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 요약한국어의 시제 형태소들이 시제 뿐만 아니라 상 이나 양태를 두루 나타내는 현상을 설명한다. 특히 시제 형태소, -ㄴ, -ㅆ 들의 문법범주 기능확장에 주목하고, 그와 유사한 현상...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2094222
Choo, Young-jae (동아대학교 인문과학대학 영어영문학과)
1997
English
705
학술저널
105-121(17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국문 요약한국어의 시제 형태소들이 시제 뿐만 아니라 상 이나 양태를 두루 나타내는 현상을 설명한다. 특히 시제 형태소, -ㄴ, -ㅆ 들의 문법범주 기능확장에 주목하고, 그와 유사한 현상...
국문 요약한국어의 시제 형태소들이 시제 뿐만 아니라 상 이나 양태를 두루 나타내는 현상을
설명한다. 특히 시제 형태소, -ㄴ, -ㅆ 들의 문법범주 기능확장에 주목하고, 그와 유사한
현상들을 영어의 그것과 대조하여본다. 그리고 이들의 양태적 쓰임에 있어서도 그 하위
범주인 인식/행동 규제적 쓰임새에 두루 나타나는 현상을 관찰 한다. 이러한 문법
형태소들이 다의적 으로 쓰이게되는 인식적 기저를 비유와 추론에서 찾아 볼려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