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현직교사를 위한 모바일 기반 조직학습 및 협력학습의 통합모형 탐색 = Exploring the Mobile-based Integrated Model of Organizational Learning and Collaborative Learning in In-service Teacher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21013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the mobile devices help in-service teachers’ collaborative learning in school system as well as how their knowledge can be shared, integrated and accumulated throughout their learning community by using the mobile device. In addition, based on the review of collaborative learning and organizational learning literature, it is to propose the integrated model of organizational learning and computer-supported collaborative learning(CSCL) to explain how to facilitate learning activities in school system or teacher learning community. This model presents that wireless communications facilitate teachers’ learning at individual, group and organizational(teachers’ community) levels, and help the learning outcomes at each level transferred one another in ways of sharing mental models. This model emphasizes on the important role of mobile communication as mediations balancing a tension between social relationship and learning content. This study concludes as follows: first, mobile devices help an individual teacher to store images through learner- and knowledge-centered activities; second, mobile devices play roles as technical and social mediations in building relationships in a group. Third, at the organizational level, mobile devices are very useful tools to share internal- and external changes, and to accumulate groups’ learning outcomes into organizational memory while distributing the outcomes throughout organization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the mobile devices help in-service teachers’ collaborative learning in school system as well as how their knowledge can be shared, integrated and accumulated throughout their learning community by using t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the mobile devices help in-service teachers’ collaborative learning in school system as well as how their knowledge can be shared, integrated and accumulated throughout their learning community by using the mobile device. In addition, based on the review of collaborative learning and organizational learning literature, it is to propose the integrated model of organizational learning and computer-supported collaborative learning(CSCL) to explain how to facilitate learning activities in school system or teacher learning community. This model presents that wireless communications facilitate teachers’ learning at individual, group and organizational(teachers’ community) levels, and help the learning outcomes at each level transferred one another in ways of sharing mental models. This model emphasizes on the important role of mobile communication as mediations balancing a tension between social relationship and learning content. This study concludes as follows: first, mobile devices help an individual teacher to store images through learner- and knowledge-centered activities; second, mobile devices play roles as technical and social mediations in building relationships in a group. Third, at the organizational level, mobile devices are very useful tools to share internal- and external changes, and to accumulate groups’ learning outcomes into organizational memory while distributing the outcomes throughout organization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현직교사 교육에서 조직학습과 협력학습을 실시할 때, 모바일 매체의 활용 가능성을 살펴보고, 모바일 기반 조직학습과 협력학습의 통합기초모형을 탐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활동이론에 근거한 협력학습모형이 학습자 개인과 매체와의 관계를 개인 또는 소집단 차원에서 미시적으로 설명하는 반면에, 공유된 인지모형의 형성과정을 설명하는 조직학습모형은 각 주체와 매체와의 관계를 교사로 구성된 전문적 학습공동체의 차원에서 거시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이렇게 분화된 접근은 협력학습을 극대화시키고, 학습결과를 공동체 차원으로 전환시키는 데에 효과적이지 못한 측면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현직교사 교육에 있어, 모바일 매체의 효과적인 활용에 초점을 두어 개인, 그룹, 조직(전문적 학습공동체)이라는 각 주체별 유대적인 관계, 즉, 조직학습과 협력학습을 동시에 고려한 통합기초모형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모바일 기반의 조직학습과 협력학습의 통합기초모형은 교사 개인, 협력학습 그룹, 교사조직이라는 각 학습 주체들이 인지모형의 공유과정을 통해 지식을 축적 및 공유하고, 모바일 매체는 각 주체의 인지모형을 연결시켜주는 매개자로서 인지모형의 관계 및 내용적 측면의 균형을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현직교사 교육에 있어서, 모바일 기반 통합기초모형에서 모바일 매체의 특징을 각 학습 주체 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교사 개인적 차원의 측면에서 모바일 매체는 학습자 및 지식 중심성의 과정을 통해 개인의 인지모형에 표상을 만드는 역할을 하고, 그룹 학습적 측면에서는 교사그룹 관계 형성에 있어서 기술적, 사회적 매개자로서의 역할을 하며, 교사조직 차원에서는 그룹 차원의 인지모형에 축적되어 있는 교수-학습 방법 및 교과과정 설계에 대해 교사조직 전체의 피드백과 공감대를 촉진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현직교사 교육에서 조직학습과 협력학습을 실시할 때, 모바일 매체의 활용 가능성을 살펴보고, 모바일 기반 조직학습과 협력학습의 통합기초모형을 탐색하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은 현직교사 교육에서 조직학습과 협력학습을 실시할 때, 모바일 매체의 활용 가능성을 살펴보고, 모바일 기반 조직학습과 협력학습의 통합기초모형을 탐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활동이론에 근거한 협력학습모형이 학습자 개인과 매체와의 관계를 개인 또는 소집단 차원에서 미시적으로 설명하는 반면에, 공유된 인지모형의 형성과정을 설명하는 조직학습모형은 각 주체와 매체와의 관계를 교사로 구성된 전문적 학습공동체의 차원에서 거시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이렇게 분화된 접근은 협력학습을 극대화시키고, 학습결과를 공동체 차원으로 전환시키는 데에 효과적이지 못한 측면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현직교사 교육에 있어, 모바일 매체의 효과적인 활용에 초점을 두어 개인, 그룹, 조직(전문적 학습공동체)이라는 각 주체별 유대적인 관계, 즉, 조직학습과 협력학습을 동시에 고려한 통합기초모형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모바일 기반의 조직학습과 협력학습의 통합기초모형은 교사 개인, 협력학습 그룹, 교사조직이라는 각 학습 주체들이 인지모형의 공유과정을 통해 지식을 축적 및 공유하고, 모바일 매체는 각 주체의 인지모형을 연결시켜주는 매개자로서 인지모형의 관계 및 내용적 측면의 균형을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현직교사 교육에 있어서, 모바일 기반 통합기초모형에서 모바일 매체의 특징을 각 학습 주체 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교사 개인적 차원의 측면에서 모바일 매체는 학습자 및 지식 중심성의 과정을 통해 개인의 인지모형에 표상을 만드는 역할을 하고, 그룹 학습적 측면에서는 교사그룹 관계 형성에 있어서 기술적, 사회적 매개자로서의 역할을 하며, 교사조직 차원에서는 그룹 차원의 인지모형에 축적되어 있는 교수-학습 방법 및 교과과정 설계에 대해 교사조직 전체의 피드백과 공감대를 촉진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욱준, "해외 모바일 브로드밴드 시장의 성장 전망" 21 (21): 72-78, 2009

