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소득보장 및 사회통합을 위한 청년 참여소득의 도입 방안 = The Introduction Plan of Youth Participation Income for Income Security and Social Integr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35046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청년 개인의 소득을 보장하고 사회통합을 이루기 위한 참여소득의 도입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기존 청년정책의 특성과 한계를 살펴보고, ...

      본 연구의 목적은 청년 개인의 소득을 보장하고 사회통합을 이루기 위한 참여소득의 도입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기존 청년정책의 특성과 한계를 살펴보고, 참여소득의 효과 및 가치, 그리고 국외 유사한 실행경험을 포괄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청년 참여소득의 3대 기본방향과 4대 실행 전략을 제시하였다. 청년 참여소득의 기본방향은 소득기준과 관계없이 미취업ㆍ비전형 근로 청년 ‘누구나’ 참여 가능, 시장이 아닌 사회에 기여, 그리고 지역사회 기반 운영을 통한 지역 공동체의 활성화 도모이다. 대상, 활동범위, 운영체계, 급여 및 재정으로 구분하여 제시한 청년 참여소득의 실행 전략은 첫째, 미취업ㆍ비전형근로 청년들을 그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둘째, 활동의 범위는 성장지원, 사회참여, 공공안전, 가족돌봄 활동을 포함하였다. 셋째, 참여소득의 운영체계는 중앙 및 지방정부의 역할을 강조하면서 중앙단위의 총괄운영기관 신설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급여 및 재정은 최저임금과 생계급여를 고려하여 월 90만원 이내의 소득을 보장받을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이와 함께 재정과 관련해서는 참여기금의 조성 방안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입을 제안한 청년 참여소득은 소득보장을 통해 불안정한 고용과 실업정책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으며, 지역사회에 필수 사회서비스를 제공하여 사회통합을 이루는 밑거름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propose an introduction plan of youth participation income for income security and social integration. For this purpose, the features and limitations of youth policies were examined. Also, the effect and value of participation inco...

      This study aimed to propose an introduction plan of youth participation income for income security and social integration. For this purpose, the features and limitations of youth policies were examined. Also, the effect and value of participation income, and overseas similar cases were comprehensively analyzed. In result, three basic directions and four implementation strategies of youth participation income were suggested. The basic directions of youth participation income were as follows; ‘anyone can participate regardless of income standard’, ‘someone contributes to society rather than the market’, and ‘local communities are promoted through community-based operation’. In the first implementation strategy, unemployed and non-standard working youths were selected as the target of youth participation income. Second, the scope of activities included growth support, social participation, public safety, and family care. Third, the operating system of participation income suggested establishing the general operating organization and emphasized the role of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Lastly, wage and finance, considering a minimum wage and a living wage were designed for securing up to 900,000 won per month. With regard to finance, the plan to raise fund through participating was reviewed. Youth participation income can compensate for the unstable employment and complement the limitations of unemployment policies by guaranteeing income. In addition to this, it would be able to be foundation of integrating society through providing essential social services to local communiti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협동조합기본법 제2조 제1호"

      2 "혁신적 포용국가 홈페이지"

      3 통계청, "행정구역(시군구)별/1세별 주민등록인구(2020.11.)"

      4 오세제, "한국형 청년고용보장제 추진방안" 정책기획위원회 2020

      5 최준영, "핀란드의 기본소득 도입 검토" 국회입법조사처 2015

      6 노정호, "핀란드와 네덜란드 기본소득 실험의 방법론적 의미와 한계, 그리고 시사점" 한국사회정책학회 25 (25): 71-96, 2018

      7 김지경, "포용국가 실현을 위한 청년정책 개선방안"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9

      8 김자옥, "타임뱅크의 현실적 적용방안과 효율적 운영관리체계 개발에 관한 연구" 서울시자원봉사센터 2019

      9 김정훈, "타임뱅크(Time Bank)를 활용한 복지서비스의 혁신" 1-25, 2018

      10 권용신, "타임뱅크 운영모델 개발" 2017 : 155-166, 2017

      1 "협동조합기본법 제2조 제1호"

      2 "혁신적 포용국가 홈페이지"

      3 통계청, "행정구역(시군구)별/1세별 주민등록인구(2020.11.)"

      4 오세제, "한국형 청년고용보장제 추진방안" 정책기획위원회 2020

      5 최준영, "핀란드의 기본소득 도입 검토" 국회입법조사처 2015

      6 노정호, "핀란드와 네덜란드 기본소득 실험의 방법론적 의미와 한계, 그리고 시사점" 한국사회정책학회 25 (25): 71-96, 2018

      7 김지경, "포용국가 실현을 위한 청년정책 개선방안"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9

      8 김자옥, "타임뱅크의 현실적 적용방안과 효율적 운영관리체계 개발에 관한 연구" 서울시자원봉사센터 2019

      9 김정훈, "타임뱅크(Time Bank)를 활용한 복지서비스의 혁신" 1-25, 2018

      10 권용신, "타임뱅크 운영모델 개발" 2017 : 155-166, 2017

      11 남재욱, "코로나19와 청년의 삶: 노동, 이행, 정신건강을 중심으로" 2020

      12 정홍준, "코로나19, 사회적 보호 사각지대의 규모와 대안적 정책방향" 한국노동연구원 2020

      13 "청소년활동진흥법 제10조"

      14 "청소년복지지원법 제32조"

      15 "청소년복지지원법 제30조"

      16 "청소년복지지원법 제29조"

      17 "청소년보호법 제35조"

      18 김기헌, "청년정책 실효성 제고 방안" 284 : 70-82, 2020

      19 관계부처합동, "청년의 삶이 달라집니다. 청년의 삶 개선방안"

