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농업기초기술I 및 조경과목의 이러닝과 면대면 수업 방법에 따른 학습효과성 분석 = Analysis of Learning Achievement in e-Learning and Face to face Lectures to agricultural basic technology I class and landscape architecture clas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21013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verifying distinctions between the e-learning classes and the face-to-face classes of learning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For this, this study conducted field experimental research by Nonrandomized Control-Group Pretest-Posttest Design Nonequivalent Control-Group Design. Also this study analyzed the result by using pre-post t-test and one way ANCOVA.
      This study showed two results. First, agricultural basic technology I class ha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learning classes and the face-to-face classes in lecture that taught by same teacher. On the other hand landscape architecture class has no had significant difference, however the e-learning classes shoed higher learning achievement then the face-to-face classes thus it means the e-learning classes have positive effect in learning achievement.
      Second, learning satisfaction of the e-learning classes and the face-to-face classes hav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m. Yet, landscape architecture class has higher learning satisfaction in the face-to-face classes. Because in the landscape architecture class curse had problems when it was conducted like connecting errors with LMS server, delaying play of the content. It caused students’ low concentration and low motivation. According to this researchers are able to know the importance of checking stable infra, when they want to apply really course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verifying distinctions between the e-learning classes and the face-to-face classes of learning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For this, this study conducted field experimental research by Nonrandomized Control-Group Pretes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verifying distinctions between the e-learning classes and the face-to-face classes of learning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For this, this study conducted field experimental research by Nonrandomized Control-Group Pretest-Posttest Design Nonequivalent Control-Group Design. Also this study analyzed the result by using pre-post t-test and one way ANCOVA.
      This study showed two results. First, agricultural basic technology I class ha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learning classes and the face-to-face classes in lecture that taught by same teacher. On the other hand landscape architecture class has no had significant difference, however the e-learning classes shoed higher learning achievement then the face-to-face classes thus it means the e-learning classes have positive effect in learning achievement.
      Second, learning satisfaction of the e-learning classes and the face-to-face classes hav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m. Yet, landscape architecture class has higher learning satisfaction in the face-to-face classes. Because in the landscape architecture class curse had problems when it was conducted like connecting errors with LMS server, delaying play of the content. It caused students’ low concentration and low motivation. According to this researchers are able to know the importance of checking stable infra, when they want to apply really cours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농업 교과 과정에서 동일 교수자의 이러닝과 면대면 수업 환경을 비교ㆍ분석하여 학업성취도와 학습만족도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학습효과성을 검증하고자 이질집단 전후 검사설계 방법에 의한 현장실험연구(Field Experimental Research)를 수행하였다. 통계방법은 사전-사후 t-test와 one way ANCOVA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농업기초기술I 과정은 동일한 교수자에 의한 이러닝과 면대면 수업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조경 과정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학업성취도의 평균점수가 이러닝 집단이 면대면 수업 집단보다 높은 점수를 얻어 교과서 위주의 면대면 수업보다 학업성취도면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둘째, 동일 교수자에 의한 이러닝과 면대면 수업의 학습만족도를 측정한 결과 두 과정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발생하였다. 하지만 조경 과정은 면대면 수업에서 학습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경 과정의 경우 실험연구 당일 LMS 서버와 네트워크 상의 접속 오류와 이러닝 콘텐츠 재생의 버퍼링 현상이 학생들의 주의 집중 및 동기가 저하된 원인으로 들 수 있다. 따라서 이러닝 코스웨어를 개발하여 실제 수업에 적용하고자 할 때에는 학교의 정보화 시설(인터넷 환경과 컴퓨터 사용 실습실 환경)에 대한 점검과 이러닝 운영하는데 필요한 LMS와 같은 제반 시스템 환경 등 안정적인 지원을 제공하는 인프라(infrastructure) 구축의 중요성을 시사하는 결과로써 그 의의가 있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농업 교과 과정에서 동일 교수자의 이러닝과 면대면 수업 환경을 비교ㆍ분석하여 학업성취도와 학습만족도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학습효과성을 검증하고자 이질집단 전...

      이 연구는 농업 교과 과정에서 동일 교수자의 이러닝과 면대면 수업 환경을 비교ㆍ분석하여 학업성취도와 학습만족도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학습효과성을 검증하고자 이질집단 전후 검사설계 방법에 의한 현장실험연구(Field Experimental Research)를 수행하였다. 통계방법은 사전-사후 t-test와 one way ANCOVA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농업기초기술I 과정은 동일한 교수자에 의한 이러닝과 면대면 수업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조경 과정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학업성취도의 평균점수가 이러닝 집단이 면대면 수업 집단보다 높은 점수를 얻어 교과서 위주의 면대면 수업보다 학업성취도면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둘째, 동일 교수자에 의한 이러닝과 면대면 수업의 학습만족도를 측정한 결과 두 과정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발생하였다. 하지만 조경 과정은 면대면 수업에서 학습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경 과정의 경우 실험연구 당일 LMS 서버와 네트워크 상의 접속 오류와 이러닝 콘텐츠 재생의 버퍼링 현상이 학생들의 주의 집중 및 동기가 저하된 원인으로 들 수 있다. 따라서 이러닝 코스웨어를 개발하여 실제 수업에 적용하고자 할 때에는 학교의 정보화 시설(인터넷 환경과 컴퓨터 사용 실습실 환경)에 대한 점검과 이러닝 운영하는데 필요한 LMS와 같은 제반 시스템 환경 등 안정적인 지원을 제공하는 인프라(infrastructure) 구축의 중요성을 시사하는 결과로써 그 의의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성열, "친환경농업 육성을 위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개발 및 e-learning 학습관리시스템 구축, 농림수산식품부 농림기술개발사업 연구보고서" 2006

