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연구배경 - 관광의 부정적 시선과 새로운 도전 - 관광분야에서 공정성에 관한 논의 대두 - 관광시스템 구성 주체 간 공정성 개념 규정의 필요성 - 정의론적 관점에서 공정관광 논의 필요성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53651
2012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1) 연구배경 - 관광의 부정적 시선과 새로운 도전 - 관광분야에서 공정성에 관한 논의 대두 - 관광시스템 구성 주체 간 공정성 개념 규정의 필요성 - 정의론적 관점에서 공정관광 논의 필요성 ...
1) 연구배경
- 관광의 부정적 시선과 새로운 도전
- 관광분야에서 공정성에 관한 논의 대두
- 관광시스템 구성 주체 간 공정성 개념 규정의 필요성
- 정의론적 관점에서 공정관광 논의 필요성
2) 연구목적
- 관광시스템 내에서 공정관광의 이론적 체계 수립
- 정의론에 입각하여 공정성을 판단할 수 있는 근거를 구성 개념화 함
- 관광현상에서 발생하는 불공정성 사례 연구를 통해 공정관광 차원을 유형화하고 어떠한 주체들 간의 관계에서 어떤 유형의 불공정 현상이 나타나는지를 분석함
- 정의론에 따른 공정성 판단 기준의 타당성 검증을 위해 관광시스템 내 구성 주체별로 공정관광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Q 방법을 통해 검정함
- 마지막으로 정의론에 입각한 공정관광 이론 체계를 수립함
3) 연구 내용
- 1차 년도에서는 공정관광의 개념과 발단배경을 살펴보고 관광의 공정성을 판단하는 근거 제시를 위해 벤담, 롤즈, 노직, 월쩌의 정의론에 관한 문헌을 고찰한다. 각각의 정의론에서 주장하는 정의의 개념을 공정관광에서 어떻게 반영될 것인지, 공정관광 판단 기준으로써 ‘정의’의 개념을 고찰하였다.
- 2차 년도에서는 관광시스템을 구성하는 구성 주체들이 공정관광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불공정 사례를 조사한다. 2차년도 연구를 위해 미디어를 이용한 내러티브 탐구 방법을 수행한다.
- 3차 년도는 첫째, 1차년도 공정성 판단 근거 구성개념 도출과 2차년도 관광현상에서 공정성 차원 유형화를 통해 도출된 결과의 타당성 검증을 위한 정량적 검증 실시한다. 최종적으로 정의론에 입각하여 관광시스템 구성 주체 간에 발생하는 공정성 개념 체계를 통합하여 ‘관광시스템 구성 주체 간 공정성 이론 체계’를 수립한다. 본 연구에서 이론 체계 구축의 전반적인 틀은 ‘개념적 이론화’ 과정을 통해 구축되고 1차년도와 2차년도의 연구가 ‘개념적 이론화’ 과정에 모두 포함된다.
4) 연구 방법
- 본 연구의 전반적 연구 흐름을 지배하는 방법은 ‘개념적 이론화’ 과정을 통한 이론화이다. 이론은 구축된 개념을 토대로 발전한다. 개념의 속성 및 범주를 명확히 구축하여 개념을 정립하는 과정을 개념화 과정이라고 한다면(이성은⋅최환석, 2010) 본 연구에서 공정관광의 개념적 이론화는 1단계로 정의론에 대한 문헌고찰을 통해 공정관광의 판단 근거를 개념화한다. 2단계에서는 공정관광이 현실에서 어떻게 표현되는지를 정의론에 입각하여 공정관광 기준간의 관계를 규명한다. 이는 이론 발전단계의 중간기에 해당된다. 3단계는 정의론에 입각한 공정관광의 개념을 현실에 적용하여 관광시스템이라는 범주 내에서 상호작용하는 관광주체(지역주민, 사업체, 관광자)들이 인식하는 공정관광 유형을 정량적으로 검증한다. 마지막으로 관광시스템 구성 주체들 간의 공정성 유형을 통합하여 관광시스템 내에서 공정관광의 개념적 이론 체계를 구축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