      2 이남숙, "한국 초중등학교 유비쿼터스 시범교육의 현황" 5 (5): 1-7, 2007

      3 배영주, "학교에서의 자기주도학습 구현을 위한 실천적 모형 개발 연구" 한국교육과정학회 26 (26): 97-119, 2008

      4 이성은, "초등학교 온라인 교사 학습 공동체에서의 지속적 지도력" 한국초등교육학회 20 (20): 17-35, 2007

      5 김경화, "중등학교에서의 조직학습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위계적선형분석" 한국교육사회학회 16 (16): 1-23, 2006

      6 정애경, "자기조절학습을 지원하는 모바일 연동 학습관리시스템 개발연구"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2 (12): 23-34, 2009

      7 허영주, "실천학습(action learning)의 도입을 통한 현직교사 교육프로그램의 변화 가능성 탐색" 한국교육과정학회 25 (25): 207-228, 2007

      8 임정훈, "모바일 학습(Mobile Learning)을 위한 교수학습 모형의 설계 방향 탐색" 한국교육포럼(아시아태평양교육학회) 8 (8): 101-124, 2009

      9 정진철, "대학에서의 HRD 모형 개발" 한국농·산업교육학회 40 (40): 221-255, 2008

      10 김규태, "교육적 책무성의 개념적 구조" 19 (19): 287-307, 2001

      1 김욱준, "해외 모바일 브로드밴드 시장의 성장 전망" 21 (21): 72-78, 2009

      2 이남숙, "한국 초중등학교 유비쿼터스 시범교육의 현황" 5 (5): 1-7, 2007

      3 배영주, "학교에서의 자기주도학습 구현을 위한 실천적 모형 개발 연구" 한국교육과정학회 26 (26): 97-119, 2008

      4 이성은, "초등학교 온라인 교사 학습 공동체에서의 지속적 지도력" 한국초등교육학회 20 (20): 17-35, 2007

      5 김경화, "중등학교에서의 조직학습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위계적선형분석" 한국교육사회학회 16 (16): 1-23, 2006

