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전후 복구 시기 북한 사회주의교육의 인격교육적 함의: 경험집을 중심으로 = An Implications of Saramdaum Education about North Korea Sociality Education during post-Korean War Reconstruction Perio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59271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how socialist education in North Korea is constructed during the post-Korean War reconstruction period. The purpose is to explore the meaning of saramdaum education. Education in North Korea at this time is often assessed in the form of people's mobilization to stabilize the system. However,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education from the people's perspective. For the study, the literature was analyzed based on primary data published at that time. It examines the educational policy and how it is understood by the people who accept it.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Teachers' and parents' aspirations, along with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plan to overhaul the educational system, have become an important element in building the educational foundation. In addition, continuous re-education of teachers were carried out through correspondence education, and monotechnical education was implemented, which is the basis of the 'learning system at work.' This is similar to the process of personality development, in which charity and autonomy are increased, changing from self-centered to others-centered. It is also a philosophy of saramdaum education to cultivate human beings who can get out of competition. The saramdaum education is a major educational philosophical background for the comparative review and reflection on inter-Korean education. Therefore, follow-up studies are require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how socialist education in North Korea is constructed during the post-Korean War reconstruction period. The purpose is to explore the meaning of saramdaum education. Education in North Korea at this time is of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how socialist education in North Korea is constructed during the post-Korean War reconstruction period. The purpose is to explore the meaning of saramdaum education. Education in North Korea at this time is often assessed in the form of people's mobilization to stabilize the system. However,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education from the people's perspective. For the study, the literature was analyzed based on primary data published at that time. It examines the educational policy and how it is understood by the people who accept it.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Teachers' and parents' aspirations, along with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plan to overhaul the educational system, have become an important element in building the educational foundation. In addition, continuous re-education of teachers were carried out through correspondence education, and monotechnical education was implemented, which is the basis of the 'learning system at work.' This is similar to the process of personality development, in which charity and autonomy are increased, changing from self-centered to others-centered. It is also a philosophy of saramdaum education to cultivate human beings who can get out of competition. The saramdaum education is a major educational philosophical background for the comparative review and reflection on inter-Korean education. Therefore, follow-up studies are requir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전후 복구 시기 북한의 사회주의교육이 어떻게 건설되는가를 확인하고 그 특징을 규명한 후 인격교육적 함의를 탐구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시기의 북한 교육은 체제 안정을 위한 인민 동원의 형태로 평가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와는 다르게 인민의 시각에서 교육을 바라보고자 했다. 연구 목적을 위해 당시에 출간된 1차 자료를 중심으로 문헌을 분석하는 데, 교육 정책과 그것을 받아들이는 인민이 어떻게 만남을 가졌는가에 중점을 둔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육 시스템을 재건하려는 북한 당국의 계획과 더불어 교원과 학부모의 열망은 교육적 토대를 구축하는 데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또한 통신교육을 통해 끊임없는 교원 재교육을 실시했고, 일하면서 배우는 교육 체계의 기반이 되는 단과적 기술교육이 시행되었다. 이는 애타성과 자율성이 함양되고, 자기 중심적에서 타인 중심적으로 변화되어 가는 인격발달의 과정과 맞닿아 있다. 또한 경쟁에서 벗어날 줄 아는 인간을 길러내고자 하는 인격교육의 철학과도 그 맥을 같이 한다. ‘사람다움’에 관심을 두는 인격교육적 논의는 남북 교육을 비교 검토하고 성찰하는 주요한 교육철학적 배경이 될 수 있기에, 이에 따른 후속 연구가 요청된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전후 복구 시기 북한의 사회주의교육이 어떻게 건설되는가를 확인하고 그 특징을 규명한 후 인격교육적 함의를 탐구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시기의 북한 교육은 체제 안정을 ...

      이 연구는 전후 복구 시기 북한의 사회주의교육이 어떻게 건설되는가를 확인하고 그 특징을 규명한 후 인격교육적 함의를 탐구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시기의 북한 교육은 체제 안정을 위한 인민 동원의 형태로 평가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와는 다르게 인민의 시각에서 교육을 바라보고자 했다. 연구 목적을 위해 당시에 출간된 1차 자료를 중심으로 문헌을 분석하는 데, 교육 정책과 그것을 받아들이는 인민이 어떻게 만남을 가졌는가에 중점을 둔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육 시스템을 재건하려는 북한 당국의 계획과 더불어 교원과 학부모의 열망은 교육적 토대를 구축하는 데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또한 통신교육을 통해 끊임없는 교원 재교육을 실시했고, 일하면서 배우는 교육 체계의 기반이 되는 단과적 기술교육이 시행되었다. 이는 애타성과 자율성이 함양되고, 자기 중심적에서 타인 중심적으로 변화되어 가는 인격발달의 과정과 맞닿아 있다. 또한 경쟁에서 벗어날 줄 아는 인간을 길러내고자 하는 인격교육의 철학과도 그 맥을 같이 한다. ‘사람다움’에 관심을 두는 인격교육적 논의는 남북 교육을 비교 검토하고 성찰하는 주요한 교육철학적 배경이 될 수 있기에, 이에 따른 후속 연구가 요청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교육도서출판사, "해방후 10년간의 공화국 인민교육의 발전" 교육도서출판사 1955

