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상증자 시 우리사주 청약률의 정보효과 = Information Effect of the Subscription Rate of ESOP: Evidence from Seasoned Equity Offering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1654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우리사주조합은 기업의 성과 및 미래 현금흐름에 대한 사적정보를 가진 내부자에 해당하므로 주식발행 시 우리사주조합의 우선배정권리 행사 여부는 시장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08년부터 2018년 까지 유상증자 시 우선배정으로 예탁된 우리사주 모집단을 사용하여, 우리사주 청약률의 정보효과를 검증하였다. 먼저 우리사주 청약률 결정요인을 분석한 결과, 청약률은 근로자의 청약 참여율, 최초 우선배정비율, 자기자본순이익률 등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사주 청약률의 정보효과를 분석한 결과, 청약률은 유상증자 시 단기 비정상수익률(CARs)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우리사주 청약률과 유상증자 이후 3개월, 6개월 및 1년 보유초과수익률(BHARs)간 관계를 분석한 결과 우리사주조합의 정보우위는 단기 및 중기 BHARs에 유의하게 존재하며 시간이 갈수록 약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의무예탁 만기일을 사건일로 하여 비정상수익률을 분석한 결과 의무예탁만기에 대한 정보효과는 코스닥 시장에서만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우리사주조합의 우리사주 취득이 기업의 미래성과에 관한 주요 정보를 제공한다는 정보효과가설을 지지한다. 기존 연구에서 우리사주 관련 제한된 자료 또는 추정치를 사용하였던 것과 달리, 본 연구에서는 우리사주 전담 수탁기관에서 제공된 예탁 우리사주 모집단을 활용하였으며, 우리사주 배정비율 또는 지분율이 아닌 실제 청약률을 사용하여 우리사주 정보효과에 대한 증거를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번역하기

      우리사주조합은 기업의 성과 및 미래 현금흐름에 대한 사적정보를 가진 내부자에 해당하므로 주식발행 시 우리사주조합의 우선배정권리 행사 여부는 시장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우리사주조합은 기업의 성과 및 미래 현금흐름에 대한 사적정보를 가진 내부자에 해당하므로 주식발행 시 우리사주조합의 우선배정권리 행사 여부는 시장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08년부터 2018년 까지 유상증자 시 우선배정으로 예탁된 우리사주 모집단을 사용하여, 우리사주 청약률의 정보효과를 검증하였다. 먼저 우리사주 청약률 결정요인을 분석한 결과, 청약률은 근로자의 청약 참여율, 최초 우선배정비율, 자기자본순이익률 등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사주 청약률의 정보효과를 분석한 결과, 청약률은 유상증자 시 단기 비정상수익률(CARs)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우리사주 청약률과 유상증자 이후 3개월, 6개월 및 1년 보유초과수익률(BHARs)간 관계를 분석한 결과 우리사주조합의 정보우위는 단기 및 중기 BHARs에 유의하게 존재하며 시간이 갈수록 약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의무예탁 만기일을 사건일로 하여 비정상수익률을 분석한 결과 의무예탁만기에 대한 정보효과는 코스닥 시장에서만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우리사주조합의 우리사주 취득이 기업의 미래성과에 관한 주요 정보를 제공한다는 정보효과가설을 지지한다. 기존 연구에서 우리사주 관련 제한된 자료 또는 추정치를 사용하였던 것과 달리, 본 연구에서는 우리사주 전담 수탁기관에서 제공된 예탁 우리사주 모집단을 활용하였으며, 우리사주 배정비율 또는 지분율이 아닌 실제 청약률을 사용하여 우리사주 정보효과에 대한 증거를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nformation effect of the subscription rate of ESOA using the population of deposited employee stocks as priority allocation in seasoned equity offerings to ESOA from 2008 to 2018. We find that the subscription rate significantly affects CARs, consistent with the information effect hypothesis. The subscription rate also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affects 3-month BHAR and 6-month BHAR, while the effect is less significant both statistically and economically in 6-month BHAR. The effect of the subscription rate on 1-year BHAR, however, is not significant, which suggests that the information advantage of ESOA is significantly present in the short and medium BHARs but weakens over time. Lastly, the result of analyzing CARs at the maturity date of mandatory deposit maturity shows that the information effect exists only in the KOSDAQ market. Overall, our results are, in general, consistent with the hypothesis that the subscription of employee stocks by ESOA provides inside information of future firm performance.
      번역하기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nformation effect of the subscription rate of ESOA using the population of deposited employee stocks as priority allocation in seasoned equity offerings to ESOA from 2008 to 2018. We find that the subscription rate signifi...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nformation effect of the subscription rate of ESOA using the population of deposited employee stocks as priority allocation in seasoned equity offerings to ESOA from 2008 to 2018. We find that the subscription rate significantly affects CARs, consistent with the information effect hypothesis. The subscription rate also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affects 3-month BHAR and 6-month BHAR, while the effect is less significant both statistically and economically in 6-month BHAR. The effect of the subscription rate on 1-year BHAR, however, is not significant, which suggests that the information advantage of ESOA is significantly present in the short and medium BHARs but weakens over time. Lastly, the result of analyzing CARs at the maturity date of mandatory deposit maturity shows that the information effect exists only in the KOSDAQ market. Overall, our results are, in general, consistent with the hypothesis that the subscription of employee stocks by ESOA provides inside information of future firm performanc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연강흠, "코스닥시장의 일률적 락업제도에 대한 실효성 검증" 한국증권학회 31 : 323-364, 2002

