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970년대 한국 명랑만화의 담론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95276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1970년대의 명랑만화인 <꺼벙이>, <도깨비감투>, <요철발명왕>에 대한 담론분석이다. 분석을 위해 한국 명랑만화의 역사와 함께 당시의 심의제도와 유통구조를 고찰하...

      본 논문은 1970년대의 명랑만화인 <꺼벙이>, <도깨비감투>, <요철발명왕>에 대한 담론분석이다. 분석을 위해 한국 명랑만화의 역사와 함께 당시의 심의제도와 유통구조를 고찰하였다. 또한 1920년대부터 다양한 의미로 사용되었던 ‘명랑’이라는 용어에 대한 개념과 의미의 변화 과정에도 주목하였다. 이를 통해 명랑만화는 단순히 웃음을 유발하는 텍스트가 아니며, 당대의 정치, 사회적 맥락과 깊이 연관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분석방법은 푸코의 담론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1970년대의 명랑만화를 당시의 사회적 제도에 의해 형성된 담론이라 가정하고, 만화 내 등장인물들의 대화를 언표로 규정하여 분석하였다. 만화의 대화분석을 통해 당시의 명랑만화가 전파하는 담론과 그것을 만들어내는 사회적인 조건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런 과정을 통해 당시의 명랑만화는 ‘서열화를 통한 자본과 권력의 획득’, ‘국가주의적 요소의 강조’, ‘능동적 주체로의 호명과 훈육’이라는 담론을 내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이러한 담론은 심의와 통제 같은 당대의 권력의지를 바탕으로 나타나며, 이를 통해 지배 권력의 이데올로기를 정교하게 담아내는 장치로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aims at a discourse analysis on the selected 1970s Myungrang Manwhas, in the cases of Ggubungi, Doggaebi Gamtu, Yochul Balmyungwang. For the analysis, the history, pre-censorship, and distribution structure of Myungrang Manwha are referen...

      This article aims at a discourse analysis on the selected 1970s Myungrang Manwhas, in the cases of Ggubungi, Doggaebi Gamtu, Yochul Balmyungwang. For the analysis, the history, pre-censorship, and distribution structure of Myungrang Manwha are referenced, as well as the considerable changes and developments on the definition of ‘myungrang’ since the 1920s. In employing Foucauldian discourse analysis to the texts, the selected Myungrang Manwhas are analyzed as discursive formation, which emerged within the social relations of the era; the characters’ dialogues are analyzed as statement. The analysis examines the discourses that the texts disseminated, and the social context of the utterance. It is demonstrated that the Myungrang Manwhas are forms of representation, which implies ‘the contested acquisition on capital and power’, ‘the emphasis on nationalist aspects’, and ‘the interpellation and discipline of subject active’ of the time. Moreover, it is revealed that the forms of control, such as pre-censorship, were the articulation of the will to power, which drove the discoursive formation to function as an apparatus that meticulously constituted the ruling ideology. In conclusion, the Myungrang Manwhas are rather texts that encompasses political and social context of the era than a mere comic relief.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초록
      • Ⅰ. 서론
      • Ⅱ. 명랑만화와 명랑
      • Ⅲ. 분석결과 및 논의
      • Ⅳ. 결론
      • 초록
      • Ⅰ. 서론
      • Ⅱ. 명랑만화와 명랑
      • Ⅲ. 분석결과 및 논의
      • Ⅳ.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횡설수설"

      2 "환경 정리정화로 서울의 명랑화를"

      3 하종원, "호호에서 아하까지" 교보문고 1998

      4 백정숙, "호호에서 아하까지" 교보문고 1998

      5 박인하, "한국현대만화사 : 1945~2009" 두보CMC 2010

      6 한배호, "한국정치변동론" 법문사 1994

      7 서찬휘, "한국의 만화가 2" 한국만화영상진흥원 2010

      8 최장집, "한국의 노동운동과 국가" 나남출판 1997

      9 김해식, "한국언론의 사회학" 나남 1994

      10 손상익, "한국만화통사(하) : 1945년 이후" 시공사 1998

      1 "횡설수설"

      2 "환경 정리정화로 서울의 명랑화를"

