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박순경, "한국 교육과정에서의 '범교과학습'의 실태와 개선 방안" 한국교육과정학회 24 (24): 159-182, 2006
2 서울특별시교육연구정보원, "학교급별 범교과 학습 교육과정 운영의 발전적 방안 연구" 서울교육정책연구소 2016
3 양윤정,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나타난 범교과 학습 주제 현황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1005-1028, 2016
4 이미숙, "초등학교 교육과정 개선 방향 탐색" 교육과정평가원 2014
5 교육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6 교육과학기술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7 교육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8 김아영,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에서의 범교과 학습 주제 적용 방안 연구"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63) : 161-188, 2019
9 교육인적자원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10 이승미, "초·중·고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현황 분석 및 향후 과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3
1 박순경, "한국 교육과정에서의 '범교과학습'의 실태와 개선 방안" 한국교육과정학회 24 (24): 159-182, 2006
2 서울특별시교육연구정보원, "학교급별 범교과 학습 교육과정 운영의 발전적 방안 연구" 서울교육정책연구소 2016
3 양윤정,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나타난 범교과 학습 주제 현황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1005-1028, 2016
4 이미숙, "초등학교 교육과정 개선 방향 탐색" 교육과정평가원 2014
5 교육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6 교육과학기술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7 교육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8 김아영,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에서의 범교과 학습 주제 적용 방안 연구"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63) : 161-188, 2019
9 교육인적자원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10 이승미, "초·중·고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현황 분석 및 향후 과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3
11 김호, "제품의 모듈 시스템 도입에 관한 연구 -모듈 시스템의 유형과 형태요소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2) : 415-426, 2009
12 한명희, "제6차 교육과정 개정을 위한 초·중등학교 교육과정의 체제 구조 개선 연구" 교육과정개정연구원회 1991
13 이미숙, "범교과 학습의 체계화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9
14 이미숙, "범교과 학습에 대한 교육 전문가 및 초・중등학교 교사들의 인식 분석" 한국교육개발원 37 (37): 183-202, 2010
15 이규은, "범교과 학습 영역 국가 기준제시 방식 및 학교급별 운영 방안에 관한 연구" 교육과학기술부 2000
16 국립국어원, "범(汎)-"
17 왕관은, "범 교과 학습주제의 한계 논의"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9 (9): 53-70, 2015
18 최류미, "모듈 특성에 기반한 NCS 학습모듈에 관한 분석" 2016
19 박순경, "메타 교육과정으로서의 cross-curricula 에 대한 일고" 16 (16): 165-184, 1998
20 차우규, "도덕과의 역할과 위상 제고: 범교과 학습 주제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639-656, 2018
21 "네이버 한자사전. 亘"
22 박희경, "국제비교를 통한 우리나라 범교과 학습 관련 교육과정 문서의 개선 방안 탐색" 한국교육과정학회 32 (32): 77-101, 2014
23 문교부, "국민학교·중학교·고등학교·사범학교 교육과정시수배당기준령"
24 문교부, "국민학교 교육과정"
25 문교부, "국민학교 교육과정"
26 문교부, "국민학교 교육과정"
27 교육부, "국민학교 교육과정"
28 문교부, "국민학교 교육과정"
29 문교부, "국민학교 교과과정"
30 박도영, "국가사회적 요구 및 2015 개정교육과정 범교과 학습주제 효율적인 적용방안 연구" 교육부 2017
31 조상연, "국가교육과정 체제에서의 학교교과 생성에 대한 논의" 한국교원대학교 2015
32 박순경, "국가 교육과정 총론 개선을 위한 기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4
33 허경철, "교육과정 총론 개정 방향 설정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4
34 강현석, "교육과정 개정에서 범교과 학습 주제의 교육과정 적용 방안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4 (14): 239-264, 2014
35 안나, "교과통합적 접근을 통한 범교과 학습 실행 방안" 경인교육대학교 2016
36 이상은, "각국의 교육과정 문서에 제시된 범교과적 교육과정(Cross-Curricula) 접근 방식 분석: 영국, 호주, 캐나다, 한국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학회 26 (26): 59-79, 2008
37 Chartrand, H. H., "Who’s to Pay for the Arts" 43-80, 1989
38 Tyack, D., "Tinkering toward utopia: A century of school reform" Harvard University Press 1995
39 QCA, "The national curriculum: Handbook for primary teachers in England: Key stage 1 and 2. Qualifications and Curriculum Authority"
40 Department for Education, "The national curriculum in England - Framework document"
41 Chartrand НН, M. C., "The Arm’s Length Principle and the Arts: An International Search for Models of Support/НН Chartrand" American Council for Arts 1989
42 Goodson, F. I., "School subjects and curriculum change" The Falmer Press 1993
43 Department for Children, Schools and Families, "Religious education in English schools: Non‑statutory guidance 2010"
44 이근호, "OECD Education 2030 교육과정 조사에 따른 역량 중심 교육과정 비교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7
45 FNBE, "National core curriculum for basic education 2014"
46 Fogarty, R. J, "How to integrate the curricula: the mindful school" Skylight Pub 1991
47 ACARA, "F-10 Curriculum"
48 Ministry of education, "Defining Cross-Curricular Competencies. Transforming Curriculum and Assessment"
49 Beane, J., A, "Curriculum integration and the disciplines of knowledge" 76 (76): 616-622, 1995
50 Ingram, J., "Curriculum integration and lifelong education" Pergamon Press 1979
51 CIDREE, "Cross-curricular themes in secondary education: Report of a CIDREE collaborative project" Consortium of Institutions for Development and Research in Education in Europe
52 Drake, S. M, "Creating standards-based integrated curriculum: Aligning curriculum, content, assessment, and instruction" Corwin Press 2007
53 Ministry of Education and Research, "Core curriculum – values and principles for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
54 정광순,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통합교과 교육론" 학지사 2019
55 배주경, "2015 개정 교육과정 운영 실태 분석 초등학교 34학년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9
56 배주경, "2015 개정 교육과정 운영 실태 분석 초등학교 3-4학년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9