      2 기은선, "코스닥시장 신규상장기업의 이익조정과 종업원의 지분참여" 한국회계학회 26 (26): 79-104, 2017

      3 장우석, "취득방식에 따른 우리사주 투자의 성과 비교: 종업원들은 기업의미래를 예견하는가?" 2007 : 2007

      4 박경서, "종업원지주제도(ESOP) 도입을 통한 종업원의 영향력 강화가 기업경영과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 한국금융학회 24 (24): 33-65, 2010

      5 이상빈, "의무보호예수제도 변천에 따른 실증분석과 이에 근거한 합리적인 방안 도출: 최대주주를 중심으로" 한국증권학회 44 (44): 247-286, 2015

      6 박서린, "우리사주제도, 대리인비용, 보상수준과 경영효율성의 관계" 한국재무관리학회 36 (36): 121-137, 2019

      7 반주일, "우리사주가 IPO 주식의 저평가 정도 및 상장 후 투자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재무관리학회 35 (35): 443-474, 2018

      8 김대룡, "우리사주 초과수익률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실증분석" 금융지식연구소 13 (13): 49-74, 2015

      9 길재욱, "생산적 복지를 위한 노동정책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338-363, 2000

      10 김석, "보호예수 종료 시점의 지분율 변동과 시장반응" 한국증권학회 45 (45): 417-446, 2016

      1 연강흠, "코스닥시장의 일률적 락업제도에 대한 실효성 검증" 한국증권학회 31 : 323-364, 2002

      2 기은선, "코스닥시장 신규상장기업의 이익조정과 종업원의 지분참여" 한국회계학회 26 (26): 79-104, 2017

      3 장우석, "취득방식에 따른 우리사주 투자의 성과 비교: 종업원들은 기업의미래를 예견하는가?" 2007 : 2007

      4 박경서, "종업원지주제도(ESOP) 도입을 통한 종업원의 영향력 강화가 기업경영과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 한국금융학회 24 (24): 33-65, 2010

      5 이상빈, "의무보호예수제도 변천에 따른 실증분석과 이에 근거한 합리적인 방안 도출: 최대주주를 중심으로" 한국증권학회 44 (44): 247-286, 2015

      6 박서린, "우리사주제도, 대리인비용, 보상수준과 경영효율성의 관계" 한국재무관리학회 36 (36): 121-137, 2019

      7 반주일, "우리사주가 IPO 주식의 저평가 정도 및 상장 후 투자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재무관리학회 35 (35): 443-474, 2018

      8 김대룡, "우리사주 초과수익률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실증분석" 금융지식연구소 13 (13): 49-74, 2015

      9 길재욱, "생산적 복지를 위한 노동정책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338-363, 2000

      10 김석, "보호예수 종료 시점의 지분율 변동과 시장반응" 한국증권학회 45 (45): 417-446, 2016

      11 김태훈, "국내 기업공개(IPO) 제도의 현황과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한국경영법률학회 26 (26): 201-238, 2016

      12 전용호, "개인투자자의 IPO 주식 투자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재무관리학회 36 (36): 169-203, 2019

      13 Nuttall, G., "Sharing Success: The Nuttall review of employee ownership" Department for Business, Innovation and Skills of UK 2012

      14 Fama, E., "Risk, return, and equilibrium: Empirical tests" 81 : 607-636, 1973

      15 Babenko, I., "Money left on the table : An analysis of participation in employee stock purchase plans" 27 : 3658-3698, 2014

      16 Hochberg, Y. V., "Incentives, targeting, and firm performance. An analysis of non-executive stock options" 23 : 4148-4186, 2010

      17 변진호, "IPO 락업 제도가 저가발행현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증권학회 40 (40): 405-429, 2011

      18 신연욱, "IPO 기업의 우리사주지분율이 이익조정에 미치는 영향" 한국국제회계학회 (78) : 297-314, 2018

      19 Li, Y., "Employee stock ownership plan and stock price crash risk" 13 (13): 14-, 2019

      20 Kaarsemaker, E., "Employee share ownership plans: A review" University of York 2009

      21 Babenko, I., "Do nonexecutive employees have valuable information? Evidence from employee stock purchase plans" 62 : 1878-1898, 2015

      22 이종용, "Controlling Ownership, Employee Ownership, and Returns of IPO Stocks" 한국중소기업학회 17 (17): 55-72, 2014

      23 Kim, E. H., "Broad-based employee stock ownership : motives and outcomes" 69 : 1273-1319,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 0.5 0.6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1 0.72 1.145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