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OpenAccess

      ‘조선학/ 한국학’의 국교정상화: 한국학자들의 ‘조선학회’ 연차대회 참가와 아시아재단의 지원을 중심으로 = The Normalization of Diplomatic Relation between ‘Joseonhak(朝鮮學) and Korean Studies’: Focusing on Korean Scholars’ Participation in an Annual Meeting of ‘Joseonhakhoe(朝鮮學會)’ and on a Support of the Asia Found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4564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Joseonhakhoe(朝鮮學會) in Japan officially invited 10 Korean scholars to the 12th Joseonhakhoe(朝鮮學會) that was held in 1961. Behind this event that had been the first officially academic exchange, which was made between South Korea and Japan following the liberation, there was an intervention of the Asia Foundation that is America’s private organization. In those days, the United States established the Asian security strategy centering on Japan and then suppressed the diplomatic normalization between South Korea and Japan, which becomes its basis. Living up to American’s this strategy, even the Asia Foundation, which is private organization, gave their best to vitalizing a private exchange between Korea and Japan. The Asia Foundation supported the expenses for the participation in Joseonhakhoe(朝鮮學會) of totally 10 Korean scholars at 12th Joseonhakhoe convention and totally 6 Korean scholars at the 14th convention. ‘Joseonhakhoe(朝鮮學會)’ in Japan is the research academy of Joseonhak(朝鮮學, Joseon studies), which was established in 1950 centering on researchers who had been in office as a professor at Keijo Imperial University before the lost war. Joseonhakhoe(朝鮮學會), which was composed of Japanese colonial settlers who returned following Japan’s lost battle, had been put in the position of the non-mainstream in Japanese society after the war. Accordingly, an academic conference, which is opened by officially inviting Korean scholars, was ever a good opportunity that may emphasize what their colonial experience in the past is helpful for Japan.
      The view of the society can be observed through an English report that Korean participants contributed to a newspaper and a magazine and submitted to the Asia Foundation following the participation in academic conference. In a keynote speech of the 12th convention, Lee Byeong-do stressed identity and independence in ancient Korean culture, and criticized Japanese scholars’ perspective of a research on Nangnang, which had been the basis of heteronomy in Joseon history of Japanese Oriental studies in the past. Kim Du-heon proposed a change of terminology called ‘Joseon,’ which is used in the Japanese academic circles, into ‘Korea.’ Park Jong-hong, who is a keynote speaker at the 14th convention, asserted that the official language in Joseonhakhoe(朝鮮學會) should be changed into Korean language from Japanese language. The Korean scholars, who joined, sympathized with this, and progressed a debate in Korean language, thereby having allowed Japanese researchers to be astonished. As for Korean scholars, the participation in Joseonhakhoe(朝鮮學會) became an opportunity of perceiving self-identity as a researcher of ‘Korean Studies’ on de-colonization against a backdrop of the liberated country with escaping from ‘Joseonhak(朝鮮學)’ as part of the Oriental studies in the past and as the regional studies of the empire.
      번역하기

      Joseonhakhoe(朝鮮學會) in Japan officially invited 10 Korean scholars to the 12th Joseonhakhoe(朝鮮學會) that was held in 1961. Behind this event that had been the first officially academic exchange, which was made between South Korea and Japa...

