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기록문화재(記錄文化財)를 통(通)한 조선시대미술(朝鮮時代美術)의 도상해석학적(圖像解釋學的) 연구(硏究) 특집(特輯) : 조선후반기 제1기(17세기, 융성기; 광해(光海)-경종(景宗)) 불상조각의 도상해석학적 연구 = Iconological Study of the Buddhist Sculpture of the 17th Century Jose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16619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첫째, 조선후반기 제1기 불상조각의 조성배경은 시대적 배경과 불상의 조성 사상 등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임진왜란으로 초토화된 나라의 폐허화된 수많은 사찰이 1610년경 전후부터는 전...

      첫째, 조선후반기 제1기 불상조각의 조성배경은 시대적 배경과 불상의 조성 사상 등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임진왜란으로 초토화된 나라의 폐허화된 수많은 사찰이 1610년경 전후부터는 전후복구사업을 급속히 진행하게 된다. 이런 시대적 배경으로 각 사찰의 중심인 불상도 이에 발맞추어 많이 조성된다. 전쟁의 참화를 극복하려는 강열한 의지 때문이었지만 불교의 믿음을 확산하고자 하는 바람 때문이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이 시기 불상들 역시 32상 80종호에 맞게 조성하려는 의지가 강하여, 도상형식에 충실하고자 했다. 삼세불, 삼신불, 석가불, 약사불, 비로자나불 등 각 불상의 도상형식이 그 특징에 따라다양하게 표현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셋째, 조선후반기 제1기는 전 조선시대 조각사상 융성기에 해당되며, 수많은 불상이 시대나 작가에 따라 다양하게 변모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넷째, 이시기 불상의 조성을 주관한 조각가들은 다른 시대에 비해 월등히 많으며, 이들은 유명한 조각승을 중심으로 유파를 이루어 그룹별로 불상을 조성하였기 때문에 시대별 지방별로 그 특징이 달라지고 있는 점을 밝힐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irst, as to the background to the production of the Buddhist Sculpture in the 17th century Joseon, study was made in two aspects;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the religious background. The post-war restoration projects went on from around the year 1...

      First, as to the background to the production of the Buddhist Sculpture in the 17th century Joseon, study was made in two aspects;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the religious background. The post-war restoration projects went on from around the year 1610 in numerous Buddhist temples across the nation which had been turned into ruins due to the Imjinweran War, the Japanese invasion of 1592. They accompanied an active production of Buddhist sculpture. It was done out of the strong will to overcome the ravages of war, but more than anything else, out of the hope of spreading Buddhism. Second, the Buddhist images of this period were faithful to the iconographical code regulated by the Buddhist scriptures such as the Thirty-two Marks and Eighty Features. Such iconographical forms as the Three Tathagatas, the Trikaya, the Sakyamuni Buddha, the Medicine Buddha, the Vairocana Buddha, etc., are represented according to their features in various styles. Third, the 17th century is the most flourishing time in terms of the Buddhist sculpture of the Joseon dynasty. Numerous Buddhist images were created which differ according to time and artists. Fourth, the artists who led the production of Buddha images also outnumbered those of the other periods. They worked in groups, thus, forming schools centering famous monk-sculptors. Numerous sculptural schools flourished according to region and time, so the Buddhist sculpture differs in stylistic characteristics among them.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