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럽 언어 정책 변화에 따른 독일어 교육과정과 평가제도 개선 방안 모색 = Evaluation und Curriculaentwicklung fr DaF Unterricht in Korea unter Beachtung einer vernderten europischen Sprachpolitik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ieser Beitrag betrachtet die Sprachpolitik des Europarats und den Gemeinsamen europäischen Referenzrahmen für Sprachen: lernen, lehren, beurteilen(GER). Der GER wird kurz beschrieben, das europäische Sprachenportfolio und Profile deutsch vorgestellt und die Anwendbarkeit des GER im DaF-Unterricht in Korea geprüft.

      Mit der Erläuterung der Hintergründe und Ziele des GERs habe ich versucht, die neuere Sprach- und Kulturpolitik des Europarats klar darzustellen. Ich glaube, dass der GER gute Möglichkeiten für eine Verbesserung der Fremdsprachendidaktik in Korea bietet.

      Dafür habe ich die Veränderung des Testsystems in europäischen Sprachen untersucht und hier vor allem im Bereich DaF. Als ein Beispiel wird die Frage diskutiert, wie der Deutschunterricht in der Oberschule verbessert werden kann in Hinblick auf die Aufnahmeprüfungen an den Universitäten.

      In Korea hat sich das Fremdsprachenangebot nach der Curricularreform an der Oberschule und mit Einführung der Hakbuje an der Universitäten noch stärker auf Englisch als einzige Fremdsprache konzentriert. Für Korea scheint es lohnenswert zu sein, den GER zu nutzen, um neue Curricula und neue Lehrmaterialien zu erarbeiten. Gerade weil DaF von den Lernern weniger favorisiert wird als 2 Fremdsprache, muss Sorge getragen werden, dass das Lehrangebot effektiv und aktuell gestaltet wird. Dadurch eröffnen sich für Daf-Unterricht und für das Germanistikstudium in Korea neue Chance.
      번역하기

      Dieser Beitrag betrachtet die Sprachpolitik des Europarats und den Gemeinsamen europäischen Referenzrahmen für Sprachen: lernen, lehren, beurteilen(GER). Der GER wird kurz beschrieben, das europäische Sprachenportfolio und Profile...

      Dieser Beitrag betrachtet die Sprachpolitik des Europarats und den Gemeinsamen europäischen Referenzrahmen für Sprachen: lernen, lehren, beurteilen(GER). Der GER wird kurz beschrieben, das europäische Sprachenportfolio und Profile deutsch vorgestellt und die Anwendbarkeit des GER im DaF-Unterricht in Korea geprüft.

      Mit der Erläuterung der Hintergründe und Ziele des GERs habe ich versucht, die neuere Sprach- und Kulturpolitik des Europarats klar darzustellen. Ich glaube, dass der GER gute Möglichkeiten für eine Verbesserung der Fremdsprachendidaktik in Korea bietet.

      Dafür habe ich die Veränderung des Testsystems in europäischen Sprachen untersucht und hier vor allem im Bereich DaF. Als ein Beispiel wird die Frage diskutiert, wie der Deutschunterricht in der Oberschule verbessert werden kann in Hinblick auf die Aufnahmeprüfungen an den Universitäten.