      6 정애경, "자기조절학습을 지원하는 모바일 연동 학습관리시스템 개발연구"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2 (12): 23-34, 2009

      7 허영주, "실천학습(action learning)의 도입을 통한 현직교사 교육프로그램의 변화 가능성 탐색" 한국교육과정학회 25 (25): 207-228, 2007

      8 임정훈, "모바일 학습(Mobile Learning)을 위한 교수학습 모형의 설계 방향 탐색" 한국교육포럼(아시아태평양교육학회) 8 (8): 101-124, 2009

      9 정진철, "대학에서의 HRD 모형 개발" 한국농·산업교육학회 40 (40): 221-255, 2008

      10 김규태, "교육적 책무성의 개념적 구조" 19 (19): 287-307, 2001

      11 김양은, "교수 적극성 예측변인 분석: 교사 특성변인, 유아교육기관 근무환경, 교사 효능감을 중심으로" 한국유아교육학회 28 (28): 207-227, 2008

      12 최진영, "교사학습공동체 수준에 따른 사회과 교수-학습활동에 대한 연구" 한국초등교육학회 19 (19): 217-240, 2006

      13 정우진, "교사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인과관계 분석- 변혁적지도성, 협동문화, 임파워먼트를 중심으로 구조방정식 모델을 사용하여" 한국교원교육학회 26 (26): 289-310, 2009

      14 Liu, T. C., "Wireless and mobile technologies to enhance teaching and learning" 19 (19): 371-382, 2003

      15 Fullan, M., "What's worth fighting for in your school?" Teachers College Press 1996

      16 Naismith, L., "Using text messaging to support administrative communication in higher education" 8 (8): 155-171, 2007

      17 Wishart, J., "Use of mobile technology for teacher training. in: Mobile learning: Transforming the delivery of education and training" Athabasca University Press 265-278, 2009

      18 Sharples, M., "Towards a theory of mobile learning" //www.lsri.nottingham.ac.uk 2005

      19 Roschelle, J., "Towards a design framework for mobile computer-supported collaborative learning" 2005

      20 Phillipsen, L. C., "The prediction of process quality from structural features of child care" 12 (12): 281-303, 1997

      21 McLean, N., "The m-learning paradigm: An overview. in: A Report for the Royal Academy of Engineering and the Vodafone Group Foundation" 2003

      22 Kim, D., "The link between individual learning and organizational learning" 35 (35): 37-50, 1993

      23 Senge, P., "The fifth discipline" Double day 1990

      24 Gay, G., "The effects of wireless computing in collaborative learning environments.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Computer" 13 (13): 257-276, 2001

      25 Evans, C. R., "The effectiveness of m-learning in the form of podcast revision lectures in higher education" 50 (50): 491-498, 2008

      26 Nonaka, I., "The concept of “Ba”: Building a foundation for knowledge creation" 40 (40): 40-55, 1998

      27 Maccini, P., "Technology-based practices for secondary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25 (25): 247-262, 2002

      28 Brownell, K. L., "Technology in teacher education: Where are we and where do we go from here?" 5 (5): 117-138, 1997

      29 Thompson, A. D., "Technology collaborative for simultaneous renewal in teacher education" 51 (51): 73-89, 2003

      30 Little, J.,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in the context of high school reform: Findings from a three-year study of restructuring schools" Microfiche 1999

      31 Williams, D., "Teachers and ICT: Current use and future needs" 31 (31): 307-320, 2000

      32 Willis, J., "Research on technology and teacher education: Curr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s" 47 (47): 29-45, 1999

      33 Stoll, L.,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A review of the literature.Journal of Educational" 7 (7): 221-258, 2006