      20 관계부처합동, "청년의 삶이 달라집니다. 제2차 청년의 삶 개선방안"

      21 오재호, "청년에게 무엇이 필요한가?" 1-26, 2018

      22 "청년기본법 제4조"

      23 고용노동부, "청년 디지털 일자리 및 일·경험 고용노동부가 지원합니다"

      24 김태완, "청년 가구의 경제 현황과 지원 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0

      25 한권탁, "참여소득을 통한 노동의 범위 확장" 법학연구소 (89) : 287-316, 2020

      26 이상준, "참여소득, capability 그리고 적극적 노동시장 정책" 2020 : 1-29, 2020

      27 은민수, "지역자치단체의 소득지원 방안 연구: 무조건적 기본소득, 부의 소득세(NIT)방식의 기초소득, 근로참여수당" 사회과학연구원 26 (26): 365-390, 2019

      28 김정훈, "지역공동체경제 활성화를 위한 전략 연구: 타임뱅크를 중심으로" 경기연구원 2018

      29 이근주, "조직참여동기와 만족요인에 관한 연구: AmeriCorps 참여자를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원 11 (11): 120-143, 2002

      30 Giddens, A., "제3의 길" 책과함께 2014

      31 관계부처합동, "제1차 청년정책 기본계획(’21~’25)"

      32 김기헌, "제1차 청년정책 기본계획 수립 연구" 국무조정실 국무총리비서실·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0

      33 "재해구호법 제2조 제4호"

      34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제3조"

      35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유럽의 공공․사회서비스 고용 현황 및 시사점" 18 (18): 2018

      36 "아동복지법 제52조"

      37 "아동·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 제47조"

      38 대통령비서실, "새천년을 향상 생산적 복지의 길" 퇴설당 1999

      39 "사회적기업 육성법 제2조 제1호"

      40 김정훈, "사회적 시민권과 참여소득에 관한 소고" 빈곤문제국제개발연구원 27 (27): 119-146, 2018

      41 홍경준, "밀린 과제와 닥친 도전; 한국 사회보장 혁신 방향의 모색" 413-436, 2020

      42 박세경, "미국 국가봉사단 AmeriCorps의 활동 현황" 2010 (2010): 90-99, 2010

      43 관계부처합동, "모든 취업자를 실업급여로 보호하는 전국민 고용보험 로드맵"

      44 Van Parijs, P., "모두에게 실질적 자유를: 기본소득에 대한 철학적 옹호" 후마니타스 2016

      45 행정안전부, "마을기업 육성사업 시행지침"

      46 마라 이에르커스, "네덜란드 ‘참여사회’에 대한 비판적 접근: 역량 중심 평가" 2018 (2018): 63-70, 2018

      47 한국경제, "기사 “21세기판 인형 눈붙이기”…; ‘한국판 뉴딜 일자리’ 체험해보니"

      48 양재진, "기본소득은 미래 사회보장의 대안인가?" 한국사회정책학회 25 (25): 45-70, 2018

      49 최한수, "기본소득 모의실험: 근로 연령대를 중심으로" 국회예산정책처 8 (8): 194-225, 2019

      50 안홍기, "균형발전과 지역일자리 창출 대안으로서 사회적경제와 과제" 국토연구원 2020

      51 "국민기초생활 보장법 제18조"

      52 "국민기초생활 보장법 시행령 제5조의 2"

      53 통계청, "공공사회복지 지출(OECD)"

      54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2021년 2월 고용동향"

      55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2020년 8월 고용동향"

      56 백두주, "경제위기 이후 한국 사회정책의 변화와 효과 - 김대중·노무현 정부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역사학회 14 (14): 83-120, 2011

      57 권용신, "경상북도 타임뱅크 운영모델 개발 연구" 경북행복재단 2016

      58 한귀영, "‘N개의 정체성’에 부합하는 세분화된 청년 정책이 필요하다" 5 : 90-103, 2020

      59 Atkinson, A. B., "The case for a participation income" 67 (67): 67-70, 1996

      60 Hiilamo, H., "The Case for a Participation Income: Acknowledging and Valuing the Diversity of Social Participation" 89 (89): 256-261, 2018

      61 "Segal Americorps Education Award [website]"

      62 White, S., "Real Libertarianism Assessed" 136-160, 2003

      63 Pérez-Muñoz, C., "Participation income and the provision of socially valuable activities" 89 (89): 268-272, 2018

      64 OECD 대한민국 정책센터, "OECD 한눈에 보는 사회 2019"

      65 Harvey, P., "More for less: The job guarantee strategy" 7 (7): 3-18, 2013

      66 "LAB2050 홈페이지"

      67 Atkinson, A. B., "Inequality: What can be done?" Harvard University Press 2015

      68 KELA, "From idea to experiment: Report on universal basic income experiment in finland" KELA 2016

      69 Fitzpatrick, T., "Freedom and Security: An Introduction to the Basic Income Debate" Martin's press 1999

      70 "Fit finder [website]"

      71 Gilbert, N., "Dimensions of Social Welfare Policy" Pearson 2005

      72 Pérez-Muñoz, C., "A defence of participation income" 36 (36): 169-, 2016

      73 고용노동부, "2020년도 예산 및 기금운용계획 사업설명자료"

      74 김태완, "2020년 사회보장 대국민 인식조사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0

      75 기획재정부, "2020년 기금현황"

      76 통계청, "2020년 5월 경제활동인구조사 청년층 부가조사 결과"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51 2.51 2.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84 2.89 3.162 0.4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