      Joseonhakhoe(朝鮮學會) in Japan officially invited 10 Korean scholars to the 12th Joseonhakhoe(朝鮮學會) that was held in 1961. Behind this event that had been the first officially academic exchange, which was made between South Korea and Japan following the liberation, there was an intervention of the Asia Foundation that is America’s private organization. In those days, the United States established the Asian security strategy centering on Japan and then suppressed the diplomatic normalization between South Korea and Japan, which becomes its basis. Living up to American’s this strategy, even the Asia Foundation, which is private organization, gave their best to vitalizing a private exchange between Korea and Japan. The Asia Foundation supported the expenses for the participation in Joseonhakhoe(朝鮮學會) of totally 10 Korean scholars at 12th Joseonhakhoe convention and totally 6 Korean scholars at the 14th convention. ‘Joseonhakhoe(朝鮮學會)’ in Japan is the research academy of Joseonhak(朝鮮學, Joseon studies), which was established in 1950 centering on researchers who had been in office as a professor at Keijo Imperial University before the lost war. Joseonhakhoe(朝鮮學會), which was composed of Japanese colonial settlers who returned following Japan’s lost battle, had been put in the position of the non-mainstream in Japanese society after the war. Accordingly, an academic conference, which is opened by officially inviting Korean scholars, was ever a good opportunity that may emphasize what their colonial experience in the past is helpful for Japan.
      The view of the society can be observed through an English report that Korean participants contributed to a newspaper and a magazine and submitted to the Asia Foundation following the participation in academic conference. In a keynote speech of the 12th convention, Lee Byeong-do stressed identity and independence in ancient Korean culture, and criticized Japanese scholars’ perspective of a research on Nangnang, which had been the basis of heteronomy in Joseon history of Japanese Oriental studies in the past. Kim Du-heon proposed a change of terminology called ‘Joseon,’ which is used in the Japanese academic circles, into ‘Korea.’ Park Jong-hong, who is a keynote speaker at the 14th convention, asserted that the official language in Joseonhakhoe(朝鮮學會) should be changed into Korean language from Japanese language. The Korean scholars, who joined, sympathized with this, and progressed a debate in Korean language, thereby having allowed Japanese researchers to be astonished. As for Korean scholars, the participation in Joseonhakhoe(朝鮮學會) became an opportunity of perceiving self-identity as a researcher of ‘Korean Studies’ on de-colonization against a backdrop of the liberated country with escaping from ‘Joseonhak(朝鮮學)’ as part of the Oriental studies in the past and as the regional studies of the empi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일본의 ‘조선학회’는 1961년 개최된 제12차 조선학회에 10명의 한국 학자들을 공식 초청했다. 해방 이후 한국과 일본 사이에 이루어진 첫 번째 공식 학술 교류였던 이 사건의 배경에는 미국 민간 기구인 아시아재단의 개입이 있었다. 당시 미국은 일본을 중심으로 하는 아시아 안보 전략을 수립하고, 그 근간이 되는 한일 간의 국교 정상화를 압박했다. 이러한 미국의 전략에 부응하여 민간기구인 아시아재단도 한일 민간 교류를 활성화하는 데 힘을 쏟았다. 아시아재단은 조선학회 제12회 대회에 총 10명, 14회 대회에는 총 6명의 한국 학자들의 조선학회 참여 경비를 지원하였다. 일본의 ‘조선학회’는 일본 패전 이전에 경성제국대학 교수로 재직했던 연구자들을 중심으로 1950년에 설립된 ‘조선학’ 연구 학회이다. 일본 패전 이후 귀환한 재조선일본인 출신들로 구성된 조선학회는 전후 일본 사회에서 비주류의 위치에 놓여 있었다. 따라서 한국학자들을 공식 초청하여 개최하는 학술회의는 자신들의 과거 식민지 경험이 일본에 도움이 된다는 점을 강조할 수 있는 좋은 기회이기도 했다.
      한국 참가자들이 학술회의 참가 이후 신문․잡지에 기고하고, 아시아재단에 제출한 영문보고서를 통해 학회 풍경을 엿볼 수 있다. 이들 보고서에 따르면, 기조강연에서 이병도는 고대 한국문화의 독자성과 주체성을 강조했으며, 과거 일본 동양학의 조선사의 타율성의 근거가 되었던 일본 학자들의 낙랑 연구 관점을 비판했다. 김두헌은 일본의 학계에서 사용하는 ‘조선’이라는 용어를 ‘한국’으로 바꾸자고 제안하는가 하면, 14회 대회의 기조강연자 박종홍은 조선학회의 공식적인 언어를 일본어에서 한국어로 변경해야 한다고 주장했으며, 참가한 한국 학자들이 이에 동조하여 토론을 한국어로 진행하여 일본 연구자들이 경악하는 장면이 보고되고 있다. 한국 학자들에게 조선학회 참가는 과거 동양학의 일환이자, 제국의 지방학으로서의 ‘조선학’에서 탈피하여 해방된 국가를 배경으로 한 탈식민지 ‘한국학’ 연구자로서 자기정체성을 자각하는 계기가 되었다.
      번역하기

      일본의 ‘조선학회’는 1961년 개최된 제12차 조선학회에 10명의 한국 학자들을 공식 초청했다. 해방 이후 한국과 일본 사이에 이루어진 첫 번째 공식 학술 교류였던 이 사건의 배경에는 미국 ...