      2 박성열, "친환경농업 애니메이션 e-learning 컨텐츠 교육효과성 검증" 한국농·산업교육학회 38 (38): 137-152, 2006

      3 박성열, "친환경농업 교육 웹 사이트 및 컨텐츠 개발과 교육효과성 평가" 한국농·산업교육학회 37 (37): 29-46, 2005

      4 이상수, "전통적 학습환경과 웹기반 학습환경에서의 개인학습과 협력학습이 영어작문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공학회 18 (18): 193-214, 2002

      5 김선태, "전문계고 교수-학습 효과성 제고를 위한 학습자 주도형 e-Learning 콘텐츠 모델 개발 및 적용 연구- 『공업입문』 교과목을 중심으로 -" 대한공업교육학회 33 (33): 44-66, 2008

      6 송상호, "인터넷 환경에서의 사이버 학습 역량 탐색"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8 (8): 49-78, 2002

      7 정인성, "웹기반 가상수업 평가 연구보고(2)"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방송통신교육연구소 1999

      8 방기혁, "웹(Web)을 활용한 교양농업교육용 교재 개발 및 교육 효과 분석" 한국농·산업교육학회 33 (33): 43-56, 2001

      9 정재삼, "웹 기반 토론에서 학습자의 참여도, 성취도 및 만족도 관련 요인의 효과 분석" 16 (16): 107-135, 2000

      10 김종두, "웹 기반 교육의 가능성과 한계성 분석: ‘교육공학연구’에 나타난 학업성취 관련 연구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공학회 22 (22): 87-113, 2006

      1 박성열, "친환경농업 육성을 위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개발 및 e-learning 학습관리시스템 구축, 농림수산식품부 농림기술개발사업 연구보고서" 2006

      2 박성열, "친환경농업 애니메이션 e-learning 컨텐츠 교육효과성 검증" 한국농·산업교육학회 38 (38): 137-152, 2006

      3 박성열, "친환경농업 교육 웹 사이트 및 컨텐츠 개발과 교육효과성 평가" 한국농·산업교육학회 37 (37): 29-46, 2005

      4 이상수, "전통적 학습환경과 웹기반 학습환경에서의 개인학습과 협력학습이 영어작문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공학회 18 (18): 193-214, 2002

      5 김선태, "전문계고 교수-학습 효과성 제고를 위한 학습자 주도형 e-Learning 콘텐츠 모델 개발 및 적용 연구- 『공업입문』 교과목을 중심으로 -" 대한공업교육학회 33 (33): 44-66, 2008

      6 송상호, "인터넷 환경에서의 사이버 학습 역량 탐색"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8 (8): 49-78, 2002

      7 정인성, "웹기반 가상수업 평가 연구보고(2)"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방송통신교육연구소 1999

      8 방기혁, "웹(Web)을 활용한 교양농업교육용 교재 개발 및 교육 효과 분석" 한국농·산업교육학회 33 (33): 43-56, 2001

      9 정재삼, "웹 기반 토론에서 학습자의 참여도, 성취도 및 만족도 관련 요인의 효과 분석" 16 (16): 107-135, 2000

      10 김종두, "웹 기반 교육의 가능성과 한계성 분석: ‘교육공학연구’에 나타난 학업성취 관련 연구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공학회 22 (22): 87-113, 2006

      11 박성열, "식품안전성 e-Learning 콘텐츠가 교육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농·산업교육학회 41 (41): 41-62, 2009

      12 박성열, "식품가공기술 e-Learning 콘텐츠 학습효과성 실험연구" 한국농업정책학회 36 (36): 740-756, 2009

      13 이항년, "사이버가정학습의 인지적․정의적 효과성 영향요인 분석" 인천대학교 2010

      14 이승진, "사이버가정학습 시험운영 결과보고서"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3

      15 최미나, "동일 교수자의 동일 수업에서 온라인과 오프라인 학습 환경에 따른 학습 효과 분석"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3 (13): 5-23, 2007

      16 이혜란, "교사의 면대면 수업과 사이버 가정 학습의 학습 효과 비교- 중학교 기술 ․ 가정 교과의 ‘청소년과 소비 생활’ 단원을 중심으로 -"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1 (21): 139-158, 2009

      17 이현아, "e-learning 콘텐츠 유형에 따른 학습 효과성 실험 연구" 건국대학교 2007

      18 Aragon, S. R., "The influence of learning style preferences on student in online versus face to face environment" 16 (16): 224-227, 200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12-02 학회명변경 영문명 :   ->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8-0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농업교육학회 -> 한국농·산업교육학회
      영문명 : 미등록 ->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10-2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농업교육학회지 ->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Agricultural Education -> Journal of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KCI등재
      2005-03-2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농업교육학회지 ->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Agricultural Education -> Journal of 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8 1.08 1.2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2 1.35 1.587 0.4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