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녹색도로 구현을 위한 기술 우선순위 결정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echnology Priorities for Green Highwa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94879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t is not surprising to hear news about irresistible natural disasters all over the world due to climate change. Korean Government has focused on developing a variety of green technologies to reduce green house gasses, in particular, carbon dioxide. This study suggested 18 technology divisions for achieving green highway technology development in six different sub-sectors considering life-cycle of roadway and surveyed 29highway and/or transportation professionals of three institutes using AHP(Analytical Hierarchy Process) analysis to construct “Green Highway”and realize carbon emission reductions and energy use efficiency in a road sector in Korea. Expert Choice Software was used to rank 18 technology divisions weighted by two-level choices. Transport Operating Infrastructure Improvement, Roadway Policy Implementation,Green Transportation(such as Pedestrian and Bicycle) were highly ranked by respondents according to results of the AHP modeling. Among the 18 divisions, technology policy for supporting R&D investments from development to commercialization was ranked as the most significant one to be focused. Green Transportation Facility Design/Construction/Operation and Eco-Friendly Roadway Plan were followed as expected since professionals have thought that the planning/design step of the life-cycle is a starting point to reduce carbon dioxide from roads more and more. Additionally, comparing the results with the Government investment trend 2006-2011 for the roads,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Government should invest to the R&D area more widely than before to promote element and core technology development for Green Highway Construction. Above all, small and mid-sized businesses have to be invested as well as encouraged to undertake green highwayrelated objects to accomplish the divisions which ranked high.
      번역하기

      It is not surprising to hear news about irresistible natural disasters all over the world due to climate change. Korean Government has focused on developing a variety of green technologies to reduce green house gasses, in particular, carbon dioxide. T...

      It is not surprising to hear news about irresistible natural disasters all over the world due to climate change. Korean Government has focused on developing a variety of green technologies to reduce green house gasses, in particular, carbon dioxide. This study suggested 18 technology divisions for achieving green highway technology development in six different sub-sectors considering life-cycle of roadway and surveyed 29highway and/or transportation professionals of three institutes using AHP(Analytical Hierarchy Process) analysis to construct “Green Highway”and realize carbon emission reductions and energy use efficiency in a road sector in Korea. Expert Choice Software was used to rank 18 technology divisions weighted by two-level choices. Transport Operating Infrastructure Improvement, Roadway Policy Implementation,Green Transportation(such as Pedestrian and Bicycle) were highly ranked by respondents according to results of the AHP modeling. Among the 18 divisions, technology policy for supporting R&D investments from development to commercialization was ranked as the most significant one to be focused. Green Transportation Facility Design/Construction/Operation and Eco-Friendly Roadway Plan were followed as expected since professionals have thought that the planning/design step of the life-cycle is a starting point to reduce carbon dioxide from roads more and more. Additionally, comparing the results with the Government investment trend 2006-2011 for the roads,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Government should invest to the R&D area more widely than before to promote element and core technology development for Green Highway Construction. Above all, small and mid-sized businesses have to be invested as well as encouraged to undertake green highwayrelated objects to accomplish the divisions which ranked high.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기후 변화로 인하여 발생하는 자연재해에 대한 뉴스는 더 이상 놀라운 일이 아니다. 우리나라 정부는 온실가스 특히 이산화탄소 저감에 대한 녹색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탄소 저감 및 에너지 효율화를 실현하고, 미래지향적인 녹색도로를 구현하기 위하여, 녹색도로기술을 정의하고, 기술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국내 도로와 교통 전문가 29인에게 AHP기법을 통하여 설문조사를 수행한 후에, Expert Choice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선택의 가중치를 분석하였다. 생애주기변화와 도로 건설 특성을 고려한 1계층 분야와 녹색도로기술을 통하여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인 2계층 분야를 구분하여 전문가들의 선택을 분석한 결과, 탄소저감과 에너지 절감을 위해서는 1계층에서는 교통운영 인프라개선, 도로교통정책, 녹색교통 순으로우선순위 가중치가 높으며, 2계층에서는 녹색도로 관련 기술 R&D투자 및 정책 지원, 녹색교통시설 설계 및 운영, 친환경 도로계획 순으로 우선순위 가중치가 높았다. 추가적으로 전문가들의 기술 우선순위와 국가 재정투자를 비교하기 위하여 2011년까지 5년간의 국토해양부 도로투자를 살펴보았다. 우리나라는 최근 도로건설에 대한 투자보다는 도로의 효율성을 강조하고 이용자의 편의를 도모하는 도로 관리로 전환하고 있는 추세다. 하지만 전문가들이 응답한 기술 목표를 달성하고 최종적으로 녹색도로 구현을위한 핵심 및 요소기술 개발과 중소기업 기반 도로 산업 육성을 위한 투자는 아직 미진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녹색도로 건설구현을 위하여 녹색도로기술 개발 R&D투자를 도모하고 상업화를 지원하는 풍토가 조성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번역하기

      기후 변화로 인하여 발생하는 자연재해에 대한 뉴스는 더 이상 놀라운 일이 아니다. 우리나라 정부는 온실가스 특히 이산화탄소 저감에 대한 녹색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본 연구...