      일본의 ‘조선학회’는 1961년 개최된 제12차 조선학회에 10명의 한국 학자들을 공식 초청했다. 해방 이후 한국과 일본 사이에 이루어진 첫 번째 공식 학술 교류였던 이 사건의 배경에는 미국 민간 기구인 아시아재단의 개입이 있었다. 당시 미국은 일본을 중심으로 하는 아시아 안보 전략을 수립하고, 그 근간이 되는 한일 간의 국교 정상화를 압박했다. 이러한 미국의 전략에 부응하여 민간기구인 아시아재단도 한일 민간 교류를 활성화하는 데 힘을 쏟았다. 아시아재단은 조선학회 제12회 대회에 총 10명, 14회 대회에는 총 6명의 한국 학자들의 조선학회 참여 경비를 지원하였다. 일본의 ‘조선학회’는 일본 패전 이전에 경성제국대학 교수로 재직했던 연구자들을 중심으로 1950년에 설립된 ‘조선학’ 연구 학회이다. 일본 패전 이후 귀환한 재조선일본인 출신들로 구성된 조선학회는 전후 일본 사회에서 비주류의 위치에 놓여 있었다. 따라서 한국학자들을 공식 초청하여 개최하는 학술회의는 자신들의 과거 식민지 경험이 일본에 도움이 된다는 점을 강조할 수 있는 좋은 기회이기도 했다.
      한국 참가자들이 학술회의 참가 이후 신문․잡지에 기고하고, 아시아재단에 제출한 영문보고서를 통해 학회 풍경을 엿볼 수 있다. 이들 보고서에 따르면, 기조강연에서 이병도는 고대 한국문화의 독자성과 주체성을 강조했으며, 과거 일본 동양학의 조선사의 타율성의 근거가 되었던 일본 학자들의 낙랑 연구 관점을 비판했다. 김두헌은 일본의 학계에서 사용하는 ‘조선’이라는 용어를 ‘한국’으로 바꾸자고 제안하는가 하면, 14회 대회의 기조강연자 박종홍은 조선학회의 공식적인 언어를 일본어에서 한국어로 변경해야 한다고 주장했으며, 참가한 한국 학자들이 이에 동조하여 토론을 한국어로 진행하여 일본 연구자들이 경악하는 장면이 보고되고 있다. 한국 학자들에게 조선학회 참가는 과거 동양학의 일환이자, 제국의 지방학으로서의 ‘조선학’에서 탈피하여 해방된 국가를 배경으로 한 탈식민지 ‘한국학’ 연구자로서 자기정체성을 자각하는 계기가 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태극, "진지한 학문의 교류-제12차 한국학회연구대회 보고기"

      2 미쓰이다카시, "전후(戰後) 일본에서의 조선사학의 개시와 사학사(史學史)상(像) -1950~60년대를 중심으로-" 한국사연구회 (153) : 343-369, 2011

      3 大谷森繁, "일본에서의 한국연구"

      4 김사엽, "일본 학회의 한국학 연구 동정" 1961

      5 이병도, "일본 ‘조선학회’ 제12차 대회 보고" 1961

      6 최태원, "원점의 풍경-전후 일본의 ‘朝鮮學’과 ‘朝鮮近代文學硏究’의 성립" 2012

      7 이순진, "아시아재단의 한국에서의 문화사업-1954년~1959년 예산서류를 중심으로-" 한국학연구소 (40) : 9-56, 2016

      8 프랜시스 스토너 손더스, "문화적 냉전 CIA와 지식인들" 그린비 2016

      9 장세진, "라이샤워(Edwin O. Reischauer), 동아시아, ‘권력/지식’의 테크놀로지-전후 미국의 지역연구와 한국학의 배치-" 상허학회 36 : 87-140, 2012

      10 박광현, "경성제대와 新興" 한국문학연구소 11 (11): 247-274, 2003

      1 이태극, "진지한 학문의 교류-제12차 한국학회연구대회 보고기"

      2 미쓰이다카시, "전후(戰後) 일본에서의 조선사학의 개시와 사학사(史學史)상(像) -1950~60년대를 중심으로-" 한국사연구회 (153) : 343-369, 2011

      3 大谷森繁, "일본에서의 한국연구"

      4 김사엽, "일본 학회의 한국학 연구 동정" 1961

      5 이병도, "일본 ‘조선학회’ 제12차 대회 보고" 1961

      6 최태원, "원점의 풍경-전후 일본의 ‘朝鮮學’과 ‘朝鮮近代文學硏究’의 성립" 2012

      7 이순진, "아시아재단의 한국에서의 문화사업-1954년~1959년 예산서류를 중심으로-" 한국학연구소 (40) : 9-56, 2016

      8 프랜시스 스토너 손더스, "문화적 냉전 CIA와 지식인들" 그린비 2016

      9 장세진, "라이샤워(Edwin O. Reischauer), 동아시아, ‘권력/지식’의 테크놀로지-전후 미국의 지역연구와 한국학의 배치-" 상허학회 36 : 87-140, 2012

      10 박광현, "경성제대와 新興" 한국문학연구소 11 (11): 247-274, 2003

      11 정준영, "경성제국대학 교수들의 귀환과 전후 일본사회" 한국사회사학회 (99) : 75-119, 2013

      12 김일근, "韓國을 硏究하는 日本人들 日本의 ‘朝鮮學會’ 參加報告 碩學들만 百名넘고 부러운 經濟的 뒷받침"

      13 平木實, "朝鮮學會の創立と天理大學(試稿)" (174) : 2000

      14 市原麻衣子, "冷戦期アジアにおける米国の反共支援と冷戦後民主化支援への影響-自由アジア委員会․アジア財団を事例として" (8) : 2014

      15 The Asia Foundation, "Hoover Institution Archives"

      16 Weissman, Steve, "CIAsia Foundation" 197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20-03-12 학회명변경 영문명 : Sanghur Hakbo-The Jou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 -> The Learned Society of Sanghur’s Literature KCI등재
      2020-03-1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Leaned Society of sanghur`s Literature -> Sanghur Hakbo: The Jour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4 1.14 1.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5 1.21 2.23 0.9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