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디지털 문식성의 정의적 특성 탐색을 위한 정의적 영역 평가도구 구인 간의 관계성 분석 = Correlational Analyses between the Constructs of Affective Instruments for the Investigation of Affective Features of Digital Literac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3298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sed on the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digital literacy in the future,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feature of affective aspects of digital literacy as a way to stimulate the education of digital literacy. Five assessment tools which were related to affective aspects of digital literacy, including Digital Literacy Attitude assessment(DLA), were chosen and correlation among them was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Digital Literacy Attitude and Print Literacy Attitude(PLA)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not highly correlated. It indicates a separate educational content focusing on digital literacy attitude need to be developed for the preparation of digital literacy education. The results also showed no correlation between DLA and the Internet addiction. It indicates Digital Literacy Attitude is a different construct from a negative affective aspects of digital literacy such as addiction, plagiarism, violation of privacy and so on and it can work as a basis of the education of affective aspects of digital literacy. Finally, further research on the affective aspects of digital literacy was suggested.
      번역하기

      Based on the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digital literacy in the future,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feature of affective aspects of digital literacy as a way to stimulate the education of digital literacy. Five assessment tools which were re...

      Based on the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digital literacy in the future,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feature of affective aspects of digital literacy as a way to stimulate the education of digital literacy. Five assessment tools which were related to affective aspects of digital literacy, including Digital Literacy Attitude assessment(DLA), were chosen and correlation among them was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Digital Literacy Attitude and Print Literacy Attitude(PLA)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not highly correlated. It indicates a separate educational content focusing on digital literacy attitude need to be developed for the preparation of digital literacy education. The results also showed no correlation between DLA and the Internet addiction. It indicates Digital Literacy Attitude is a different construct from a negative affective aspects of digital literacy such as addiction, plagiarism, violation of privacy and so on and it can work as a basis of the education of affective aspects of digital literacy. Finally, further research on the affective aspects of digital literacy was suggest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에서는 디지털 문식성의 정의적 특성을 분석하여 디지털 문식성 교육 내용을 구체화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식성의 정의적 특성과 관련이 있는 다섯 가지 평가도구를 선별하고, 그중 하나인 ‘디지털 리터러시 태도 평가’를 중심으로 각 도구의 구인 간의 관계성을 분석해 보았다. 연구 결과, 우선 인쇄매체 문식성의 정의적 특성과 디지털 문식성의 정의적 특성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이 있으나 그 상관관계가 높지는 않았다. 이 결과는 디지털 문식성 교육을 위해서는 기존 국어과 교육과정의 ‘태도’ 범주에서 다루어 온 교육 내용과 구별된 새로운 교육 내용 요소를 추출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 디지털 문식성과 관련하여 교육의 내용으로 다루고자 하는 정의적 특성은 교육적으로 바람직한 태도를 가리키며, 이는 인터넷 중독과 같은 부정적 특성과는 관련이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해 문식성의 정의적 특성 간에 논리적인 관련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지속적인 후속 연구를 통해 디지털 문식성에 대한 교육을 체계적으로 지원할 수 있기를 촉구하였다.
      번역하기

      이 연구에서는 디지털 문식성의 정의적 특성을 분석하여 디지털 문식성 교육 내용을 구체화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식성의 정의적 특성과 관련이 있는 다섯 가지 ...

      이 연구에서는 디지털 문식성의 정의적 특성을 분석하여 디지털 문식성 교육 내용을 구체화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식성의 정의적 특성과 관련이 있는 다섯 가지 평가도구를 선별하고, 그중 하나인 ‘디지털 리터러시 태도 평가’를 중심으로 각 도구의 구인 간의 관계성을 분석해 보았다. 연구 결과, 우선 인쇄매체 문식성의 정의적 특성과 디지털 문식성의 정의적 특성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이 있으나 그 상관관계가 높지는 않았다. 이 결과는 디지털 문식성 교육을 위해서는 기존 국어과 교육과정의 ‘태도’ 범주에서 다루어 온 교육 내용과 구별된 새로운 교육 내용 요소를 추출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 디지털 문식성과 관련하여 교육의 내용으로 다루고자 하는 정의적 특성은 교육적으로 바람직한 태도를 가리키며, 이는 인터넷 중독과 같은 부정적 특성과는 관련이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해 문식성의 정의적 특성 간에 논리적인 관련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지속적인 후속 연구를 통해 디지털 문식성에 대한 교육을 체계적으로 지원할 수 있기를 촉구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성태제, "현대기초통계학 이해와 적용" 학지사 2007

      2 윤준채, "한국판 초등학생 읽기 태도 검사 도구의 타당도 검증"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37) : 223-246, 2008

      3 정혜승, "초등학생의 읽기 태도에 대한 연구" 한국어교육학회 (134) : 355-384, 2011

      4 정현선, "초등학생의 매체 문식 활동에 관한 조사 연구" 한국독서학회 (33) : 127-170, 2014

      5 윤준채, "초등학생 필자의 쓰기 태도 발달 연구" 한국작문학회 (8) : 277-298, 2009

      6 기세령, "초등학생 독자의 인터넷 읽기 전략 연구" 한국독서학회 (31) : 221-266, 2014

      7 박영민, "초등국어교육에서 쓰기태도 교육의 내용과 방법"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50) : 135-159, 2012