      34 Franklin, T., "PDAs in teacher education: A case study examining mobile technology integration" 15 (15): 39-57, 2007

      35 정광식, "PDA 기반의 사칙연산학습 운영시스템 설계 및 개발"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2 (12): 53-62, 2009

      36 Huber, G., "Organizational learning: The contributing processes and the literatures" 2 (2): 88-115, 1991

      37 Collinson, V., "Organizational learning in schools and school systems: Improving learning, teaching, and leading" 45 (45): 107-116, 2006

      38 Jerez-Gomez, P., "Organizational learning capability: A proposal of measurement" 58 (58): 715-725, 2005

      39 Silins, H., "Organizational learning and school change" 38 (38): 613-642, 2002

      40 Andreu, R., "Organisational learning and core capabilities development: The role of IT" 5 (5): 111-127, 1996

      41 Seppaelae, P., "Mobile learning in teacher training" 19 (19): 330-335, 2003

      42 Real, J., "Information technology as a determinant of organizational learning and technological distinctive competencies" 35 (35): 505-521, 2006

      43 Goldman, P., "How to push an elephant through a straw: Using wireless technology in a web-enhanced skills program" 15 (15): 281-299, 2001

      44 Daft, R., "How organizations learn" 5 : 1-36, 1987

      45 Goh, T., "Getting ready for mobile learning-adaptation perspective" 15 (15): 175-198, 2006

      46 Danesh, A., "Geney TM: Designing a collaborative activity for the palm TM handheld computer" 2001

      47 Kolb, D., "Experiential learning: Experience as the source of learning and development" elopntice-Hall 1984

      48 Casey, A., "Enhancing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learning: A sociological model" 36 (36): 131-147, 2005

      49 Lockhorst, D., "Design elements for a CSCL environment in a teacher training programme" 7 (7): 377-384, 2002

      50 Scribner, J., "Creating professional communities in schools through organizational learning: An evaluation of a school improvement process" 35 (35): 130-160, 1999

      51 Antil, L. R., "Cooperative learning: Prevalence, conceptualizations, and the relation between research and practice" 35 (35): 419-454, 1998

      52 Kaye, A., "Computer supported collaborative learning. in: Information technology and society" Sage 192-210, 1995

      53 Zurita, G., "Computer supported collaborative learning using wirelessly interconnected handheld computers" 42 (42): 289-314, 2004

      54 Westheimer, J., "Communities and consequences: An inquiry into ideology and practice in teachers' professional work" 35 (35): 71-105, 1999

      55 Engestrom, Y., "Comment on Blackler et al. Activity theory and the social construction of knowledge: A story of four umpires" 7 (7): 301-310, 2000

      56 Lundin, J., "Collaborative learning in mobile work" 19 (19): 273-283, 2003

      57 Sergiovanni, T. J., "Building community in schools" Jossey-Bass 1994

      58 Hiltz, S. R., "Asynchronous learning networks as a virtual classroom" 40 (40): 44-49, 1997

      59 Crossan, M., "An organizational learning framework: From intuition to institution" 24 (24): 522-537, 1999

      60 Scanlon, E., "Activity theory and higher education: Evaluating learning technologies" 21 (21): 430-439, 2005

      61 Meier, A., "A rating scheme for assessing the quality of computer-supported collaboration processes" 2 (2): 63-86, 2007

      62 Stuhlmann, J. M., "A model for infusing technology into teacher training programs" 6 (6): 1125-1140, 1998

      63 Trifonova, A., "A general architecture for m-learning" 2 (2): 31-36, 2003

      64 Nonaka, I., "A dynamic theory of organizational knowledge creation" 5 (5): 14-37, 1994

      65 Zurita, G., "A conceptual framework based on activity theory for mobile CSCL" 38 (38): 211-235,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12-02 학회명변경 영문명 :   ->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8-0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농업교육학회 -> 한국농·산업교육학회
      영문명 : 미등록 ->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10-2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농업교육학회지 ->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Agricultural Education -> Journal of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KCI등재
      2005-03-2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농업교육학회지 ->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Agricultural Education -> Journal of 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8 1.08 1.2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2 1.35 1.587 0.4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