      2 최봉영, "한국인에게 아름다움은 무엇인가" 한국학중앙연구원 31 (31): 195-227, 2008

      3 조선로동당출판사, "학교 교육에서의 선진 경험" 조선로동당출판사 1956

      4 강순원, "평화·인권·교육" 한울 2000

      5 교육도서출판사, "통신 사범 전문 학교 교육 경험 론문집" 교육도서출판사 1958

      6 강근조, "조선교육사 4" 사회과학출판사 1991

      7 오덕열, "전후 복구 시기 북한 사회주의교육에 관한 연구 : 경험집 및 매체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7

      8 이충범, "자살에 대한 서구적 이해와 인격교육학적 제언" 한국인격교육학회 13 (13): 195-214, 2019

      9 이계학, "인격의 형성과 교육" 원미사 1997

      10 이계학, "인격교육론" 성원사 1991

      1 교육도서출판사, "해방후 10년간의 공화국 인민교육의 발전" 교육도서출판사 1955

      2 최봉영, "한국인에게 아름다움은 무엇인가" 한국학중앙연구원 31 (31): 195-227, 2008

      3 조선로동당출판사, "학교 교육에서의 선진 경험" 조선로동당출판사 1956

      4 강순원, "평화·인권·교육" 한울 2000

      5 교육도서출판사, "통신 사범 전문 학교 교육 경험 론문집" 교육도서출판사 1958

      6 강근조, "조선교육사 4" 사회과학출판사 1991

      7 오덕열, "전후 복구 시기 북한 사회주의교육에 관한 연구 : 경험집 및 매체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7

      8 이충범, "자살에 대한 서구적 이해와 인격교육학적 제언" 한국인격교육학회 13 (13): 195-214, 2019

      9 이계학, "인격의 형성과 교육" 원미사 1997

      10 이계학, "인격교육론" 성원사 1991

      11 조정호, "인격교육 연구방법 소고: 질적 연구를 중심으로" 한국인격교육학회 4 (4): 47-65, 2010

      12 이계학, "인간발달의 최종상태에 관한 고찰" 9 : 33-59, 1979

      13 Zajda, I. J., "소련의 학교교육" 주류 1984

      14 신효숙, "소련군정기 북한의 교육" 교육과학사 2003

      15 조정아, "산업화 시기 북한의 노동교육"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3

      16 조용환, "사회화와 교육" 교육과학사 1997

      17 최은수, "분단 반세기 북한 연구사" 한울 1999

      18 신효숙, "북한현대사 1" 한울 2004

      19 전영선, "북한의 사회와 문화" 역락 2005

      20 이주철, "북한연구방법론" 한울 2003

      21 이향규, "북한사회주의 형성과 교육" 교육과학사 1999

      22 김형찬, "북한교육발달사" 한백사 1988

      23 북한연구소, "북한교육론" 북한연구소 1977

      24 신효숙, "북한교육 연구의 성과와 과제" 통일연구원 15 (15): 131-157, 2006

      25 김지수, "북한 기술의무교육제 실시 과정에 관한 연구: 급진적 사회주의 교육개혁의 좌절과 변형" 북한연구학회 10 (10): 123-147, 2006

      26 안승대, "북한 교육의 수동적 혁명의특징에 관한 연구" 민족문화연구소 (66) : 315-358, 2017

      27 조정아, "북한 공장의 기술인력 양성체제의 형성" 북한연구학회 8 (8): 185-210, 2004

      28 김학준, "북한 50년사" 두산동아 1995

      29 조정호, "라마단에 대한 인격교육적 해석" 한국인격교육학회 8 (8): 59-72, 2014

      30 유병열, "도덕교육론" 양서원 2006

      31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농업협동조합 경험집 편집위원회, "농업 협동화 운동의 승리 1"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농업협동조합 경험집 편집위원회 1958

      32 김성보, "남북한 경제구조의 기원과 전개 : 북한 농업체제의 형성을 중심으로" 역사비평사 2000

      33 조정아, "김정은시대 북한 교육정책 방향과 중등교육과정 개편" 통일연구원 23 (23): 177-206, 2014

      34 김일성종합대학, "김일성종합대학 10년사" 김일성종합대학 1956

      35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직속 당 력사 연구소, "김일성동지의 현지지도일지 : 1945~1959"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직속 당 력사 연구소 1960

      36 이계학, "교육의 알파와 오메가" 청계 2004

      37 이용숙, "교육에서의 질적 연구: 방법과 적용" 교육과학사 1998

      38 김대현, "교육과 교육학" 학지사 2015

      39 교육도서출판사, "교수 교양 사업 경험-교원 경험 론문집" 교육도서출판사 1956

      40 김종구, "공산주의 인간개조 : 북한의 정치사상교육" 남북문제연구소 1992

      41 이종석, "[단행본] (새로 쓴)현대 북한의 이해" 역사비평사; 서울 2000

      42 교육도서출판사, "8·15해방 10주년기념 교원경험론문집" 교육도서출판사 195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2 0.42 0.4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 0.66 0.756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