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여성노인의 긍정적 사회관계망 기능이 사회적 관계망 접촉빈도와 성공적 노화 관계에 미치는 조절효과 연구 = A Study on the Moderating Effect of Female Elders’ Positive Social Network Fun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requency of Contacts with Social Networks and Successful Ag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2895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female elders’ social network and their successful aging. For this purpose, 313 female elders aged over 65 were surveyed using a questionnair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the level of successful aging was higher in those with good health status, those with high economic level, those with a religion, and those whose age was young. Second, the frequency of contacts with social networks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successful aging. That is, female elders’ frequent social contacts with family, neighbors, etc. enhance the level of successful aging. Third, the positive function of social networks was found to moderate the effect of the frequency of contacts with social networks on successful aging. That is, when the positive function of social networks was high, it heightened the effect of the frequency of contacts with social networks on successful aging. In order to support female elders’ successful aging, accordingly, it is suggested to develop programs for expanding social networks and strengthening the positive function of social networks.
      번역하기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female elders’ social network and their successful aging. For this purpose, 313 female elders aged over 65 were surveyed using a questionnair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female elders’ social network and their successful aging. For this purpose, 313 female elders aged over 65 were surveyed using a questionnair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the level of successful aging was higher in those with good health status, those with high economic level, those with a religion, and those whose age was young. Second, the frequency of contacts with social networks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successful aging. That is, female elders’ frequent social contacts with family, neighbors, etc. enhance the level of successful aging. Third, the positive function of social networks was found to moderate the effect of the frequency of contacts with social networks on successful aging. That is, when the positive function of social networks was high, it heightened the effect of the frequency of contacts with social networks on successful aging. In order to support female elders’ successful aging, accordingly, it is suggested to develop programs for expanding social networks and strengthening the positive function of social network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노인의 사회적 관계망과 성공적 노화의 관계를 파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만 65세 이상의 여성노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309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 결과는 첫째,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경제수준이 높을수록, 종교가 있을수록, 나이가 젊을수록 성공적 노화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관계망의 접촉빈도는 성공적 노화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여성노인의 가족, 이웃 등과의 사회적 접촉이 많을수록 성공적 노화 수준이 높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밝혀냈다. 셋째, 사회적 관계망의 긍정적 기능은 사회적 관계망과의 접촉빈도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력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회적 관계망의 긍정적 기능이 높을수록 사회적 관계망과의 접촉빈도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력이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여성노인의 성공적 노화를 지원하기 위해서는 사회관계망 확대와 사회관계망의 긍정적 기능강화를 위한 프로그램개발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노인의 사회적 관계망과 성공적 노화의 관계를 파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만 65세 이상의 여성노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309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노인의 사회적 관계망과 성공적 노화의 관계를 파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만 65세 이상의 여성노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309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 결과는 첫째,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경제수준이 높을수록, 종교가 있을수록, 나이가 젊을수록 성공적 노화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관계망의 접촉빈도는 성공적 노화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여성노인의 가족, 이웃 등과의 사회적 접촉이 많을수록 성공적 노화 수준이 높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밝혀냈다. 셋째, 사회적 관계망의 긍정적 기능은 사회적 관계망과의 접촉빈도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력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회적 관계망의 긍정적 기능이 높을수록 사회적 관계망과의 접촉빈도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력이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여성노인의 성공적 노화를 지원하기 위해서는 사회관계망 확대와 사회관계망의 긍정적 기능강화를 위한 프로그램개발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순둘, "한국여성의 성공적 노후에 관한 연구 - 청년, 중년, 노년층의 비교 -" 한국노인복지학회 36 (36): 203-222, 2007

      2 김경호, "한국 노인의 성공적인 노화요인의 구조분석" 한국노년학회 29 (29): 71-87, 2009

      3 김동배, "한국 노인의 성공적 노화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60 (60): 211-231, 2008

      4 김미혜, "한국 노인의 '성공적 노후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회 25 (25): 35-52, 2005

      5 전상남, "주관적 건강 및 노인차별경험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회 29 (29): 1383-1396, 2009

      6 Mitani Momoe, "종교적 대처와 성공적 노화의 관계"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0

      7 허선영, "저소득층 독거노인의 사회적 관계망과 생활만족도" 서울대학교대학원 2003

      8 유양경, "재가 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사기" 한국간호과학회 34 (34): 10-306, 2004

      9 김미령, "여성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성공적 노화의 구성요소" 한국노년학회 28 (28): 33-48, 2008

      10 김수옥, "여성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우울의 관계" 3 (3): 230-239, 2001

      1 정순둘, "한국여성의 성공적 노후에 관한 연구 - 청년, 중년, 노년층의 비교 -" 한국노인복지학회 36 (36): 203-222, 2007

      2 김경호, "한국 노인의 성공적인 노화요인의 구조분석" 한국노년학회 29 (29): 71-87, 2009

      3 김동배, "한국 노인의 성공적 노화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60 (60): 211-231, 2008

      4 김미혜, "한국 노인의 '성공적 노후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회 25 (25): 35-52, 2005

      5 전상남, "주관적 건강 및 노인차별경험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회 29 (29): 1383-1396, 2009

      6 Mitani Momoe, "종교적 대처와 성공적 노화의 관계"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0

      7 허선영, "저소득층 독거노인의 사회적 관계망과 생활만족도" 서울대학교대학원 2003

      8 유양경, "재가 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사기" 한국간호과학회 34 (34): 10-306, 2004

