과 자동적 사고, 완벽성과의 관계" 한국성인간호학회 14 (14): 144-153, 2002

      5 김혜진, "대학생의 완벽주의와 삶의 만족의 관계에서 우유부단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학회 17 (17): 23-47, 2010

      6 신소홍, "간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학업탄력성의 조절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 22 (22): 14-24, 2016

      7 이미현, "간호대학생의 통합성과 학업스트레스" 한국콘텐츠학회 14 (14): 863-872, 2014

      8 노기옥, "간호대학생의 완벽주의와 학업탄력성이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호교육학회 23 (23): 205-213, 2017

      9 전해옥, "간호대학생의 여가활동에 따른 완벽성과 자아탄력성이 불안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17 (17): 134-143, 2016

      10 이윤경, "간호대학생의 불안 및 지각된 스트레스 경험과 자아탄력성과의 관계" 한국산학기술학회 15 (15): 1953-1962, 2014

      1 한주리, "커뮤니케이션 능력 및 의사소통의 양과 질에 따른 대학생의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의 차이" 한국아동학회 29 (29): 325-337, 2008

      2 노기옥, "전문간호사의 완벽주의와 소진의 관계에서 감성지능의 조절효과" 간호행정학회 22 (22): 109-118, 2016

      3 김진일, "임상실습이 간호학생의 스트레스, 불안 및 자율신경계 변화에 미치는 영향" 기초간호학회 13 (13): 102-108, 2011

      4 조경순, "일 대학 여대생의 월경전기 증후군과 자동적 사고, 완벽성과의 관계" 한국성인간호학회 14 (14): 144-153, 2002

      5 김혜진, "대학생의 완벽주의와 삶의 만족의 관계에서 우유부단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학회 17 (17): 23-47, 2010

      6 신소홍, "간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학업탄력성의 조절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 22 (22): 14-24, 2016

      7 이미현, "간호대학생의 통합성과 학업스트레스" 한국콘텐츠학회 14 (14): 863-872, 2014

      8 노기옥, "간호대학생의 완벽주의와 학업탄력성이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호교육학회 23 (23): 205-213, 2017

      9 전해옥, "간호대학생의 여가활동에 따른 완벽성과 자아탄력성이 불안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17 (17): 134-143, 2016

      10 이윤경, "간호대학생의 불안 및 지각된 스트레스 경험과 자아탄력성과의 관계" 한국산학기술학회 15 (15): 1953-1962, 2014

      11 황성자, "간호대학생들의 임상실습 스트레스, 자기효능감 및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한국간호교육학회 12 (12): 205-213, 2006

      12 최효진, "간호 대학 신입생의 학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기본간호학회 19 (19): 261-268, 2012

      13 R. B. Slancy., "The Revised Almost Perfect Scale" 34 (34): 130-145, 2001

      14 C. W. Kang,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y stress, academic attitude, School Adjustment by Taekwondo major college students" Kyunghee University 2014

      15 Hewitt, P. L., "The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 Reliability, Validity and Psychometric Properties in Psychiatric Samples. Psychological Assessment" 3 (3): 464-468, 1991

      16 J. Y. Lee, "The Moderating Effects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on the Relation between Perfectionism and Occupational Stress" Konkuk University 2014

      17 Dunkley, D. M., "Self-critical Perfectionism, Coping, Hassles, and Current Distress: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pproach" 24 (24): 713-730, 2000

      18 Flett, G. L., "Perfectionism: Theory, Research, and Treatment" APA Books 2002

      19 Zhang, Y., "Perfectionism, Academic Burnout and Engagement among Chinese College Student: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43 (43): 1529-1540, 2007

      20 J. P. Chu., "Perceived Sources and Copying Methods of Stress in a Population of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9 : 41-50, 2001

      21 S. B. O, "Perceived Parents' Career Expectations as a Mediator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Job-seeking Stress" Daegu University 2016

      22 Spielberger, C. D, "Anxiety Current trends in theory and research" Academic Press 1972

      23 M. H. Oh., "Analysis of academic stressors and symptoms of juveniles and effects of meditation training on academic stress reduction" 15 : 63-96, 1994

      24 J. T. Kim, "A study based on the standardization of the STAI for Korea" 21 (21): 69-75, 1978

      25 Y. S. Seo, "(The) Mediating Effects of Shame and Coping Style Between Maladaptive Perfectionism and Psychological Maladjustment"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19-12-01 평가 등재 탈락 (기타)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3 0.32 0.407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