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반 논문 : 퇴계(退溪)의 건강증진 담론(談論) = General Edition : A Study of Dicourse on Toegye`s Health Promo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75819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퇴계(退溪) 이황(李滉, 1501~1570) 선생은 일생동안 신체적으로 건강상태가 양호하지 못하였다. 그래서 인체의 건강상태에 대해 자주적으로 탐구하면서 현대적 건강증진에 해당하는 활동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퇴계가 스스로 자신의 질병을 극복하고 건강유지와 건강증진을 위해 노력한 내용과 과정을 건강과 관련된 담론(談論)의 관점에서 분석하여 알아보고 현대적 건강증진과 어떻게 차이가 나는지 관계를 밝히는 데 있다. 퇴계의 신체 건강증진 활동은 최근 신체 건강증진 활동에 해당하는 심폐지구력 향상(心肺持久力 向上), 신체유연성 증가(身體柔軟性 增加), 근력(筋力)과 근지구력 향상(筋持久力 向上) 그리고 식단관리(食單管理)를 실천하는 것이었다. 심폐지구력 향상을 위해서 호흡운동, 근력과 근지구력 향상을 위해서 걷기운동과 명상, 신체 유연성 증진을 위해서 관절운동과 스트레칭 그리고 세포에 필요한 필수영양소 공급과 신체조성의 적절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식물성 단백질을 포함한 채식 식단으로 영양을 섭취하였다. 정신 건강증진의 활동을 살펴보면 신체건강에 바탕을 둔정신활동의 원리를 실생활에 적용했다. 구체적으로 일상생활에서 거경(居敬)하며 이치를 궁구하여 자아발견(自我發見)의 과정을 거친 후 통찰과 지혜로 공적인 업무를 수행하고 교육과 창작활동을 하였다. 거경궁리(居敬窮理)와 궁리진성(窮理盡誠)과 온유돈후(溫柔敦厚)는 퇴계의 정신을 그대로 나타낸 대표적 표현이다. 퇴계는 매일 아침 『심경(心經)』을 낭독하였다. 낭독의 목적은 정신을 맑히는데 일차적인 목적이 있지만 부수적으로 신체 건강증진 활동을 돕는 효과가 있다. 낭독은 신체 전체를 진동시키고 집중시키는 점에서는 신체단련를 기대할 수 있지만 정신건강증진 활동과 균형을 이루면서 동반상승효과(synergy effect)를 낸다. 사회적 건강증진 활동으로 실천한 것은 공적 업무수행, 인간관계를 맺고 끊는 내용교육 그리고 창작활동이다. 퇴계는 살아가면서 피할 수 없이 직면해야 하는 영송예법(迎送禮法)의 어려움과 고단함을 말한다. 퇴계가 배우고 가르침을 실천한 영송예법은 도리에 있다. 도리의 실천에서도 거절이나 거부의 영송예법 보다는 부득이한 도리로 실천하였다. 퇴계는 부정적인 건강 결정인자(決定因子)들에 대한 통제보다 긍정적인 건강 결정인자들에 대한 균형과 조화를 통해 건강증진활동을 하였다. 현대적 의미의 건강증진 활동은 통제해야 할 건강 결정인자들에 초점을 두고 건강을 향상시켜 나가는 과정을 진행한다. 반면에 퇴계는 권장하고 권면해야 할건강 결정인자들에 초점을 맞추어서 주요인자들 사이의 균형과 조화를 이루면서 자주적 건강증진 활동을 실천하였다. 담론 분석적 입장에서 보면 현대적 의미의 건강증진 활동과 퇴계의 건강증진 활동은 동일한 목표를 지향하면서 실질적이고 실천가능한 면에서 다르지 않다. 현대 간호학적 관점에서 퇴계의 건강증진 활동은 자기돌봄의 전문적인 프로그램으로 리모델링하여 개별화된 건강증진 활동의 한 가지 방법으로 제시할 수 있다.
      번역하기

      퇴계(退溪) 이황(李滉, 1501~1570) 선생은 일생동안 신체적으로 건강상태가 양호하지 못하였다. 그래서 인체의 건강상태에 대해 자주적으로 탐구하면서 현대적 건강증진에 해당하는 활동을 시...

