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원판 트레이닝과 복합 트레이닝이 발목의 기능적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the disk training and the combined training on functional stability of ankl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4013239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김연수, 박상연, 강현주, 석민화, 오정우. 원판 트레이닝과 복합 트레이닝이 발목의 기능적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운동과학, 제13권 제1호 113-124, 2004. 본 연구의 목적은 원판 트레이닝과 등척...

      김연수, 박상연, 강현주, 석민화, 오정우. 원판 트레이닝과 복합 트레이닝이 발목의 기능적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운동과학, 제13권 제1호 113-124, 2004. 본 연구의 목적은 원판 트레이닝과 등척성 수축, 등장성 수축, 평형성 운동,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으로 구성된 복합 트레이닝이 발목의 기능적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는 것이다. 연구의 대상자는 하지에 의학적 문제가 없는 여학생 40명으로 하였으며, 원판 트레이닝군(n=11명), 복합 트레이닝군(n=15명), 통제군(n=14명)으로 구성하였다. 대상자들은 프로그램 전 발목의 정적 안정성 검사를 위한 Romberg 검사와 동적 안정성 검사를 위한 SEBT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6주간의 운동 프로그램 후에 동일한 방법으로 Romberg 검사와 SEBT 검사를 재실시하였다. 운동 프로그램은 6주간 주 3최 실시하였으며, 2주 단위로 점증적으로 강도를 증가하였다. Romberg 검사 결과 원판 트레이닝군은 좌측 하지(16.4±18.2sec에서 36.0±32.3sec)에서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우측하지(16.0±10.8sec에서 41.3±47.7sec)에서는 운동 전에 비하여 향상되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복합 트레이닝군은 좌측(18.6±16.7sec에서 70.4±44.1sec)과 우측(27.0±31.6sec에서 61.7±46.1sec) 하지 모두에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정적 안정성에 대한 두 운동군의 효과를 비교해 보았을 때, 복합 트레이닝군에서 보다 많이 향상되었다. SEBT 검사 결과 원판 트레이닝군은 좌ㆍ우측 하지 모두 앞가측과 앞내측을 제외한 전 방향에서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복합 트레이닝군은 좌측 하지에서는 모든 방향에서, 우측 하지에서는 앞측 방향을 제외한 모든 방향에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동적 안정성에 대한 두 운동군의 효과를 비교해 보았을 때, 복합 트레이닝군에서 보다 많이 향상되었다. 원판 트레이닝과 복합 트레이닝이 발목의 기능적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정적ㆍ동적 안정성 모두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으며, 원판 트레이닝보다 복합 트레이닝을 실시하였을 때 더욱 많이 향상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im, Y.S., Park, S.V., K. H.J., Suk, M.H., Oh, J.W. The effect of the disk training and the combined training on functional stability of ankles. Exercise Science, 13(1): 113-124, 200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disk...

      Kim, Y.S., Park, S.V., K. H.J., Suk, M.H., Oh, J.W. The effect of the disk training and the combined training on functional stability of ankles. Exercise Science, 13(1): 113-124, 200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disk training on the functional stability of ankles and compare the variable with the combined training composed of isometric contraction, isotonic contraction using weight, balance training and plyometric training. The forty subjects without medical history on their lower extremitie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3 groups such as, control group(n=14), disk training(n=11) or combined training(n=15). All subjects completed Romberg test for static stability and SEBT test for dynamic stability of ankles. After 6-week training, they completed the tests with same manner again. Exercise groups trained the exercise program for 6 weeks and the volume of exercise are increased per 2 weeks. The Romberg tests for static stability of ankles demonstrated that disk training group is significantly increased on left legs(from 16.4±18.2sec to 36.0±32.3sec), and night legs(from 16.0±10.8sec to 41.3±47.7sec) are increased but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mbined training group is significantly increased on left legs(from 18.6±16.7sec to 70.4±44.1sec) and right legs(from 27.0±3l.6sec to 61.7±46.1sec). In comparison between two trained groups, combined training group is more increased than disk training group. But there are not statistical difference. The SEBT tests for dynamic stability of ankles demonstrated that disk training group(except for anteriolateral and anteriomedial directions on both legs) and combined training group(except for anterior direction on night legs) are significantly increased at almost directions. In comparison between two trained groups, combined training group is more increased than disk training group, But there are not statistical differenc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플라 이오메트릭스의 생역학과 신경생리" 12 (12): 219-228, 2000

      2 "기능적 족관절 불안정성 환자에서 발목 원판 훈련의 효과" 17 (17): 406-412, 1999

      3 "구기종목 선수를 위한 플라이오메트릭 훈련 프로그램 모형개발" 9 : 195-214, 1997195-214

      4 "partial sprains of the lateral ligament of the ankle" 332-336,

      5 "Wobble board training after partial sprains of the lateral ligaments of the ankle: A prospective randomized study." 23 (23): 332-336, 1996

