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독도 관련 고지도의 현황과 특징 분석-영남대 소장 고지도를 중심으로- =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and Characteristic of Dokdo-Related Old Maps-Focusing on the Old Maps owened by Yeungnam Univers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23330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ttempts to provide evidence that Dokdo is a Korean territory, using 48 maps of Ulleungdo and Dokdo out of the old map materials owened by Yeungnam University. This study also aims at affirming Dokdo's territorial sovereignty using map mate...

      This study attempts to provide evidence that Dokdo is a Korean territory, using 48 maps of Ulleungdo and Dokdo out of the old map materials owened by Yeungnam University. This study also aims at affirming Dokdo's territorial sovereignty using map materials and increasing the value of Dokdo-related old maps owened by Yeungnam University and at the same time, as a Hub for Dokdo Research, aims at establishing its status of Dokdo Institute of Yeungnam University. Since the 18th century, The old maps of Korea(Joseon Dynasty) have shown that "Dokdo" is located on the right side(East) or left side(West), bottom side(South) or up side(North) of Ulleungdo, especially a part of map of Gangwon-do. It can be seen that they are displayed separately on the left (southwest) and lower right (southeast). Next, the map also shows whether Dokdo is located correctly and how Dokdo displayed in different locations can be interpreted in the same location as the current Dokdo location. It can be seen through the status survey. Of the foreign maps depicting Korea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especially on the map of Japan, "Dokdo" is all drawn in "Ulleungdo". It is said that there is also a way to fold Dokdo inside or below Ulleungdo on an old map of Korea. Foreigners at the time, who did not know how to fold the map in this way, displayed Dokdo on the left side of Ulleungdo in order to imitate the name of a place in the detailed part of Korean map Gangwon-do. The point is that Such a difference in the position of Dokdo cannot be seen without considering the viewpoint of the cartographer and at that time the geographical and oceanographic aspects. These map status surveys are important materials and are seen as evidence in that they have taught us the well-known fact that there were two large islands in the East Sea since ancient times and the clear facts that they have been engaged in fishing activities in the nearby sea of Ulleungdo and Dokdo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영남대학교가 소장하고 있는 고지도 자료 중 총 48점의 울릉도․독도 관련 지도를 통해 독도가 한국의 영토인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지도 자료를 통해 독도의 영토주권을 재확...

      이 연구는 영남대학교가 소장하고 있는 고지도 자료 중 총 48점의 울릉도․독도 관련 지도를 통해 독도가 한국의 영토인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지도 자료를 통해 독도의 영토주권을 재확인하고, 영남대학교가 소장하고 있는 독도 관련 고지도의 가치를 높이는 동시에 독도연구의 구심점으로서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의 위상을 확고히 하는데 그 의의를 두고 있다. 18세기이후 한국의 고지도, 특히 강원도 폭상에 나타난 ‘독도’의 위치는 ‘독도’가 울릉도의 오른쪽(동쪽) 또는 왼쪽(서쪽), 아래쪽(남쪽), 아래왼쪽(남서쪽), 아래오른쪽(남동쪽)에 각기 다르게 표시된 것을 볼 수 있다. 그렇다면 독도는 정확히 어디에 위치하고 있는 것인지, 각기 다른 위치로 표시된 독도가 현재의 독도위치와 같은 곳으로 어떻게 해석할 수 있는지에 대하여도 지도의 현황 조사를 통해 살펴볼 수 있다. 영남대 소장 독도 관련 지도의 현황과 특징을 조사한 결과 조사대상 지도 가운데는 독도와 울릉도의 위치가 현재의 위치가 아닌 경우도 있었는데, 이것은 당시의 지도 제작법의 유형에 따른 현상으로 당시 고대 시대의 사람들은 독도와 울릉도의 위치와 크기를 정확하게 알고 있었고, 후대 시대로 오면서 지도로 나타난 증거자료가 되었다. 영남대 소장 독도 관련 지도는 이미 조선시대 이전부터 당시 사람들이 동해 바다에는 두 개의 큰 섬(울릉도·독도)이 있었음을 명확히 인지하고 있었다는 사실과 어로활동 등을 통해 두 섬과 인근해역을 이용해왔다는 명백한 사실을 확인시켜주고 있는 중요한 자료이자 증거라고 볼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영남대학교 박물관, "한국의 옛 지도"

      2 영남대학교 박물관, "한국의 옛 지도"

      3 이상태, "한국 고지도 발달사" 한국고지도연구학회 2009

      4 양재룡, "지도가 실증하는 「한국령 독도」, 독도(獨島·Dokdo)도록" 출판사 한결 2016

      5 이상태, "조선초기에 제작된 『팔도지도』에 관한 연구" 역사실학회 17·18 : 2000

      6 박현수, "영남대 박물관 소장 한국의 옛지도 (자료편)" 영남대학교 박물관 1998

      7 양보경, "영남대 박물관 소장 한국의 옛 지도(자료편)"

      8 김명기, "독도의 영유권과 대일 평화조약" 우리영토 2007

      9 동북아역사재단, "독도와 한일관계 : 법·역사적 접근" 동북아역사재단 2010

      10 신용하, "독도영유의 진실 이해 : 16포인트와 150문답"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12

      1 영남대학교 박물관, "한국의 옛 지도"

      2 영남대학교 박물관, "한국의 옛 지도"

      3 이상태, "한국 고지도 발달사" 한국고지도연구학회 2009

      4 양재룡, "지도가 실증하는 「한국령 독도」, 독도(獨島·Dokdo)도록" 출판사 한결 2016

      5 이상태, "조선초기에 제작된 『팔도지도』에 관한 연구" 역사실학회 17·18 : 2000

      6 박현수, "영남대 박물관 소장 한국의 옛지도 (자료편)" 영남대학교 박물관 1998

      7 양보경, "영남대 박물관 소장 한국의 옛 지도(자료편)"

      8 김명기, "독도의 영유권과 대일 평화조약" 우리영토 2007

      9 동북아역사재단, "독도와 한일관계 : 법·역사적 접근" 동북아역사재단 2010

      10 신용하, "독도영유의 진실 이해 : 16포인트와 150문답"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12

      11 신용하, "독도영유권에 대한 일본주장 비판"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11

      12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독도영유권 확립을 위한 연구" 경인문화사 2009

      13 김병렬, "독도 연구 60년 평가와 향후 연구 방향"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09

      14 양보경, "도판해설"

      15 박현진, "獨島 領有權과 地圖海圖의 證據能力證明力" 대한국제법학회 52 (52): 89-128, 2007

      16 이상태, "東與備考에 關한 硏究" 역사실학회 10-11, 1999

      17 윤소영, "1900년대 초 일본 측 조선어업 조사 자료에 보이는 독도"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41) : 05-43, 20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7-10-18 학회명변경 한글명 : 독도 · 평화연구소 -> 독도연구소
      영문명 : Dokdo and Peace Research Institute -> Dokdo Research Institute
      2007-08-24 학회명변경 한글명 : 독도연구소 -> 독도 · 평화연구소
      영문명 : Dokdo Research Institute -> Dokdo and Peace Research Institute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8 0.38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