      In Korea hat sich das Fremdsprachenangebot nach der Curricularreform an der Oberschule und mit Einführung der Hakbuje an der Universitäten noch stärker auf Englisch als einzige Fremdsprache konzentriert. Für Korea scheint es lohnenswert zu sein, den GER zu nutzen, um neue Curricula und neue Lehrmaterialien zu erarbeiten. Gerade weil DaF von den Lernern weniger favorisiert wird als 2 Fremdsprache, muss Sorge getragen werden, dass das Lehrangebot effektiv und aktuell gestaltet wird. Dadurch eröffnen sich für Daf-Unterricht und für das Germanistikstudium in Korea neue Chanc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언어․학습․교수․평가를 위한 유럽공통참조기준」, 유럽 언어 포트폴리오, 프로필 독일어를 3대 기본 축으로 하여 독일어 교육과정의 공통 기준이 마련되었다. 이에 따라 전 세계 괴테 인스티투트의 시험 체계가 개정되고, 독일어권의 DaF분야의 시험들도 이에 따라 새로 도입되거나 재정비되었다. 또한 독일어권의 출판사들이 ‘외국인을 위한 독일어’ 교재의 구성과 내용을 수정하고 있다. 이제는 우리나라에서도 새로운 표준을 기준으로 해서 독일어, 영어, 프랑스어 시험에 응시할 수 있으며, 이 어학증명서는 국제적으로 통용되기 때문에 우리 학생들은 어디에 가든지 투명한 실력을 제시할 수 있다. 이러한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독일어 증명서를 기초단계에서부터 획득한다면 독일어 학습에 큰 자신감을 불러주며 학습 동기 유발에도 긍정적으로 작용한다고 본다.
      실례로 몇몇 대학에서 ZD를 독어독문학과 학생들의 졸업 기본 요건으로 제시하는 등 국제적으로 비교 가능하고 경쟁력 있는 학생들을 양성하는 데 앞장서고 있다. 특히 글로벌화된 세계에서 급속도로 커지는 요구와 기회에 부응하려면 더 많은 외국어를 습득하고 실제로 사용할 수 있어야 하며, 이제는 전 세계의 젊은이들과 겨룰 수 있는 실력과 자격을 갖추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대학의 독어독문학과에서 독일어과목 교육과정을 학과특성에 맞게 개발하는 과정에서 「유럽공통참조기준」에 따라 국제 표준화된 틀을 활용할 수 있다고 본다.
      우리나라에서도 최근에 고등학교용 ‘독일어 I’ 과목의 기본 어휘를 선정하는 예비 작업에 프로필 독일어를 활용해서 객관성을 더 높일 수 있었다는 보고가 있다. 다른 외국어를 비롯해서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에도 유럽의 공통 기준이 참고가 될 수 있으며 이미 이에 대한 보고들도 있다. 언어(외국어) 교육에 투명하고 객관적인 기준을 적극 활용된다면, 학습자와 교사, 평가자 모두에게 도움이 될 것이다.
      번역하기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언어․학습․교수․평가를 위한 유럽공통참조기준」, 유럽 언어 포트폴리오, 프로필 독일어를 3대 기본 축으로 하여 독일어 교육과정의 공통 기준이 마련되었다. ...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언어․학습․교수․평가를 위한 유럽공통참조기준」, 유럽 언어 포트폴리오, 프로필 독일어를 3대 기본 축으로 하여 독일어 교육과정의 공통 기준이 마련되었다. 이에 따라 전 세계 괴테 인스티투트의 시험 체계가 개정되고, 독일어권의 DaF분야의 시험들도 이에 따라 새로 도입되거나 재정비되었다. 또한 독일어권의 출판사들이 ‘외국인을 위한 독일어’ 교재의 구성과 내용을 수정하고 있다. 이제는 우리나라에서도 새로운 표준을 기준으로 해서 독일어, 영어, 프랑스어 시험에 응시할 수 있으며, 이 어학증명서는 국제적으로 통용되기 때문에 우리 학생들은 어디에 가든지 투명한 실력을 제시할 수 있다. 이러한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독일어 증명서를 기초단계에서부터 획득한다면 독일어 학습에 큰 자신감을 불러주며 학습 동기 유발에도 긍정적으로 작용한다고 본다.
      실례로 몇몇 대학에서 ZD를 독어독문학과 학생들의 졸업 기본 요건으로 제시하는 등 국제적으로 비교 가능하고 경쟁력 있는 학생들을 양성하는 데 앞장서고 있다. 특히 글로벌화된 세계에서 급속도로 커지는 요구와 기회에 부응하려면 더 많은 외국어를 습득하고 실제로 사용할 수 있어야 하며, 이제는 전 세계의 젊은이들과 겨룰 수 있는 실력과 자격을 갖추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대학의 독어독문학과에서 독일어과목 교육과정을 학과특성에 맞게 개발하는 과정에서 「유럽공통참조기준」에 따라 국제 표준화된 틀을 활용할 수 있다고 본다.
      우리나라에서도 최근에 고등학교용 ‘독일어 I’ 과목의 기본 어휘를 선정하는 예비 작업에 프로필 독일어를 활용해서 객관성을 더 높일 수 있었다는 보고가 있다. 다른 외국어를 비롯해서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에도 유럽의 공통 기준이 참고가 될 수 있으며 이미 이에 대한 보고들도 있다. 언어(외국어) 교육에 투명하고 객관적인 기준을 적극 활용된다면, 학습자와 교사, 평가자 모두에게 도움이 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유럽 평의회 편, "언어 학습, 교수, 평가를 위한 유럽공통참조기준" 서울: 한국문화사 2007

