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세기 유럽은 英國의 經驗主義 (즉 Realism)와 獨逸의 理想主義 (즉 Idealism)로 이론적 배경의 양대主流를 형성하고 있었다. 英國의 經驗主義가 外部的 世界의 객관적 사실에 기초한 물질주의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3430548
1974
English
840.000
KCI등재
학술저널
223-236(14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19세기 유럽은 英國의 經驗主義 (즉 Realism)와 獨逸의 理想主義 (즉 Idealism)로 이론적 배경의 양대主流를 형성하고 있었다. 英國의 經驗主義가 外部的 世界의 객관적 사실에 기초한 물질주의 ...
19세기 유럽은 英國의 經驗主義 (즉 Realism)와 獨逸의 理想主義 (즉 Idealism)로 이론적 배경의 양대主流를 형성하고 있었다.
英國의 經驗主義가 外部的 世界의 객관적 사실에 기초한 물질주의 과학주의 세계를 내포하고 있는데 반해 獨逸의 理想主義는 經驗上學 (metaempiricism)에 기반한 정신주의 관염주의 세계를 포괄한 것이었다. 英國의 經驗主義가 또한 自然과 社會를 그 자체의 動態法則에 의해 지배되는 메카니칼·시스템으로 가정하고 이 法則―2次의 認知者 즉 人間이 사유하는 바와는 다르게 전개되고 있는 객관적 사실―을 발견하는 길만이 진리에 이르는 첩경이라고 주장하고 있는데 대해 獨逸의 理想主義는 外部世界의 『객관적 사실』이란 그것의 認知者인 人間이 어떻게 생각하느냐 즉 思唯의 내용에 따라서 사실이 달라진다고 가정, 思唯者 독자적인 思唯體系의 구성이 진리에 이르는 길이라고 力說했다.
더크하임은 이 유럽사상의 兩大主流를 綜合함으로써 프랑스人 특유의 철학적 기반을 마련했다. 그는 자연과 인간사회의 展開法則을 발견하는 길을 외부세계의 객관적 사실을 찾아냄으로서만이 가능하다고 주장함으로써 英國의 經驗主義를 지지하는 한편 이 객관적 사실은 認知者 자신의 고도의 思唯體系에 의해서만이 發見·認知된다고 주장함으로서 동시에 獨逸의 理想主義를 지지했다. 따라서 그는 理想主義者의 입장에서 도덕·종교등 內面世界의 思唯과정을 分析했고 동시에 經驗主義者의 입장에서 객관적 사실의 과학적 추구에 몰입함으로서 경험적인 것과 이론적인 것, 추상적인 것과 실제적인 것을 다함께 병용하는 實證主義的인 접근방식을 찾아냈다.
그의 社會學的 문제에의 접근방식도 이 兩大主流를 綜合한 제 3의 입장에서 『알려는 主體』와 『알려진 客體』와의 관계 속에서 『社會的 事實』을 규명하려고 함으로써, 현상세계 내의 『社會的 事實』에 대한 하나의 統合的 이론을 창출해 냈다.
그에 의하면 사회는 그것을 구성하는 個人과의 일반적 관계에서 규명돼야 하지만 (經驗主義, 社會名目論), 社會는 또한 사회 그 자체로서의 독특한 존재성과 본질을 내포하고 있는 것으로 (理想主義, 社會實體論)분석되었다. 그는 社會를 독립된 個人의 집합 혹은 총합에 불과하다는 社會原子的假想論 (社會名目論)을 배격하는 한편 社會는 그것을 구성하는 個人과는 완전히 分離된 本體論的 實體라는 주장(社會實體論)도 역시 배격했다. 그는 사회란 그 독자적 존재성을 가진 實體인 동시에 個人과 不位集團으로 구성된 구조적 체계라는 二元論을 내세우면서 『서로 다른 그러면서 서로 의존하는 각 개인과 집단의 배합 (부분의 집합이나 총합이 아니라)이 하나의 統一體로써 공통목적을 指向, 결국 社會라는 共同構造를 형성하다』고 주장했다.
그의 共同體論은 이러한 그의 社會 2元論的 주장을 관철시키는 수단인 동시에 그의 社會分析理論의 틀이 되고있다. 그가 定義하는 共同體는 친밀성, 정서적 응집성, 계속성을 가진 집단의식인 동시에 社會의 진정한 『밑뿌리』이며 社會的成立의 핵심이다. 그는 個人이 원자적 개인으로 소외 혹은 탈락되지 않는 이유는 個人이 그의 사상과 의지, 역할과 기능을 이 共同體속으로 용해시키고 있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그는 이 共同體가 個人을 社會에 귀속시키고 동시에 독자적인 하나의 存在로서 社會를 형성시켜주는 수단이 되는 이유로서 연대성과 도덕성 그리고 權威를 들고 있다. 그는 共同體가 갖고 있는 이 세요인에 의해 社會의 功利主義的 合理主義, 자유방임주의적 個人主義 개념을 배격함과 아울러 經驗上學的 정신주의, 本體論的 社會實體개념을 공격했다.
本論은 이 3개를 중심으로 그의 理論分析틀로서의 共同體를 일별하는데 목적이있다.
VALUE THEORY AND THE POLICY SCI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