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老稼齋의 藝術素養과 燕行 文化交流 = Artistic Accomplishment of Kajae and the Cultural Exchange during Traveling in Pek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8550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rom a young age, Kajae began to try some art activities such as literary creation and music art, which gave him a unique artistic accomplishment and enthusiasm of becoming a practice-based rural artist. All of those rich experiences became one of the preconditions and sources of the Diary of Kajae’s Traveling in Peking, his immortal classics. According to the related contents in this paper, we can found that because of his artistic accomplishment, there is an obvious feature in his travel note, which with dense academic atmosphere of art. He would describe what he heard or saw faithfully by chronological narrative according to the chronological and ordinal order. His skill of recording well-known mountains and rivers is symbolic almost to the point of landscape painting. Meanwhile, just because he can appreciate instruments, music, painting, handiwork, folk drama, vaudeville and magic, he can observe and record basic features and value of these folk arts that can’t be found by ordinary people.
      Diary of Kajae’s Traveling in Peking is a comprehensive diary style literary work with rich content and its own logic and system, as well as description of scenery and objects. That is the unique feature of this work, which can manifest its value both in history and literature.
      번역하기

      From a young age, Kajae began to try some art activities such as literary creation and music art, which gave him a unique artistic accomplishment and enthusiasm of becoming a practice-based rural artist. All of those rich experiences became one of the...

      From a young age, Kajae began to try some art activities such as literary creation and music art, which gave him a unique artistic accomplishment and enthusiasm of becoming a practice-based rural artist. All of those rich experiences became one of the preconditions and sources of the Diary of Kajae’s Traveling in Peking, his immortal classics. According to the related contents in this paper, we can found that because of his artistic accomplishment, there is an obvious feature in his travel note, which with dense academic atmosphere of art. He would describe what he heard or saw faithfully by chronological narrative according to the chronological and ordinal order. His skill of recording well-known mountains and rivers is symbolic almost to the point of landscape painting. Meanwhile, just because he can appreciate instruments, music, painting, handiwork, folk drama, vaudeville and magic, he can observe and record basic features and value of these folk arts that can’t be found by ordinary people.
      Diary of Kajae’s Traveling in Peking is a comprehensive diary style literary work with rich content and its own logic and system, as well as description of scenery and objects. That is the unique feature of this work, which can manifest its value both in history and literatu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조선후기 문인으로서 노가재는 연행을 통해 청나라의 정치사회와 경제발전 상황, 문화풍속 등을 두루 견문하였다. 그는 조선 선비로서의 긍지를 가지고 연행에 나섰으며 문명인의 모습을 보여주면서 자각적으로 문화 교류의 사절 역할을 담당하였다.
      이번 연행의 성과물로써 삼대 연행록의 白眉로 평가받는 『老稼齋燕行日記』를 전대의 여타 연행록들과 구별짓는 중요한 특색은 노가재가 예리한 안목과 뛰어난 필치로 청나라의 사회상을 그려낸 것이다.
      본 논문은 노가재의 남다른 예술적 자질을 특히 주목하고, 그가 연행 과정에서 견문한 연예, 환술 등 청나라 민간 문화예술에 대한 기술을 종합 분석하여 이 연행일기의 한중문화교류사상의 의미를 새로이 부각할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렇기 위하여 먼저 노가재의 예술적 지향과 재능을 고찰한 다음 예술 부문을 나누어 연행과정에서의 견문과 기록 내용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노가재의 남다른 예술적 소양이 그의 기행문의 예술적 분위기를 특히 농후하게 하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는 연행일기에서 적지 않은 편폭으로 청나라 민간 예술인들의 연예와 환술, 공예품 등 문화예술과 관련한 기술을 남겼다. 이러한 내용들은 청나라의 문화사를 규명하는데 중요한 역사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선지식인의 청나라 문화에 대한 인식 태도를 알아보는데도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번역하기

      조선후기 문인으로서 노가재는 연행을 통해 청나라의 정치사회와 경제발전 상황, 문화풍속 등을 두루 견문하였다. 그는 조선 선비로서의 긍지를 가지고 연행에 나섰으며 문명인의 모습을 ...