      기후 변화로 인하여 발생하는 자연재해에 대한 뉴스는 더 이상 놀라운 일이 아니다. 우리나라 정부는 온실가스 특히 이산화탄소 저감에 대한 녹색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탄소 저감 및 에너지 효율화를 실현하고, 미래지향적인 녹색도로를 구현하기 위하여, 녹색도로기술을 정의하고, 기술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국내 도로와 교통 전문가 29인에게 AHP기법을 통하여 설문조사를 수행한 후에, Expert Choice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선택의 가중치를 분석하였다. 생애주기변화와 도로 건설 특성을 고려한 1계층 분야와 녹색도로기술을 통하여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인 2계층 분야를 구분하여 전문가들의 선택을 분석한 결과, 탄소저감과 에너지 절감을 위해서는 1계층에서는 교통운영 인프라개선, 도로교통정책, 녹색교통 순으로우선순위 가중치가 높으며, 2계층에서는 녹색도로 관련 기술 R&D투자 및 정책 지원, 녹색교통시설 설계 및 운영, 친환경 도로계획 순으로 우선순위 가중치가 높았다. 추가적으로 전문가들의 기술 우선순위와 국가 재정투자를 비교하기 위하여 2011년까지 5년간의 국토해양부 도로투자를 살펴보았다. 우리나라는 최근 도로건설에 대한 투자보다는 도로의 효율성을 강조하고 이용자의 편의를 도모하는 도로 관리로 전환하고 있는 추세다. 하지만 전문가들이 응답한 기술 목표를 달성하고 최종적으로 녹색도로 구현을위한 핵심 및 요소기술 개발과 중소기업 기반 도로 산업 육성을 위한 투자는 아직 미진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녹색도로 건설구현을 위하여 녹색도로기술 개발 R&D투자를 도모하고 상업화를 지원하는 풍토가 조성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KOTI, 3 : 2011

      2 한국개발연구원, "총사업비 관리지침"

      3 한국개발연구원,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5판)" 2008

      4 한국개발연구원,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다기준분석 방안 연구(Ⅱ)" 2001

      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도로 에너지 자원을 분석을 위한 투자 효과평가시스템 개발 기획" 2011

      6 김현명, "녹색성장 교통부문 지표개발 교통 전문가 설문조사결과 분석" 대한교통학회 28 (28): 41-59, 2010

      7 "http://www.ipcc.ch/"

      8 "http://www.fhwa.dot.gov/publications/publicroads/12marapr/02.cfm"

      9 "http://unfccc.int/2860.php"

      10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2&no=56871"

      1 KOTI, 3 : 2011

      2 한국개발연구원, "총사업비 관리지침"

      3 한국개발연구원,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5판)" 2008

      4 한국개발연구원,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다기준분석 방안 연구(Ⅱ)" 2001

      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도로 에너지 자원을 분석을 위한 투자 효과평가시스템 개발 기획" 2011

      6 김현명, "녹색성장 교통부문 지표개발 교통 전문가 설문조사결과 분석" 대한교통학회 28 (28): 41-59, 2010

      7 "http://www.ipcc.ch/"

      8 "http://www.fhwa.dot.gov/publications/publicroads/12marapr/02.cfm"

      9 "http://unfccc.int/2860.php"

      10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2&no=56871"

      1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Road Vison 2020 도로기술 개발 10 개년(2020) 계획수립" 2009

      12 Jyotirmoy Dalal, "Priritization of Rural roads: AHP in Group decision" 17 (17): 2010

      13 Navid Khademi, "Multicriteria Group Decision-Making Technique for a Low-Class Road Maintenance Program" American Society of Civil Enineers 16 (16):

      14 송혜승, "AHP분석을 통한 대도시권의 광역교통 정책방향 설정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5 (45): 171-184, 2010

      15 이재영, "AHP를 이용한 도시내 도로사업 평가모형구축 및 중요도 인식특성 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1 (41): 227-236, 2006

      16 정병두, "AHP를 이용한 도로사업의 우선순위 분석" 대한교통학회 20 (20): 45-54, 2002

      17 한상진, "AHP 분석기법을 활용한 ASEAN 도로망 투자우선순위 분석" 대한교통학회 23 (23): 55-65, 2005

      18 최재원, "AHP 기법을 이용한 시내버스 교통사고 저감대책 의사결정 모델개발" 대한토목학회 31 (31): 679-687, 2011

      19 기획재정부, "2012년도 예비타당성조사 운용지침"

      20 국토해양부, "2011 도로업무편람"

      21 행정안전부, "2011 국가자전거도로 구축사업 종합지침"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29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외국어명 : 미등록
      KCI등재후보
      2005-01-18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도로포장공학회 -> 한국도로학회
      영문명 : Korean Society Of Pavement Engineers -> Korean Society Of Road Engineers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7 0.27 0.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6 0.27 0.436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