      2 최정순, "언어 학습, 교수, 평가를 위한 유럽 공동 기본지침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과 등급기술 시안 (2)" 17집 : 7-29, 2005b

      3 최정순, "언어 학습, 교수, 평가를 위한 유럽 공동 기본지침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과 등급기술 시안 (1)" 16집 : 125-147, 2005a

      4 Raupach, Manfred, "Wir stellen nur Fragen, wir geben keine Antworten. Der Gemeinsame Europ?ische Referenzrahmen: ist da mehr drin als man denkt?" T?bingen: Gunter Narr 156-163, 2003

      5 Glaboniat, M, "Profile deutsch" Berlin usw. 2002

      6 Kim, Hallan, "Gemeinsamer europ?ischer Referenzrahmen f?r Sprachen: lernen, lehren, beurteilen als Orientierung f?r den Fremdsprachenunterricht in Korea" 99 : 340-355, 2006

      7 Europarat, "Gemeinsamer europ?ischer Referenzrahmen f?r Sprachen: lernen, lehren, beurteilen" Berlin: Langenscheidt 2001

      8 Schneider, G?nther, "Fremdsprachen k?nnen - was hei?t das? Skalen zur Beschreibung, Beurteilung und Selbsteinsch?tzung der fremdsprachlichen Kommunikationsf?higkeit" Chur/Z?rich 2000

      9 Bausch, K.-R, "Der Gemeinsame europ?ische Referenzrahmen f?r Sprachen in der Diskussion" T?bingen 2003

      10 Quetz, J?rgen, "A1-A2-B1-B2-C1-C2. Der Gemeinsame Europ?ische Referenzrahmen" 42-48, 2003

      1 유럽 평의회 편, "언어 학습, 교수, 평가를 위한 유럽공통참조기준" 서울: 한국문화사 2007

      2 최정순, "언어 학습, 교수, 평가를 위한 유럽 공동 기본지침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과 등급기술 시안 (2)" 17집 : 7-29, 2005b

      3 최정순, "언어 학습, 교수, 평가를 위한 유럽 공동 기본지침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과 등급기술 시안 (1)" 16집 : 125-147, 2005a

      4 Raupach, Manfred, "Wir stellen nur Fragen, wir geben keine Antworten. Der Gemeinsame Europ?ische Referenzrahmen: ist da mehr drin als man denkt?" T?bingen: Gunter Narr 156-163, 2003

      5 Glaboniat, M, "Profile deutsch" Berlin usw. 2002

      6 Kim, Hallan, "Gemeinsamer europ?ischer Referenzrahmen f?r Sprachen: lernen, lehren, beurteilen als Orientierung f?r den Fremdsprachenunterricht in Korea" 99 : 340-355, 2006

      7 Europarat, "Gemeinsamer europ?ischer Referenzrahmen f?r Sprachen: lernen, lehren, beurteilen" Berlin: Langenscheidt 2001

      8 Schneider, G?nther, "Fremdsprachen k?nnen - was hei?t das? Skalen zur Beschreibung, Beurteilung und Selbsteinsch?tzung der fremdsprachlichen Kommunikationsf?higkeit" Chur/Z?rich 2000

      9 Bausch, K.-R, "Der Gemeinsame europ?ische Referenzrahmen f?r Sprachen in der Diskussion" T?bingen 2003

      10 Quetz, J?rgen, "A1-A2-B1-B2-C1-C2. Der Gemeinsame Europ?ische Referenzrahmen" 42-48,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10-1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Deutsch als Fremdsprache in Korea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8 0.28 0.602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