      8 강만철, "청소년 인터넷 중독 진단 척도 개발(Ⅰ)" 한국교육심리학회 15 (15): 5-21, 2001

      9 정혜승, "읽기 태도 구인과 검사 도구의 요건" 국어교육학회 (27) : 467-492, 2006

      10 신광우, "인터넷중독 진단척도 고도화(3차) 연구" 한국정보화진흥원 2011

      1 성태제, "현대기초통계학 이해와 적용" 학지사 2007

      2 윤준채, "한국판 초등학생 읽기 태도 검사 도구의 타당도 검증"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37) : 223-246, 2008

      3 정혜승, "초등학생의 읽기 태도에 대한 연구" 한국어교육학회 (134) : 355-384, 2011

      4 정현선, "초등학생의 매체 문식 활동에 관한 조사 연구" 한국독서학회 (33) : 127-170, 2014

      5 윤준채, "초등학생 필자의 쓰기 태도 발달 연구" 한국작문학회 (8) : 277-298, 2009

      6 기세령, "초등학생 독자의 인터넷 읽기 전략 연구" 한국독서학회 (31) : 221-266, 2014

      7 박영민, "초등국어교육에서 쓰기태도 교육의 내용과 방법"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50) : 135-159, 2012

      8 강만철, "청소년 인터넷 중독 진단 척도 개발(Ⅰ)" 한국교육심리학회 15 (15): 5-21, 2001

      9 정혜승, "읽기 태도 구인과 검사 도구의 요건" 국어교육학회 (27) : 467-492, 2006

      10 신광우, "인터넷중독 진단척도 고도화(3차) 연구" 한국정보화진흥원 2011

      11 조병영, "인터넷 환경에서의 읽기 부정확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 한국어교육학회 (148) : 367-397, 2015

      12 김수진, "우리나라 학생들의 컴퓨터․정보 소양 특성 및 교육맥락변인의 영향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5

      13 문성원, "아동을 위한 다차원형 병리적 인터넷 이용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1부"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17 (17): 61-78, 2004

      14 최숙기, "복합 양식 텍스트에 대한 독자의 읽기 행동 분석에 기반한 디지털 시대의 읽기 교육 방안 탐색" 한국독서학회 (29) : 224-264, 2013

      15 이근호, "미래 사회 대비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국가 교육과정 구상"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2

      16 옥현진, "디지털 텍스트 읽기 능력과 디지털 텍스트 읽기 평가에 대한 일고찰" 한국국어교육학회 (94) : 83-108, 2013

      17 김종윤, "디지털 리터러시 태도의 개념에 대한 이론적 탐색" 한국어교육학회 (150) : 263-294, 2015

      18 옥현진, "디지털 리터러시 태도 평가 도구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어교육학회 (152) : 251-283, 2016

      19 김수진, "국제 컴퓨터․정보 소양 연구:ICILS 2013 결과 보고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4

      20 Allen, M. P., "Understanding regression analysis" Springer 2004

      21 Rifkin, J., "The third industrial revolution" Palgrave Macmillan 2011

      22 Coiro, J., "The Online Reading Comprehension Assessment (ORCA) Project" U.S. Department of Education 2011

      23 Cohen, J.,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Lawrence Erlbaum 1988

      24 Bandura, A., "Self-efficacy: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84 (84): 191-215, 1977

      25 Multon, K. D., "Relation of self-efficacy beliefs to academic outcomes:A meta-analytic investigation" 38 (38): 30-38, 1991

      26 Afflerbach, P., "Reading; What else matters besides strategies and skills?" 66 (66): 440-448, 2013

      27 OECD, "PISA 2009 results:Students on line" OECD 2011

      28 OECD, "Messages from PISA 2000" OECD 2004

      29 McKenna, M., "Measuring attitudes toward reading:A new tool for teachers" 46 : 626-639, 1990

      30 Kear, D. J., "Measuring attitude toward writing:A new tool for teachers" 54 (54): 10-23, 2000

      31 최숙기, "LESC 온라인 독해 과정 모형에 따른 청소년 독자의 읽기 특성 분석" 한국독서학회 (30) : 169-224, 2013

      32 Zimmerman, B. J., "Handbook of self-regulation" Academic Press 13-39, 2000

      33 Guthrie, J., "Handbook of reading research" Routledge 403-422, 2000

      34 McKenna, M., "Children’s attitudes toward reading:A national survey" 30 (30): 934-956, 1995

      35 Allen, D. D., "Attitude toward digital and print-based reading" University of South Florida 2013

      36 장필성, "2016 다보스포럼:다가오는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우리의 전략은?"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6 (26): 12-15, 2016

      37 김정욱, "2016 다보스 리포트" 매일경제신문사 201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12-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Association of Korean Education KCI등재
      2013-12-0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Modern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 KOREAN EDUCA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6 1.06 1.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8 0.95 1.479 0.3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