      9 김미령, "여성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성공적 노화의 구성요소" 한국노년학회 28 (28): 33-48, 2008

      10 김수옥, "여성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우울의 관계" 3 (3): 230-239, 2001

      11 오인근, "여성노인의 사회적 관계망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연구-건강증진행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회 14 (14): 113-136, 2009

      12 홍현방, "성공적인 노화와 노인의 종교성 관계 연구" 한국노년학회 22 (22): 247-259, 2002

      13 홍현방, "성공적인 노화 개념정의를 위한 문헌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14 최혜경, "성공적인 노화" 신정 2001

      15 박종한,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심리적·생물학적 결정 요인들" 영남대학교 대학원 2006

      16 박경란, "성공적 노화에 대한 인식 조사연구" 한국노년학회 22 (22): 53-66, 2002

      17 성혜영, "성공적 노화 모델 연구 : Rowe와 Kahn의 구성 요소를 활용하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5

      18 성혜영, "성공적 노화 개념의 인식에 관한 연구 - Q 방법론적 접근 -" 한국노년학회 22 (22): 75-93, 2002

      19 류선영, "서울시 노인종합복지관을 이용하는 거택보호대상 독거노인의 비공식적 지원망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2000

      20 홍현방, "생산 활동 수준과 성공적인 노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인복지학회 29 (29): 203-235, 2005

      21 통계청, "생명표" 2014

      22 김경호, "삶의 만족도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 유배우자 노인을 중심으로 -" 한국가족복지학회 13 (13): 87-106, 2008

      23 김용학, "사회연결망 이론" 박영사 2004

      24 이가영, "농촌지역 노인들의 사회적 지지와 건강상태의 관련성" 21 (21): 672-682, 2000

      25 유희정, "농촌 사별여성노인의 성공적 노화 경험 연구" 한국노년학회 27 (27): 617-634, 2007

      26 서선희, "농촌 노인 가구의 사회적 관계망의 기능에 관한 연구:전남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농촌사회학회 14 (14): 179-203, 2004

      27 양옥경, "노인의 정신건강과 삶의 질" (1) : 101-131, 1997

      28 홍승우, "노인의 일상생활과 성공적인 노화"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29 박금분, "노인의 생산적 활동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8

      30 강신옥, "노인의 생산적 활동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충북 노인일자리사업 참여 노인을 중심으로" 공주대학교 대학원 2009

      31 강지애, "노인의 생산적 활동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7

      32 신유진, "노인의 비공식적 지지망 기능과 성공적 노화의 관계" 한양대학교 임상간호전문대학원 2009

      33 박경희,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노인들의 성공적 노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34 최혜경, "노인들의 인식을 통한 한국적인 성공적 노화의 개념" 한국가정관리학회 23 (23): 1-10, 2005

      35 권중돈, "노년기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0 (20): 61-76, 2000

      36 정여진, "남성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가족관계 변인이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회 30 (30): 535-550, 2010

      37 이정우, "기초노령연금 수급노인의 성공적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구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0

      38 정순둘, "고령은퇴자의 사회적 관계망과 은퇴만족도 관계 연구" 한국노년학회 30 (30): 1145-1161, 2010

      39 정영미, "건강증진프로그램이 노인의 건강행위, 지각된 건강상태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성인간호학회 14 (14): 327-336, 2002

      40 김경연, "건강 및 경제수준에 따른 집단별 성공적 노화의 요소 탐색" 한국노인복지학회 34 (34): 31-54, 2006

      41 윤현숙, "가족관계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18 (18): 5-31, 2006

      42 이인정, "가족 및 직장에서의 지지적 관계가 직장인들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 9 : 107-127, 1997

      43 吳承桓, "都市貧民의 社會的 關係網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대학원 1990

      44 元曉鍾, "都市 核家族 主婦의 社會關係網 類型 硏究" 서울대학교대학원 1997

      45 김희주, "‘한국적 성공적 노후척도’를 활용한 노인의 삶의 만족에 관한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41 (41): 125-158, 2008

      46 Rook, K. S., "The Negative Side of Social Interaction:Impa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46 : 1097-11-1097-18, 1984

      47 Baltes, P. B., "Successful aging:perspectives from the behavioral scien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0

      48 Rowe, John. W., "Successful aging" Pantheon Books 1998

      49 Carstensen, L. L., "Social and emotional patterns in adulthood:Support for socioemotional selectivity theory" 7 : 331-338, 1992

      50 성혜영, "Rowe와 Kahn의 구성요소를 활용한 성공적 노화 모델" 한국노년학회 26 (26): 105-123, 2006

      51 Reker, G. T., "Prospective Predictors of Successful Aging in Community-Residing and Institutionalized Canadian Elderly" 27 (27): 42-64, 2004

      52 Wong, P. T., "Personal meaning and successful aging" 57 : 349-357, 1989

      53 정경희, "OECD 국가의 노인소득보장정책과 그 시사점" 17 (17): 206-222, 1997

      54 Groenou, M. B., "Network Analysis" 2 : 197-210, 1996

      55 Lee, G. R., "Contemporary Theories about the Family. Vol. l" The Free Press 1979

      56 Ryff, C. D., "Beyond ponce de leon and life satisfaction:New directions in Quest of successful aging" 12 : 34-55, 198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6-2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KCI등재
      2015-06-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ociety Of Welfare For The Aged -> Korean Society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4 1.64 2.1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34 2.61 2.658 0.3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