      조선후기 문인으로서 노가재는 연행을 통해 청나라의 정치사회와 경제발전 상황, 문화풍속 등을 두루 견문하였다. 그는 조선 선비로서의 긍지를 가지고 연행에 나섰으며 문명인의 모습을 보여주면서 자각적으로 문화 교류의 사절 역할을 담당하였다.
      이번 연행의 성과물로써 삼대 연행록의 白眉로 평가받는 『老稼齋燕行日記』를 전대의 여타 연행록들과 구별짓는 중요한 특색은 노가재가 예리한 안목과 뛰어난 필치로 청나라의 사회상을 그려낸 것이다.
      본 논문은 노가재의 남다른 예술적 자질을 특히 주목하고, 그가 연행 과정에서 견문한 연예, 환술 등 청나라 민간 문화예술에 대한 기술을 종합 분석하여 이 연행일기의 한중문화교류사상의 의미를 새로이 부각할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렇기 위하여 먼저 노가재의 예술적 지향과 재능을 고찰한 다음 예술 부문을 나누어 연행과정에서의 견문과 기록 내용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노가재의 남다른 예술적 소양이 그의 기행문의 예술적 분위기를 특히 농후하게 하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는 연행일기에서 적지 않은 편폭으로 청나라 민간 예술인들의 연예와 환술, 공예품 등 문화예술과 관련한 기술을 남겼다. 이러한 내용들은 청나라의 문화사를 규명하는데 중요한 역사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선지식인의 청나라 문화에 대한 인식 태도를 알아보는데도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金昌業, "老稼齋集"

      2 이경자, "老稼齋 燕行日記 小考" 3 : 1984

      3 정혜중, "조선 선비의 청국 수도 北京見聞―김창업의 『稼齋燕行錄』을 중심으로―" 명청사학회 (23) : 33-66, 2005

      4 김태준, "연행록의 교과서 『노가재연행일기』" (창간) : 2003

      5 朴智鮮, "김창업의 『노가제연행일기』연구" 高麗大學校 大學院 1996

      6 전미자, "김창업 《 연행일기 》 중적 중국형상" 중국연구소 29 : 277-292, 2002

      7 陳燕麗, "金昌業的 『老稼齋燕行日記』研究" 山東大學 2009

      8 李君善, "金昌業 [燕行日記]의 敍述視角과 手法에 대한 고찰" 성균관대학교 1997

      9 金昌協, "農巖集"

      10 楊雨蕾, "燕行與中韓文化交流" 上海辭書出版社 2011

      1 金昌業, "老稼齋集"

      2 이경자, "老稼齋 燕行日記 小考" 3 : 1984

      3 정혜중, "조선 선비의 청국 수도 北京見聞―김창업의 『稼齋燕行錄』을 중심으로―" 명청사학회 (23) : 33-66, 2005

      4 김태준, "연행록의 교과서 『노가재연행일기』" (창간) : 2003

      5 朴智鮮, "김창업의 『노가제연행일기』연구" 高麗大學校 大學院 1996

      6 전미자, "김창업 《 연행일기 》 중적 중국형상" 중국연구소 29 : 277-292, 2002

      7 陳燕麗, "金昌業的 『老稼齋燕行日記』研究" 山東大學 2009

      8 李君善, "金昌業 [燕行日記]의 敍述視角과 手法에 대한 고찰" 성균관대학교 1997

      9 金昌協, "農巖集"

      10 楊雨蕾, "燕行與中韓文化交流" 上海辭書出版社 2011

      11 徐東日, "朝鮮朝使臣眼中的滿族人形象——以金昌業的 『老稼齋燕行日記』為中心" 2011

      12 金明實, "朝鮮使節眼中的清朝服色——以 『老稼齋燕行日記』為中心" 8 : 2013

      13 金昌翕, "三淵集"

      14 위홍, "『노가재연행일기』 연구 : 대청의식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2011

      15 劉廣銘, "『老稼齋燕行日記』中的滿族人形象" (2) : 2008

      16 劉廣銘, "『老稼齋燕行日記』中的康熙形象" 2 : 2006

      17 김아리, "「老稼齋燕行日記」 硏究" 서울대학교 199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6 0.36 0.3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7 0.36 0.746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