      6 "Wobble board training after" 1996

      7 "Treatment of ankle sprains in young athletes" 465-71, 1986

      8 "Treatment for acute tears of the lateral ligament of the ankle" 305-311, 1991

      9 "The etiology and prevention of functional instability of foot" 678-685, 1965

      10 "The effect of supervised rehabi -litation on strength position sense and re-injury risk after acute ankle ligament sprain" 104-109, 1999

      1 "플라 이오메트릭스의 생역학과 신경생리" 12 (12): 219-228, 2000

      2 "기능적 족관절 불안정성 환자에서 발목 원판 훈련의 효과" 17 (17): 406-412, 1999

      3 "구기종목 선수를 위한 플라이오메트릭 훈련 프로그램 모형개발" 9 : 195-214, 1997195-214

      4 "partial sprains of the lateral ligament of the ankle" 332-336,

      5 "Wobble board training after partial sprains of the lateral ligaments of the ankle: A prospective randomized study." 23 (23): 332-336, 1996

      6 "Wobble board training after" 1996

      7 "Treatment of ankle sprains in young athletes" 465-71, 1986

      8 "Treatment for acute tears of the lateral ligament of the ankle" 305-311, 1991

      9 "The etiology and prevention of functional instability of foot" 678-685, 1965

      10 "The effect of supervised rehabi -litation on strength position sense and re-injury risk after acute ankle ligament sprain" 104-109, 1999

      11 "The effect of six weeks of squat plyometric and squat-plyometric training on power production Journal of Applied Sports Science Research" 36-41, 1992

      12 "The contributions of proprioceptive deficits muscle function and anatomic laxity to functional instability of the ankle" 21 (21): 1995

      13 "The Effect of Ankle Disk Training on Muscle Reaction Time in Subjects with a History of Ankle Sprain" 29 (29): 627-632, 2001

      14 "Sports medicine on the line" 1994

      15 "Prolonged peroneal reaction time in ankle instability" 290-292, 1991

      16 "Prevention of ankle sprain" 259-262, 1985

      17 "Position sense following joint injury" 23-27,

      18 "Plyometric Training과 Isotonic Training이 슬관절 및 족관절 Power에 미치는 영향" 4 (4): 49-62, 2000

      19 "Peroneal muscle weakness in female basket ballets following chronic ankle sprain" 211-217, 1991

      20 "Peroneal Reaction Times and Eversion Motor Response in Healthy and Unstable Ankles" 37 (37): 475-480, 2002

      21 "Neuromuscular adaptations in isokinetic, isotonic and agility training programs" 24 (24): 187-192, 1996187-192

      22 "Mortality and morbidity from injuries in sports and recreation Annual Review of Public Health" 163-192, 1984

      23 "Mixed-mothods resistance training increase power and strength of young and older men" 34 (34): 1367-1375, 2002

      24 "Functional properties of adhesive ankle taping Neuromuscular and mechanical effects before and after exercise" 20 : 238-245, 1999

      25 "Functional Instability Follow -ing Lateral Ankle Sprain" 29 (29): 361-171, 2000

      26 "Factors affecting stabilometry recordings of single limb stance" 1984185-188

      27 "Factors Contributing to Chronic Ankle Instability: A Strength Perspective" Train 37 (37): 394-405, 2002

      28 "Efficacy of the Star Excursion Balance Tests in Detecting Reach Deficits in Subjects With Chronic Ankle Instability" Train 37 (37): 501-506, 2002

      29 "Effects of strength training on strength development and joint position sense in functionally unstable ankles" 33 (33): 310-314, 1998

      30 "Effects of strength training on strength development and joint position sense in functionally unstable ankles" 33 : 310-314, 1998

      31 "Effect of instructions on characteristics of countermovement and drop jump perfor -mance" 9 (9): 232-236, 1995

      32 "Effect of coordination training on proprio -ception of the bfunctionally unstable ankle" 27 (27): 264-275, 1998

      33 "Can Chronic Ankle Instability Be Prevented?Rethinking Management of Lateral Ankle Sprains" 37 (37): 430-435, 2002

      34 "Assessment of the injured ankle in the athlete" Train 37 (37): 406-412, 2002

      35 "Ankle disk training influences reaction times of selected muscles in a stimulated ankle sprain" 25 (25): 538-543, 1997

      36 "An epidemiological survey on ankle sprain" 112-116, 1994

      37 "A biomechanical analysis of the vertical jump and three modified plyometric depth jumps" 10 (10): 83-88, 199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3-21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운동과학회 -> 한국운동생리학회
      영문명 : Korea Exercise Science Academy -> Korean Society of Exercise Physiology
      KCI등재
      2005-03-21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운동과학회 -> 한국운동생리학회
      영문명 : Korea Exercise Science Academy -> Korean Society of Exercise Physiology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6 0.76 0.6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2 0.71 0.674 0.0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