      3 하종원, "호호에서 아하까지" 교보문고 1998

      4 백정숙, "호호에서 아하까지" 교보문고 1998

      5 박인하, "한국현대만화사 : 1945~2009" 두보CMC 2010

      6 한배호, "한국정치변동론" 법문사 1994

      7 서찬휘, "한국의 만화가 2" 한국만화영상진흥원 2010

      8 최장집, "한국의 노동운동과 국가" 나남출판 1997

      9 김해식, "한국언론의 사회학" 나남 1994

      10 손상익, "한국만화통사(하) : 1945년 이후" 시공사 1998

      11 최열, "한국만화의 역사 : 우리만화의 발자취 일천년" 열화당 1995

      12 박재동, "한국만화의 선구자들" 열화당 1995

      13 김성훈, "한국만화를 말하다" 한국만화영상진흥원 2014

      14 강준만, "한국 현대사 산책 1970년대 편: 평화시장에서 궁정동 까지 1권" 인물과 사상사 2002

      15 강준만, "한국 현대사 산책 1970년대 편 : 평화시장에서 궁정동 까지 2권" 인물과 사상사 2002

      16 박인하, "한국 명랑만화 장르의 형성과 발전 연구" 한국애니메이션학회 8 (8): 43-61, 2012

      17 윤장원, "한국 명랑만화 작가별 캐릭터 표현 연구 -캐릭터 디자인 요소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일러스아트학회 13 (13): 157-166, 2010

      18 손상익, "한국 만화통사" 프레스빌 1996

      19 김성호, "한국 만화가 55인" 프레스빌 1996

      20 장상용, "한국 대표 만화가 18명의 감동적인 이야기 Ⅰ" 한국만화영상진흥원 2004

      21 박정희, "한국 국민에게 고함" 동서문화사 2006

      22 박현재, "클로버문고의 향수" 한국만화영상진흥원 2009

      23 신현성, "클로버문고의 향수" 한국만화영상진흥원 2009

      24 박인하, "클로버문고의 향수" 한국만화영상진흥원 2009

      25 "치안확보로 명랑사회를"

      26 문수연, "최요안의 명랑소설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0

      27 공제욱, "청년을 위한 한국 현대사 1945~1991: 고난과 희망의 민족사" 소나무 1994

      28 미셸 푸코, "지식의 고고학" 민음사 2000

      29 "주택 95.4%가 재래식 난방 가정연료 현대화 시급하다"

      30 "정부운명과 관련될 문제 여일부 말"

      31 박인하, "장르만화의 세계" 살림 2004

      32 앙리 르페브르, "일상생활의 사회학" 한울아카데미 1994

      33 이용기, "유신이념의 실천도장, 1970년대 새마을운동" 48 : 67-91, 2012

      34 백정숙, "요철凹凸발명왕 5권" 한국만화영상진흥원 2013

      35 윤승운, "요철凹凸발명왕 1권" 한국만화영상진흥원 2010

      36 권경민, "세계 만화미학론" 심포지움 2009

      37 미셸 푸코, "성의 역사 1 : 지식의 의지" 나남 2004

      38 김영모, "새마을운동연구" 고헌출판부 2003

      39 빈센트 브란트, "새마을 운동의 이념과 실제" 서울대학교 새마을 운동 종합연구소 475-501, 1981

      40 소래섭, "불온한 경성은 명랑하라" 웅진지식하우스 2011

      41 "불량만화 2만권 압수"

      42 권보드래, "박정희 모더니즘: 유신에서 선데이서울까지" 천년의 상상 2015

      43 "밀수배 근절토록"

      44 허경, "미셸 푸코의 지식의 고고학 읽기" 세창미디어 2016

      45 정규영, "미셸 푸코의 ‘규율 권력’과 근대 교육" 교육사학회 23 (23): 157-201, 2013

      46 "도시의 명랑화"

      47 미셸 푸코, "담론의 질서" 중원문화 1993

      48 "달빛 당선동요"

      49 한영주, "다시 보는 우리만화 : 1950~1969" 글논그림밭 2001

      50 황민호, "내 인생의 만화책" 가람기획 2009

      51 김창남, "나의 문화 편력기" 정한책방 2015

      52 박인하, "꺼벙이로 웃다, 순악질 여사로 살다" 하늘아래 2002

      53 크리스토퍼 피어슨, "근대국가의 이해" 일신사 1998

      54 강만길, "고쳐쓴 한국 현대사" 창비 2006

      55 "경제질서문란행위 척결"

      56 서익진, "개발독재와 박정희 시대: 우리시대의 정치 경제적 기원" 창비 2003

      57 미셸 푸코, "감시와 처벌 : 감옥의 역사" 나남 2003

      58 "虹口地帶는 明朗化 陸戰隊副官 談"

      59 최성일, "[출판] 1970년대의 어린이 잡지" 381-388, 2010

      60 이정은, "1970년대 초중반 두 차례의 경제위기와 박정희정부의 대응" 고려사학회 (38) : 249-282, 2010

      61 정호순(鄭好純), "1970年代 새마을戱曲에 나타난 國家主義"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5 (35): 325-350, 2007

      62 이하나, "1950년대 민족문화 재건 담론과 ‘우수영화’" 역사문제연구소 (94) : 391-423, 2011

      63 서은영, "1910년대 만화의 전개와 내용적 특질; 『매일신보』 게재 만화를 중심으로"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30) : 139-168,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7-21 학회명변경 한글명 : 사단법인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4 0.64 0.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7 0.66 0.988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