      퇴계(退溪) 이황(李滉, 1501~1570) 선생은 일생동안 신체적으로 건강상태가 양호하지 못하였다. 그래서 인체의 건강상태에 대해 자주적으로 탐구하면서 현대적 건강증진에 해당하는 활동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퇴계가 스스로 자신의 질병을 극복하고 건강유지와 건강증진을 위해 노력한 내용과 과정을 건강과 관련된 담론(談論)의 관점에서 분석하여 알아보고 현대적 건강증진과 어떻게 차이가 나는지 관계를 밝히는 데 있다. 퇴계의 신체 건강증진 활동은 최근 신체 건강증진 활동에 해당하는 심폐지구력 향상(心肺持久力 向上), 신체유연성 증가(身體柔軟性 增加), 근력(筋力)과 근지구력 향상(筋持久力 向上) 그리고 식단관리(食單管理)를 실천하는 것이었다. 심폐지구력 향상을 위해서 호흡운동, 근력과 근지구력 향상을 위해서 걷기운동과 명상, 신체 유연성 증진을 위해서 관절운동과 스트레칭 그리고 세포에 필요한 필수영양소 공급과 신체조성의 적절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식물성 단백질을 포함한 채식 식단으로 영양을 섭취하였다. 정신 건강증진의 활동을 살펴보면 신체건강에 바탕을 둔정신활동의 원리를 실생활에 적용했다. 구체적으로 일상생활에서 거경(居敬)하며 이치를 궁구하여 자아발견(自我發見)의 과정을 거친 후 통찰과 지혜로 공적인 업무를 수행하고 교육과 창작활동을 하였다. 거경궁리(居敬窮理)와 궁리진성(窮理盡誠)과 온유돈후(溫柔敦厚)는 퇴계의 정신을 그대로 나타낸 대표적 표현이다. 퇴계는 매일 아침 『심경(心經)』을 낭독하였다. 낭독의 목적은 정신을 맑히는데 일차적인 목적이 있지만 부수적으로 신체 건강증진 활동을 돕는 효과가 있다. 낭독은 신체 전체를 진동시키고 집중시키는 점에서는 신체단련를 기대할 수 있지만 정신건강증진 활동과 균형을 이루면서 동반상승효과(synergy effect)를 낸다. 사회적 건강증진 활동으로 실천한 것은 공적 업무수행, 인간관계를 맺고 끊는 내용교육 그리고 창작활동이다. 퇴계는 살아가면서 피할 수 없이 직면해야 하는 영송예법(迎送禮法)의 어려움과 고단함을 말한다. 퇴계가 배우고 가르침을 실천한 영송예법은 도리에 있다. 도리의 실천에서도 거절이나 거부의 영송예법 보다는 부득이한 도리로 실천하였다. 퇴계는 부정적인 건강 결정인자(決定因子)들에 대한 통제보다 긍정적인 건강 결정인자들에 대한 균형과 조화를 통해 건강증진활동을 하였다. 현대적 의미의 건강증진 활동은 통제해야 할 건강 결정인자들에 초점을 두고 건강을 향상시켜 나가는 과정을 진행한다. 반면에 퇴계는 권장하고 권면해야 할건강 결정인자들에 초점을 맞추어서 주요인자들 사이의 균형과 조화를 이루면서 자주적 건강증진 활동을 실천하였다. 담론 분석적 입장에서 보면 현대적 의미의 건강증진 활동과 퇴계의 건강증진 활동은 동일한 목표를 지향하면서 실질적이고 실천가능한 면에서 다르지 않다. 현대 간호학적 관점에서 퇴계의 건강증진 활동은 자기돌봄의 전문적인 프로그램으로 리모델링하여 개별화된 건강증진 활동의 한 가지 방법으로 제시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being not in good physical health during his lifetime, Toegye explored human health and well-being in depth and in various manners by himself, which can correspond to contemporary health promotion activitie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how Toegye overcame his illness, analyze processes of how he strived for maintaining and improving his health from discourse analysis perspectives, and compare his approaches to health with contemporary health promotion approaches. Health promotion activities from contemporary perspectives have focused on health determination factors that should be controlled in order to enhance health, whereas Toegye performed health promotion activities by focusing on the balance and harmony of physical, mental, and social health determination factors. From discourse analysis perspectives, contemporary health promotion approaches are similar to those performed by Toegye in that both approaches aim at promoting health and have similar health promotion processes. From modern nursing viewpoints, Toeqye’s health promotion approaches can shed new light on professional self-care programs with individualized health promotion activities.
      번역하기

      As being not in good physical health during his lifetime, Toegye explored human health and well-being in depth and in various manners by himself, which can correspond to contemporary health promotion activitie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

      As being not in good physical health during his lifetime, Toegye explored human health and well-being in depth and in various manners by himself, which can correspond to contemporary health promotion activitie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how Toegye overcame his illness, analyze processes of how he strived for maintaining and improving his health from discourse analysis perspectives, and compare his approaches to health with contemporary health promotion approaches. Health promotion activities from contemporary perspectives have focused on health determination factors that should be controlled in order to enhance health, whereas Toegye performed health promotion activities by focusing on the balance and harmony of physical, mental, and social health determination factors. From discourse analysis perspectives, contemporary health promotion approaches are similar to those performed by Toegye in that both approaches aim at promoting health and have similar health promotion processes. From modern nursing viewpoints, Toeqye’s health promotion approaches can shed new light on professional self-care programs with individualized health promotion activitie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